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책 뒤안길] 유시민의 글쓰기 이론 <공감필법>

목회독서교육 김학현 목사............... 조회 수 593 추천 수 0 2016.09.08 23:46:47
.........
출처 : http://omn.kr/klgq 

20160908_234211.jpg

작가 유시민이 말하는 글 잘 쓰는 법

[책 뒤안길] 유시민의 글쓰기 이론 <공감필법>


"책을 읽을 때는 글쓴이가 텍스트에 담아 둔 생각과 감정을 있는 그대로 보고 느껴야 한다. 그래야 독서가 풍부한 간접 체험이 될 수 있다. 간접 체험을 제대로 해야 책 읽기가 공부가 된다. 그리고 남이 쓴 글에 깊게 감정을 이입할 줄 아는 사람이라야 가상의 독자에게 감정을 이입하면서 글을 쓸 수 있다. 자기 생각과 감정 가운데 타인의 공감을 받을 수 있는 것을 골라낼 수 있고, 그것을 공감을 얻을 수 있는 방식으로 쓰게 된다." - 본문 8쪽

유시민이 말하는 독서를 통한 공부법과 글쓰기 방법이다. 참 쉽게 말한다. 남의 감정을 내 감정으로 소화한다는 게 그리 쉬운 일이 아니건만, 이 말만은 진리다. 남의 글에 감정이입을 안 하면서 내 글로 남을 감동시키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나도 글을 쓰는 사람으로 이게 항상 문제다. 글을 읽을 때 그 글로 들어가야 하는데 주변을 맴돌 때가 여간 많지 않다. 어떤 책은 도저히 용납하지 못할 때도 있다. 물론 그럴 땐 중간에 책을 덮는 경우도 있다. <공감필법>은 나와 뜻(생각, 지식)이 다른 책을 읽더라도 글쓴이의 감정을 헤아리려 노력해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만든다.

유시민은 스스로를 작가라고 말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정치인으로 알고 있다. 17대 국회의원과 44대 보건복지부 장관을 지냈기 때문이다. 지금도 정의당 당원이기에 그를 정치인이라고 생각하는 게 당연하다. 하지만 정치는 은퇴를 선언했고 본인은 작가라는 이름을 몹시도 좋아하는 눈치다.

정치인이 아닌 작가로서의 유시민

유시민은 JTBC의 <썰戰>에서도 자신을 작가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하고 있다. 이름 하여 '유 작가' 다. 유 작가는 자신을 '지식 소매상'이라고 말한다.

그는 글쓰기에 관한 책들을 여러 권 발표했다. <유시민의 논술 특강>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표현의 기술> <어떻게 살 것인가> 등이 그것이다. 그 외에도 공저를 비롯하여 많은 저작물들이 있다.

실제로 유 작가는 <창작과비평>을 통해 중편소설 <달>로 등단한 작가다. 그는 지식을 통해 현실 정치에서의 변화를 열렬히 모색했던 정치인으로서 글쓰기를 새로운 삶의 모색으로 독자들과 만난다. 그는 독서가 글쓰기의 모체라면서 먼저 다른 이의 책 내용에 공감해야 다른 이를 감동시킬 수 있는 글쓰기를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창작과비평(창비)'이 50주년 특별기획으로 '공부의 시대'라는 강연을 개설했다. 이 때 강만길, 김영란, 유시민, 정혜신, 진중권 등 다섯 명의 지식인들이 강연자로 나서 자신들의 전문 분야에 대하여 강연을 했다. 강연 후 강의록을 보완하여 책으로 냈다. 이른 바 '공부의 시대' 시리즈물이다.

그 중 한 권이 유시민의 <공감필법>이다. 저자는 책에서 독서와 글쓰기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는 방법을 말한다. 책은 유시민이 털어놓는 공부의 비법과 의미를 글쓰기로까지 연결시킨다. '감동' '감정이입' '감정' 등의 단어와 친해질 때 비로소 공부가 되고 글쓰기도 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몇 가지 테마를 설정하고 그에 가장 대표적이라고 꼽는(물론 저자 자신의 주장) 작가의 책들을 설명하며 자신의 이론을 첨언한다. 정체성, 감정, 공감, 태도, 격려, 어휘 등을 주 테마로 설정하고 각각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 칼 쎄이컨의 <코스모스>, 신영복과 '떡 신자 이야기', 굴원의 <어부사>, <맹자>와 <유한계급론>, 건축자제론 등이 등장한다.

