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부패와 싸운 초기 기독교인

복음............... 조회 수 559 추천 수 0 2005.06.01 07:25:34
.........
부정부패와 싸운 초기 기독교인

조선 후기의 가장 큰 악습 가운데 하나는 부정부패였다. 매관매직 뇌물수수 가렴주구는 조선 관료사회에서는 일상적인 일이었다. 구한말 당시 관찰사직은 20만냥,일등 수령직은 5만냥이었다고 우국지사 매천(梅天) 황현(黃玹)이 폭로한 적이 있다. 이런 매관매직으로 관리가 된 사람들은 “낮에 생각하고 밤에 헤아리는 것이 돈 먹을 생각 뿐인 사람들”이라는 조롱을 받았다.
백성들 가운데는 새로 들어온 기독교가 이런 폭정에서 해방시켜줄 것으로 기대했다. 그래서 샤프 선교사는 “기독교로 오는 사람들이 갖고 있는 첫째 동기는 보호와 힘에 대한 욕구”라고 지적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런 역할은 청?일전쟁 이후 서구문명과 기독교 세력이 널리 인정되고 난 다음에 활발해졌다. 경북 울산군의 경우 예수교인들이 관료들의 부정부패에 항거하다가 동학교인으로 몰려 감옥에 갇힌 일도 있었고 서도의 예수교인들은 관찰사와 군수에게 이유 없이 재산을 탈취 당하자 내무대신에게 항의서를 제출하기도 하였다.
매관매직이 성행했던 1899년 당시 어느 지방 관리로 임명된 사람이 기독교인이 많다는 이유로 부임을 꺼린 사건이 일어났다. 북쪽 지방에서도 새로 군수로 임명된 양반이 부임을 거부하고 영남으로 옮겨달라고 요청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북쪽 지방에는 예수 믿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대한 그리스도인 회보’는 예수교 신자들은 하나님을 공경하고 이웃을 사랑하며 아무런 잘못을 행하지 않는데 예수교인 때문에 부임하지 못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아울러 그 양반이 부임을 거부하는 이유는 무단으로 백성들의 재물을 빼앗아가려고 하기 때문인데 예수교는 그런 부당한 행동에 대해서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못 박는다. 실제로 1900년과 91년에 황해감사로 있던 윤덕영은 흉년 중에서도 가난한 백성들에게 과중한 세금을 거두어 예수교인들의 강력한 항의를 받았고 결국은 해직되었다.
초기 개신교인들은 부정부패를 용납하지 않았다. 우리 스스로 깨끗한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가 사는 사회를 깨끗하게 만드는 것도 그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사실을 그들은 알았기 때문이다.
/박명수<서울신대 신학대학원장>

한국 최초의 세례교인

1862년 중국선교를 시작한 스코틀랜드연합장로교회는 1872년 맥킨타이어와 로스를 만주에 파송하여 만주선교를 시작하였다. 로스는 만주의 개항장인 영구(營口)를 거점으로 선교를 시작하였다. 이 무렵 로스는 평양 대동강변에서 복음을 전하다가 순교한 토머스선교사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되었고, 한국선교에 대한 꿈을 갖게 되었다. 로스는 한국선교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서 1874년 10월9일 영구를 출발하여 고려문을 방문하였다. 고려문은 봉황성 아래 놓여있는 작은 마을로서 청국과 조선국 사이의 합법적인 무역이 이루어지던 공식적인 관문이었다.
로스는 이곳에서 한국 상인들을 만나서 한문성경을 팔면서 전도했으나 한국 사람들은 그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 그들의 관심은 복음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영국산 양목에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여관에 있는 로스에게 50대의 남자상인 한 명이 찾아왔다.그는 조선은 대원군의 쇄국정책으로 서양종교를 받아들이기가 매우 어렵다고 했다. 이 때 로스는 그 상인에게 한문으로 된 신약성경과 번즈목사가 번역한 ‘훈아진언’이라는 기독교소개서를 전해 주었다. 로스는 별 성과 없이 고려문을 떠났다. 하지만 로스의 노력이 열매가 없었던 것이 아니었다. 로스를 직접 찾아가 성경과 소책자를 받아간 상인은 자기의 고향인 의주로 돌아가서 가까운 사람들에게 이것을 전해 주어서 읽게 하였다. 1879년 초,두 명의 한국인이 만주에 있던 맥킨타이어 선교사를 찾아와서 기독교에 관심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매킨타이어는 한국교회의 첫 개종자는 공개적으로 자신의 신앙을 고백해야 하며,또한 고향에 가서 부모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두 사람은 고향으로 돌아갔다가 얼마 후에 다시 돌아왔다.그 중의 한 사람은 세례를 받고, 교인이 되어 즐거워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른 한 사람은 돌아왔으나 세례 받을 의사를 표시하지 않았다. 여기에 나타난 무명의 의주 출신 청년이 한국개신교회 최초의 세례자이다.
/박명수<서울신대 신학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65 가장 무서운 동물 복음 2005-05-30 560
7364 이완용과 예레미야 복음 2005-05-30 820
7363 순교신앙을 갖자 복음 2005-05-30 440
7362 근검절약을 생활화하자 복음 2005-05-30 671
7361 근검절약을 생활화하자 복음 2005-05-30 555
7360 분쟁과 다툼 복음 2005-05-30 336
7359 분쟁과 다툼 복음 2005-05-30 415
7358 고난의 유익(3) 복음 2005-05-31 389
7357 고난의 유익(3) 복음 2005-05-31 365
7356 어느 자동차 판매왕의 비결(99) 복음 2005-05-31 601
7355 어느 자동차 판매왕의 비결 복음 2005-05-31 381
7354 어느 자동차 판매왕의 비결 복음 2005-05-31 603
7353 절망하지 말라 복음 2005-05-31 350
7352 선을 행하라(26) 복음 2005-05-31 821
» 부정부패와 싸운 초기 기독교인 복음 2005-06-01 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