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흡연의 특성

복음............... 조회 수 634 추천 수 0 2005.04.27 05:45:26
.........
청소년 흡연의 특성

담배 피우는 사람이 만들어 내는 담배연기를 담배 피우지 않는 사람이 들어 마심으로써 담배를 피우는 것과 같은 피해를 입는 것을 간접흡연이라 한다.
이보다 더 우려되는 것은 담배를 시작하는 연령이 자구만 낮아진다는 점이다. 심지어는 초등학교 때부터 담배를 시작하는 학생도 있다고 한다 .
우리 청소년들은 흡연이 조장되는 사회환경에 노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가정에서는 아버지와 형이, 학교에서는 선생님
들이, 길거리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TV에서는 탤런트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담배를 피우고 있다. 담배광고도 여기저기에 난 무하고 있다. 흡연 청소년의 57%는 가족 중에 흡연자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가정에서의 흡연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어린 학생들이 담배를 시작하게 되면 어른이 되어 담배를 시작하는 것 보다 훨씬 심각합니다. 16세 이하에서 담배를 시작하는 경우 20세 이상에서 담배를 시작하는 경우보다 담배로 인한 피해가 3배나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처럼 어린 연령에서 담배를 시작하는 경우 그 피해가 심해지는 것은 청소년의 세포, 조직 그리고 장기는 성숙하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담배의 독성물질 또는 화학물질과 접촉하는 경우 그 손상 정도가 성숙한 세포나 조직에 비해 더욱 커지기 때문이다.

[ 흡연 원인 ]

또래집단의 일원이 되기 위해서
stress해소
호기심
어른스러워 보이기 위해서
성차별에 대한 불만(여학생)

[ 흡연특성 ]

0 흡연시작시기 : 중3-고1사이에 가장 많이 시작함
0 흡연량 : 남학생의 약 80%, 여학생의 80%정도가 10개피 미만
0 가족흡연 : 흡연자가 있는 가정의 자녀들이 흡연을 많이함
0 학교생활 : 불만족 할수록, 성적이 나쁠수록, 흡연하는 친구와 어울리는 시간이 길수록, 흡연하는 친구가 많을수록 흡연을 많이 함
0 용돈 : 용돈액수가 많을수록 흡연율이 높았다,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흡연율이 높음
0 학생이 인지하는 부모의 반응 : 부모가 자신의 흡연여부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인정할 것이라고 인지하는 학생일수록 흡연을 많이함
0 부모의 양육태도 : 애정적-자율적에 비교할 때 거부적-통제적이라 지각할수록
0 정서 : 불안감이 높고 자아존중도와 자기효능감이 낮음.흡연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 Assertive 하지 못함
0 수줍음 : 수줍음을 덜 타는 학생일수록 비행을 많이함
0 자기통제 :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비행을 많이함

담배내용물

담배의 독성 물질 흡연시 약4,000여 종의 화학적 성분이 담배에서 생산되어 인체로 흡입된다. 담배연기는 기체 성분과 미립자 성분으로 나눌 수가 있다.
인체에 유해한 주요 기체 성분으로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니트로사민, 질소화합물, 시안화수소, 암모니아 등이 있으며 미립자 성분의 유해 주요 물질은 니코틴, 타르, 석탄산, 포로늄210(방사선 물질), 비소, 크레졸, 싸이나, 벤조피렌, 아크롤레인 등이 있다. 한번 흡입시 대개 50mg의 담배연기가 인체로 흡입되는데 이때 미립자 성분 18mg과 기체성분 32mg(5% 는 CO가스)이 흡입 된다. 한번 흡입된 담배의 유독물질 중 일산화탄소 전량 흡수, 니코틴의 90% 뇌에 도달, 타르의 70%정도가 기도에 축적하여 독성을 나타내게 된다.
담배 속의 주요 유해 물질들은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비 소: 개미 살충제로 사용됨.
암모니아: 세척제로 사용됨.
부 탄: 불붙이는 점화액으로 사용됨.
카드뮴: 재충전 배터리에 사용됨.
일산화탄소: 차 배기가스에 포함됨.
청산칼리: 쥐약으로 사용됨.
포름알데히드: 시체 방부제로 사용됨.
메탄올: 제트기 연로로 사용됨.

* 담배 내 신체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대표적 3가지 유해물질

1. 니코틴 : 무색, 유성 알카로이드 액체, 독성이 강한 중독성 물질
담배를 처음 피우거나 너무 많이 필 때 느끼는 구토, 현기증, 두통 등은 이 니코틴으로 인하여 생기는 증상으로 폐로 흡입한 담배연기 속의 니코틴이 뇌에 도달하려면 약 7초 정도 걸린다. 이물질은 담배를 피우는 과정에서 파괴되지 아니하며 한 모금의 담배연 기를 마실 때 0.1 - 0.2mg(한 개비 당 2mg)의 니코틴이 인체에 흡수된다. 니코틴은 매우 유독하여 일시에 60mg이 혈액에 흡수되면 대 부분의 사람은 죽는다. 그러므로 성인의 치사량은 체중 1kg당 니코틴 1mg이다.