글을 잘 쓰려면 "공감하라"

저자에게 글쓰기란 "생각과 감정을 문자로 표현하는 행위"다. 그 어떤 것보다 저자에게 감정이 중요한 이유가 여기 있다. 남의 감정을 살피고, 내 감정을 글로 드러내야 한다. 저자가 머리로 이해하는 독서보다 가슴으로 받아들이는 독서를 강조하는 이유다. '어떤 책이든 글쓴이와 심리적으로 거리를 두지 말고 글쓴이의 생각과 감정을 텍스트에 담긴 그대로 이해'하는 '공감'이 필요하다.

독서는 가장 좋은 공부의 방편이고 더 나아가 글쓰기 또한 중요한 공부의 방법이기에 배우려는 자는 둘을 동시에 추구할 수밖에 없다.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어휘를 늘려야 하고, 그 방법 중 추천하는 것은 하루 한 문장, 말하듯이 쓰는 습관을 추천한다.

[정체성]

유발 하라리가 '사람'을 굳이 '사피엔스'라고 말하는 건 여러 종의 생물 가운데 한 종으로의 '사람'을 말하기 때문이다. 사람의 정체성이 '호모 사피엔스'의 일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종과는 달리 사람의 정체성은 의미부여와 깊은 연관을 갖는다.
"우리가 탐하고 갈망하는 것들 가운데 어떤 것도 객관적으로 의미 있는 건 아닙니다. 돈, 지식, 권력, 명예, 다른 모든 것들도 내가 의미를 부여해야 비로소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스스로 자기 인생을 설계하고 의미 있는 사람의 방법을 찾아나간다는 것을 빼면 호모 사피엔스는 다른 종과 다를 게 없어요." - 본문 30쪽

그러니까 '인간과 사회와 생명과 우주를 이해함으로써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 공부와 글쓰기의 이유란 것이다. 그러기에 하루를 '사피엔스의 일원으로 자신에게 무엇이 중요한지 챙기며 또 다른 내일을 준비한다'고 토로한다.

[감정, 공감]

저자에게 공부는 정보를 얻는 게 아니라 감정을 들여다보고 공감하는 것이다. 칼 쎄이건의 <코스모스>는 과학 대중화에 영향을 미친 책이지만 저자의 어린 시절 감정을 곳곳에 심어두었기에 과학 문외한이라도 읽고 공감할 수 있다.

책은 '별은 무엇일까?'라는 어린 시절 호기심에서 시작한다. 누구나 갖는 질문이다. 그러기에 과학 서적이지만 누구나 관심을 갖고 읽고 공감하게 된다. 공부는 남의 감정을 읽는 것이고 글쓰기란 그런 감정을 남에게 글로 전달하는 것이다.

저자가 들고 있는 신영복의 '떡신자 이야기'는 참 공감 가는 이야기다. 떡을 받기 위해 사찰과 교회를 오가는 교도소 신자 이야기다. 인간관계의 변화가 곧 그 사람의 변화를 이끌어낸다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공감의 좋은 예이다. "어떤 지식과 정보를 주로 전달받으며 어떤 감정을 전하는 텍스트를 주로 읽느냐에 따라 세계와 타인과 자기 자신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집니다." - 본문 60쪽

저자는 굴원의 <어부사> 중에서 "창랑의 물이 맑으면 갓끈을 씻고, 창랑의 물이 흐리면 발을 씻으라"는 구절을 모토로 위인의 인생이 아니라 나다운 인생을 각오했다면서 "인생행로를 변경하려고 할 때 누군가의 글에서 용기를 얻는 것도 공부"라고 말한다.

저자는 "뜻을 얻었을 때는 백성과 함께 길을 가고, 그렇지 못하면 홀로 그 길을 간다"는 맹자의 가르침이 정치를 은퇴하고 다시 자신의 길(작가의 길)을 가게 했다며, 이런 격려가 글에 녹아야 한다고 말한다. 소스타 배블런의 <유한계급론> 또한 자신을 격려하는데 적격이었다는 소회를 밝힌다.

어휘


가치 있다고 여기는 정보, 옳다고 여기는 생각, 살아가면서 느끼는 감정을 문자로 표현하는 게 글인데 어휘가 부족하다면 글로 옮기기 힘들게 된다. 건축 자재가 부족하면 건축을 할 수 없는 것과 같다. 그래서 메모하는 습관과 '하루 한 문장'을 추천한다. 한 문장을 적은 메모가 쌓이면 꼭지가 되고 꼭지가 쌓이면 디렉터리를 만들어 보관하는 방법을 말한다.

