동양윤리, 서양윤리 주관식 예상문제

운영자............... 조회 수 599 추천 수 0 2003.09.27 11:39:47
.........
동양윤리, 서양윤리 주관식 예상문제



동양윤리

1. 직관을 통한 돈오를 강조하는 불교의 종파는?

답) 선종

2. 불타가 깨달아 설파한 불교의 근본 교리 세 가지는?

답) 연기설, 사성제설, 삼법인설

3. 석가모니가 깨달은 사성제란 무엇인가?

답) 고성제, 집성제, 멸성제, 도성제

4. 모든 사람이 잘 살 수 있는 공자가 지향하는 이상사회는?

답) 대동사회

5. 사회 구성원이 자기에게 주어진 사회적 지위에 따르는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공자의 정치 사상은?

답) 정명론, 정명사상

6. 노자가 지향한 이상적인 정치 이념은?

답) 소국과민

7. 성리학자들이 도덕적 인격완성을 위해서 내세운 수양 방법은?

답) 존양성찰. 격물치지

8. 도가 사상의 변형으로 나타난 것은?

답) 황로학파, 오두미교, 현학자들

9. 여섯 가지 바라밀은?

답)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

10. 양명학에서 주장하는 이론은?

답) 심즉리설, 치양지설, 지행 합일설

11. 맹자는 대장부가 되기 위해서는 호연지기를 길러야 한다고 했는데

호연지기는 어떠할 때 길러지는 가?

답) 집의(集義)- 의가 쌓여져서

12. 맹자의 사단과 사덕은?

답) 측은지심- 인

수오지심- 의

사양지심- 예

시비지심- 지

13. 분서갱유란?

답) 진나라 시황제가 유가를 탄압하기 위해 유가서적을 불태우고 유생들을 암매장시킨 사건을 말한다.

14. 성리학에서 강조하는 내용은?

답) 이기론, 심성론, 거경궁리론, 경세론

15. 실학사상에서 강조하는 내용은?

답) 경세치용, 이용후생, 실사구시

16. 제자백가 사상으로 유명한 사상은?

답) 고자의 사상(성무성악설), 묵가의 사상(겸애설), 법가의 사상(한비자)

17. 불교사상의 핵심인 삼법인은?

답) 제행무상, 제법무아. 일체개고

18. 대승불교에서 가장 이상적인 인간은?

답) 보살

19. 맹자는 말하기를 사람에게는 그 누구나 남의 고통과 불행을 보았을 때 차마 그대로는 지나쳐 버리지 못하는 착한 마음씨인 양심이 있다고 했다. 이 양심을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답) 불인인지심

20. 노자는 '으뜸되는 선은 물과도 같다'고 하였고 이것이 무위자연의 삶의 모습이라고 하였다. 이 말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답) 상선약수



서양윤리

1. 크리스트교의 핵심적 윤리 사상은?

답) 사랑

2. 크리스트 교에서 강조한 두 가지 사랑의 내용은?

답) 하나님에 대한 사랑과 이웃에 대한 사랑

3. 아우구스티누스가 플라톤의 4주덕 외에 강조한 철학 사상은?

답) 믿음, 소망, 사랑

4. 흄이 도덕 문제를 인식하는 기초라고 본 것은?

답) 감정

5. 베이컨이 말한 4대 우상은 무엇인가?

답) 동굴의 우상, 극장의 우상, 시장의 우상, 종족의 우상

6. '인간은 만물의 착도이다'라고 말한 소피스트의 대표자는?

답) 프로타고라스

7. 생각하고 있는 나의 존재의 확실성을 인식하게 된 데카르트의 진리탐구방법은?

답) 방법적 회의

8. 칸트에게 있어서 선천적, 선험적인 인식 능력은?

답) 순수이성

9. 정신 철학의 선구자인 헤겔이 말한 인륜의 3단계는 무엇인가?

답) 가족- 시민사회- 국가

10. 모든 생명을 염려하고 존중하여 '생명의 외경'을 강조한 사상가는?

답) 슈바이처

11. 근대 시민 혁명의 사상적 기반이 된, 근대 시민 윤리 사상의 대표적인 사상은?

답) 계몽주의

12. 실존주의 철학자를 아는 데로 쓰시오.

답) 키에르케고르, 사르트르, 하이데거, 야스퍼스

13. 플라톤의 4주덕은?

답) 지혜, 용기, 절제, 정의

14. 아리스토텔레스가 인간의 궁극목적으로 내세운 것은?

답) 행복의 추구

15. 중세 스콜라 철학의 대표자는?

답) 아퀴나스

16. 실용주의 철학의 대표자는?

답) 듀이

17. 스피노자는 자연에 대한 참된 의식에서 우러나오는 마음의 평화를 무엇이라고 보았는가?

답) 행복

18. 근세의 자연과학에서 주로 사용된 학문적 추리 방법 두 가지는 무엇인가?

답) 귀납적 방법과 연역적 방법

19. 아리스토텔레스가 도덕적 실천의지의 함양을 위해서 강조한 것은?

답) 중용의 덕

20. 교부철학의 대가였던 아우구스티누스가 자기의 신학 사상을 체계화함에 있어서 수용한 철학 사상은?

답) 플라톤주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동양윤리, 서양윤리 주관식 예상문제 운영자 2003-09-27 599
15029 인간의 바다와 하나님의 바다 운영자 2003-09-27 932
15028 성경을 읽어본 경험 있으세요? 운영자 2003-09-27 802
15027 죄사함 운영자 2003-09-27 1501
15026 죄사함 운영자 2003-09-27 756
15025 세대차이가 없는 복음 운영자 2003-09-28 748
15024 정죄하지 맙시다 운영자 2003-09-28 686
15023 정죄하지 맙시다 운영자 2003-09-28 578
15022 충성스러운 성도 운영자 2003-09-28 1618
15021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화목 운영자 2003-09-28 1031
15020 미련한 사람 운영자 2003-09-28 646
15019 미련한 사람 운영자 2003-09-28 370
15018 똑같은 돌부리에 복음 2003-09-28 1434
15017 재앙이여! 안녕 운영자 2003-09-28 478
15016 우리 교회의 경건 운영자 2003-09-28 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