니코틴의 약리 작용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심리적 효과이다. 니코틴은 정신적 안정감을 느끼고, 긴장감이 해소되는 일시적인 진정효과가 있다(신경절에 자극과 억제: 양측 작용)한다. 니코틴은 모세 및 말초혈관수축, 혈압상승(한 개비: 20 - 30mmHg 증가), 심박 동항진, 신경자극, 위산분비 증가, 혈청 지질의 변화(LDL 증가, HDL 감소), 혈소판 응집력 증가 그리고 혈관벽에 손상을 일으켜 동맥경화 를 촉진시킨다. 무엇보다도 습관성을 일으켜 담배를 계속 피우게 하는 주범이다. 니코틴이 콜레스테롤 양을 증가 시키고 동맥 벽에 플라 그를 일으킨다.

1) 심장에 미치는 영향 심장 박동수 및 혈압증가, 부정맥 유발, 교감 신경절과 부신수질에 작용, 자극시켜 catecholamine을 유리 시키기 때문임. 또한 경동맥, 대동맥에 위치한 화학수용체를 자극, 심근 전위의 불균형 유발함.
2) 자유 지방산 유리 촉진
3) 혈청지질의 변화: L D L 증가, H D L 감소
4) 혈소판 응집 능력증가

2. 타르 : 발암성 물질
담배를 피우면 필터가 검게 되는 것이나 오랜 흡연자의 인지를 노랗게 물들이는 것이 바로 타르로써 200종 이상의 화합물로 되어 있으며 이것이 폐암을 일으킨다. 담배가 800도로 연소 될 때 작은 입자로 되어 기관지나 폐로 들어가며 이중 크기가 10㎛ 이상의 것은 가래로 서 밖으로 나오나 1㎛ 전후의 것은 60%이상이 폐 속으로 들어가 배출되지 않는다. 타르는 호흡기점막의 섬모상피세포와 폐포 세포에 손상을 입히고 그 결과로 폐에 비정상 세포가 나타난다. 이 물질의 함량은 담배 종류에 따라 다르나 대개 한 개비당 2.0 - 3.3mg이 들어 있다.

3. 일산화탄소 : 무색, 무취 유해가스(산소결핍 일으킴)
일산화탄소의 환경 기준은 24시간 생활 공간에서 10ppm, 8시간 생활공간에서 20ppm으로 규정되어 있는데 담배 연기 속에는 최고 45,000ppm의 일산화탄소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흡연으로 인해 만성"일산화탄소 중독(저산소증)"에 처하게 된다. 담배연기 중 2-6%가 CO 가스 로서 HB와 친화력이 O2의 210배 정도이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현상을 유발시킨다. 혈액 내 산소분압저하- 산소혈증- 혈관의 과도한 수축- 내벽 세포의 손상- 동맥경화의 시발 또한 CO+HB의 만성적 또는 소량 증가되는 상태에서 다혈증이 유발되어 일시적, 간헐적 뇌혈관 장애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보통 흡연자의 산소의 이용률은 비흡연자보다 20 - 30%가 떨어진다. 일산화탄소의 혈액 내 농도가 2%에 도달하면 중추신경계의 기능이 둔해지고 기억력이 감퇴된다. 담배를 다량 흡입하면 우선 두통이 오고 현기증, 권태, 눈이 아물아물하고 오심 구토감이 오며 심장이 뛰고 가슴에 중압감을 느낄 수 있고 호흡곤란, 심하면 허탈상태등을 수반하고 아주 심하면 무의식 상태로서 사망에 이른다. 일산화탄소가 동맥 내벽 의 세포를 파괴한다.

1일 흡연량에 따른 혈액 내 CO함량: 1. 한 갑-한 갑반: 2-5% 2. 두 갑: 5-10% 3. 세 갑 이상: 10-20%

흡연과 질병

흡연이 유발하는 질환은 암 종류만도 폐암, 구강암, 인두암, 췌장, 암, 후두암, 방광암, 신장암 등 8가지에 달한다. 또 폐결핵, 폐렴, 독감, 기관지염, 폐기종, 천식, 만성기도장애와 같은 호흡기질환, 류머티스성 심장질환, 고혈압, 폐성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동맥경화, 대동맥류와 같은 심혈관질환을 일으키고, 체중미달아, 신생아 호흡장애증 후군, 신생아 돌연사증후군 등 소아질환도 유발한다. 다음은 흡연으로 잘 발생하며 가장 피해가 큰 질환들이다.

