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자료공유 › 얼레빗3005. 시름에 잠긴 봄밤, 여인의 한은?

얼레빗 | 2015.04.17 12:37:24 | 메뉴 건너뛰기 쓰기
gwg.jpg

“돌이켜 여러 가지 일을 하나하나 생각하니 이렇게 살아서 어찌할 것인가? / 등불을 돌려놓고 푸른 거문고를 비스듬이 안고서 / 벽련화 한 곡조를 시름으로 함께 섞어서 연주하니 / 소상강 밤비에 댓잎 소리가 섞여 들리는 듯 / 망주석에 천 년 만에 찾아온 이별한 학이 울고 있는 듯 / 아름다운 여인네의 손으로 타는 솜씨는 옛날 가락 그대로 이건만은 / 연꽃무늬 휘장이 드리워진 방 안이 텅 비었으니, 누구의 귀에 들리겠는가? / 간장이 구곡되어 굽이굽이 끊어질 듯 애통하구나.”

위 시는 조선 중기에 지어진 가사 <규원가(閨怨歌)>를 현대어로 뒤친 일부인데 ‘원부사(怨夫詞, 怨婦詞)’ 또는 ‘원부가(怨婦歌)’라고도 합니다. ≪고금가곡 古今歌曲≫과 ≪교주가곡집 校註歌曲集≫에 실려 전하지요. 작자는 송계연월옹(松桂烟月翁)의 ≪고금가곡≫과 ≪교주가곡집≫에는 허난설헌이 지은 것으로 되어 있고, 홍만종(洪萬宗)의 ≪순오지≫에서는 <원부사>를 허균(許筠)의 첩 무옥(巫玉)이 지은 것으로 전하고 있습니다.

아름답던 자신이 늙어버리자 남편은 떠나가고 이미 떠난 임인데도 그가 어느 여인에게 머물고 있는지 안타까워하고, 얼굴을 볼 수 없는 신세인데도 더욱 그리워지는 여인네의 한입니다. 한을 승화시키려 애절한 거문고를 타니 즈믄 해 만에 찾아온 이별한 학이 우는 듯합니다. 그러나 아무도 없는 방안에서 들어줄 임은 없으니 간장이 끊어질 듯 애통합니다. 찬 겨울밤, 길고 긴 여름밤, 경치가 시름을 안겨주는 봄밤, 달빛 비치고 귀뚜라미 우는 가을밤이 모두 그녀에게는 슬픔의 시간이 되는데 조선조 봉건제도 아래서 빈 방(空閨)을 지키며 눈물로 지새 버림받은 여인의 한이 잘 드러납니다.  

첨부 [1]

댓글 쓰기

목록 삭제
Copyright © 최용우 010-7162-3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