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229호 |
2015년5월29일에 띄우는 오천이백스물아홉번째쪽지! ◁이전l 다음▷
지난호
|
|
|
□믿는다는 것이 무엇이지?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은 ‘이성’이라는 것을 전제로 이야기를 합니다. ‘이성’이라는 것은 한마디로 ‘이유를 대는 능력’입니다. 그들은 ‘신앙이란 신에 대한 절대적이고 맹목적인 추종을 뜻한다. 즉 이유를 댈 수가 없는 것이다’라고 주장하는 교회에 대고 자꾸 ‘신앙이란 무엇인가? 믿는다는 것이 무엇인가?’ 그 이유를 대라고 합니다. 그리하여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앙’에 대한 ‘이성적 증명’을 통하여 유럽 사람들에게 ‘신앙이 합리적인 것임을 증언’하기 위해 300쪽 분량의 책 36권의 ‘신학대전’이라는 방대한 책을 씁니다. 우리가 현재 이성적으로 믿고 있는 기독교 신앙 체계는 거의 신학대전 에서 기초를 따와 그것을 발전시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유를 댈 수 없는 맹목적인 기독교 신앙이 토마스 아퀴나스로 인하여 ‘이유’를 댈 수 있는 이성적인 기독교가 된 것입니다. 그렇다면 “나는 예수님을 믿습니다.”라고 했을 때, 그 믿는다는 것이 무엇이지요? 예수님을 안다는 뜻인가요? 아니면 어떤 사실을 그렇다고 동의한다는 뜻인가요? ‘믿음’은 주로 faith라는 영어단어로 번역됩니다. 그러나 faith 는 ‘특정지식이나 사상이 진리라고 인정하고 동조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독교 믿음은 ‘faith’이 아니고 ‘faithful’입니다. faith가 full을 만나서 faithful이 되면 ‘신뢰’의 의미를 되찾습니다. faithful은 한국어로 ‘신실(信實)’이라고 번역합니다. 한자를 보면 믿을 신(信)에 가득찰 실(實)이다. 믿음이 가득찼다는 의미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을 신실하신 분이라고 합니다. 즉, 하나님은 절대로 뒤퉁수를 치실분이 아니니 완벽하게 믿을 수 있는 분이라는 뜻입니다. 하나님은 신실, 즉 믿음이 빵빵하게 풀(full)로 찬 분이십니다. ⓒ최용우 more...
|
|
이메일을 적어주시면
매일아침 따끈한 말씀의 밥상을 차려서
정성껏 보내드려요. |
|
|
구독자:
14204명 |
|
|
●김남준1723 <바랄수 없는 날의 믿음/말씀사>중에서 ○지난글
|
□궁핍할 때 더 믿음이 요구됩니다
|
신앙은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나님께 미루기 위하여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신앙은 우리의 힘으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일을 하나님을 의지하여 하라고 주신 선물입니다. 그래서 죄를 지었을 때 오히려 더 신앙이 필요합니다. 부요할 때보다 궁핍할 때 더 믿음이 요구됩니다. ⓒ김남준 (열린교회 목사)
|
예수님의 일생을 기록한 성경 마태, 마가, 누가, 요한복음을 4복음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복음서를 쓴 네 사람이 똑같이 기록한 기적 사건이 두 가지 있습니다. 그 중에 하나가 벳세다 광야에서 예수님을 따라다니던 사람 5천명을 배부르게 먹이신 사건입니다. 그 사건이 매우 인상 깊은 사건이었기 때문에 네 사람 모두 기록을 했겠지요? 오늘날로 치면 세계적인 특종 뉴스였을 것입니다.(마14:19)
[꼬랑지] 4복음서에 모두 나와 있는 다른 한 가지 기적 사건은 베드로가 칼을 빼서 말고라는 군병의 귀를 싹둑 짤라버린 사건입니다. ⓒ최용우
|
|
●감사일기 - 가만가만 사랑해야지 이 작은것들 ○지난일기 |
□후박나무와 마로니에
세종시 가로수로 가장 많이 심겨진 것은 마로니에 나무이다. 잎이 넓적넓적하고 일곱장이 배치되어 있어 칠엽수라고도 하는데 후박나무 잎과 매우 비슷하다. 그 크기에서 차이가 날 뿐이다. 오래 전에 법정 스님의 책 ‘무소유’에서 후박나무에 대한 이야기를 읽고 식물도감에서 후박나무가 어떻게 생겼는지 찾아보았다. 그리고 어디에서 후박나무를 볼 때마다 저게 ‘잎사귀가 후두둑 후두둑’(책에 나오는 표현) 떨어지는 후박나무라며 막 아는 척을 했다. 만인산자연휴양림에서 잎이 조금 크다싶은 후박나무(?)사진을 찍어와 정리를 하다가 집에 있는 ‘나무이야기’ 책을 넘겨보면서 저것은 후박나무가 아니라 ‘마로니에’라는 것을 알았다. 모르면 용감하다. 서울 대학로의 ‘마로니에 공원’에 마로니에 나무가 많아 그렇게 이름이 붙었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최용우
|
23.선한 행동
세례를 받은 우리는 그에 대한 보답으로 선한 행동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주어진 깨끗함을 보존하기 위해서 선한 행동을 합니다.
ㄴ깨끗하게 씻은 사람은 더러운 것을 안 만지지요. ⓒ최용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