1. 암
알려진 발암 성분은 43가지로 polyaromatic hydrocarbons, heterocyclic hydrocarbons, Nnitrosamines, aromatic amines, aldehydes, volatile carcinogens, inorganic compounds, radioactive elements등이 있다. 1950년대부터 대규모의 연구로 흡연의 영향을 종합하여 발표한 1964년의 US Surgeon General의 흡연과 건강 보고서와 수천 편의 과학적인 연구에서 흡연이 암의 원인인자로 확인되었다. 모든 암의 30%가 담배 때문에 발생하며 담배 연기와 직접 접촉되는 기관들-구강, 식도, 폐, 그리고 기관지-의 암의 90%정도 가 흡연 때문에 생기고 담배 연기와 직접 접촉 하지 않는 인체 장기 중 자궁 경부, 췌장, 방광, 신장, 위장, 조혈 조직의 암 발생률은 비흡연자에 비해서 1.5-3배정도 높다. 신체의 모든 부위에서 암의 위험은 담배 연기에 노출 정도에 비례해서 증가한다. 담배 연기는 초기와 말기에서 암형성을 유발하는 강력한 발암 인자로 작용하며 술과 같은 다른 인자와 상호작용을 하여 암의 발생 위험을 상승시킨다.

2. 심혈관 질환
흡연은 고혈압, 고콜레스테롤과 함께 뇌혈관 질환, 관상동맥 질환, 복부 대동맥류, 말초혈관 질환과 같은 죽상경화 질환의 세 가지 주요 위험인 자이다. 흡연이 심혈관 질환의 유병률과 사망률을 높이고 금연하면 심혈관 질환의 유병률과 사망률이 감소한다. 하루에 한갑이상 담배를 피운 평균 40-59세의 남성에서 관상 동맥질환의 비교위험도는 2.5이며 위험도는 흡연량에 비례해서 증가한다. 65세이상 남성에서 관상동맥질환 사망의 25%이상 과 65세 이하에서는 사망의 45%가 흡연에 의한 것이다. 여성에 있어서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는 남성과 유사하며 흡연 여성의 심근경색증의 비교위험 도는 비흡연자나 금연자에 비해 3.0이다. 하루에 25개비 이상 흡연여성은 치명적인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가 5.5배, 비치명적인 관상동맥질환 위험도가 5.8배, 협심증의 위험도는 2.6배이며 하루 1-4개비 정도의 적은 양의 흡연도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를 2배 증가시킨다.

3. 폐질환
폐질환 흡연은 기관지, 폐포, 폐 모세혈관, 폐의 면역체계에 병리 변화를 일으키고 폐질환을 유발하는 위험인자이다. 성폐쇄성폐질환(COPD)으로 인한 사망의 81.5%가 연에 의해 생긴다고 하며 COPD의 연령에 따른 사망률은 비흡연자에서 보다 흡연자에서 약 10배 높다고 하며 이러한 위험은 1일 흡연량과 흡연시작 시기, 흡연기간에 비례한다. 흡연자에서 폐포가 파괴되어 탄성 복원력이 없어지는 폐기종이 생긴다. 흡연자에서는 직경 300 마이크 로미터 이하인 세동맥 수가 줄어들고 동맥내막과 혈관중벽의 비후가 나타난다. 흡연시 초당 노력성 호기 용적(FEV1), 모세 기관지 기능, 폐확산능은 감 소하고 어린이나 청소년에서는 폐성장 장애를 일으킨다. 흡연이 COPD 발병에 가장 큰 영향을 주 나이는 알 수 없지만 폐의 최고성장(plateau phase)이 흡연량에 비례해서 줄어들고 COPD 발생이 빨라진다. 흡연의 폐질환 유발은 ① 기관지 반응성의 증가와 ② protease- antiprotease의 불균형
두가지 기전으로 설명되며 그외의 위험인자는 alpha 1-antitrypsin 결핍이나 먼지, 분진 노출, 소아기의 심한 호흡기 질환 등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35 공의의 선지자 아모스 복음 2005-04-25 910
7634 공의의 선지자 아모스 복음 2005-04-25 593
7633 평범함 속의 비범함 복음 2005-04-26 566
7632 몸(건강)에 좋은 음식들 복음 2005-04-26 470
7631 귀한 존재 복음 2005-04-26 604
7630 자기 선물 복음 2005-04-26 521
7629 왜 무디인가? 복음 2005-04-26 644
7628 행복해지는 비결 복음 2005-04-26 578
7627 전염병을 통한 복음의 전염 복음 2005-04-26 757
7626 전염병을 통한 복음의 전염 복음 2005-04-26 562
7625 변갑이 김규식 복음 2005-04-26 564
» 청소년 흡연의 특성 복음 2005-04-27 634
7623 한 마디의 말…환경과 운명을 바꾼다 복음 2005-04-27 620
7622 빵 한 조각 복음 2005-04-27 960
7621 여호와를 찬양하라-1(80) 복음 2005-04-27 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