유시민은 자신이 작가라는 이름을 좋아하듯, 글쓰기에 관한 생각이 쉽고 간편하다. 장황한 이론보다 현실성 있는 접근이 참 맘에 든다. 많은 이들이 그의 책을 사랑하는 건 많은 감동을 주는 내용이기 때문일 것이다.

책을 내려놓으며 이것 하나만이라도 실천해야지 싶은 게 있다. 메모 습관이다. 나이 들어가면서 더욱 절실해진다. 금방 떠오른 명문장이 컴퓨터 앞에 앉아서는 전혀 생각나지 않는다. 하루에 한 문장이라도 적어 놓자. 그리고 열어보고 다른 문장과 연결하자. 그럼 어느 새 다른 이들에게 감동을 안기는 명문장가가 되지 않겠는가. 독자들도 한 번 따라 해보시라.

※뒤안길은 뒤쪽으로 나 있는 오롯한 오솔길입니다. 책을 읽으며 떠오르는 생각의 오솔길을 걷고 싶습니다. 함께 걸어 보지 않으시겠어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목회독서교육 목사의 기원과 역사 신학공부 2023-01-04 116
363 목회독서교육 교회에 대한 네가지 오해 모델 류호준 교수 2022-04-04 66
362 목회독서교육 목사의 가운은 착용해야하는가? 단비 2021-04-09 1051
361 목회독서교육 설교는 이렇게 하라 및 잘못된 설교자 네 가지 단비 2021-04-09 254
360 목회독서교육 10단계 설교작성법에 기초한 설교작성 과정 유응렬 교수 2021-03-07 386
359 목회독서교육 이제는 루터를 보내야 한다 최종원 교수 2020-02-01 109
358 목회독서교육 입당예배 최주훈 목사 2020-01-18 190
357 목회독서교육 비참한 현실과 역사적 진실 사이에서 배덕만 교수 2019-06-26 138
356 목회독서교육 종이책 안 읽으면, 뇌 안의 '깊이 읽기 회로'가 사라진다 file 곽아람 기자 2019-05-25 303
355 목회독서교육 기독교가 한국 경제성장에 미친 영향 (중앙대 김승욱 교수) file 김영국 2019-05-01 340
354 목회독서교육 예전예배를 추구하는 측면에서 바라본 올바른 예배의 방향 file 박종화 목사 2019-04-04 426
353 목회독서교육 일상이 교회다 file 안준호 2019-01-15 244
352 목회독서교육 제임스 패커 <하나님을 아는 지식>요약 file 영자 2019-01-04 972
351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8] 정부론(통치론)-존 로크 file 김세균 교수 2018-12-04 146
350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7] 종의 기원 -찰스 다윈 file 최재천 교수 2018-11-28 220
349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6] 페더랄리스트 페이퍼-알렉산더 해밀턴 外 file 조홍식 교수 2018-11-21 79
348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5] 마의 산-토마스 만 file 안삼환 교수 2018-11-19 85
347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4] 다산시선-정약용 file 금장태 교수 2018-11-17 119
346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3] 리바이어던-토머스 홉스 file 박효종 교수 2018-11-10 79
345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2] 픽션들-호르헤 L 보르헤스 file 김현균 교수 2018-11-06 66
344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1] 안나 카레니나-레프 톨스토이 file 박종소 교수 2018-11-01 82
343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0] 감시와 처벌-미셸 푸코 file 오생근 교수 2018-10-28 117
342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29] 카인의 후예 (황순원) file 조남현 교수 2018-10-13 94
341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28] 주홍글씨(너대니얼 호손) file 신문수 교수 2018-10-12 120
340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27] 실천이성비판(이마누엘 칸트) file 백종현 교수 2018-10-10 69
339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26] 파우스트(괴테) file 임홍배 교수 2018-10-09 80
338 목회독서교육 소비자 취향 저격하자 골목서점이 돌아왔다 file 중앙일보 2018-08-08 99
337 목회독서교육 시(시)란 무엇인가? oh4344 2017-09-28 347
336 목회독서교육 선(善)과 악(惡)에 대한 이해 이지영 목사 2017-09-11 941
335 목회독서교육 설교자가 강단에서 하지 말아야 할 12가지(By 최지호) 최지호 예배예술선교사 2017-06-23 440
334 목회독서교육 한국의 신흥종교와 신천지 file 최용우 2017-02-01 408
333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박노자의 <대한민국 주식회사>로 본 박근혜 정권 file 김학현 목사 2016-09-24 477
»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유시민의 글쓰기 이론 <공감필법> file 김학현 목사 2016-09-08 593
331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진중권의 새 인문학 패러다임 <테크노 인문학의 구상> file 김학현 목사 2016-09-06 531
330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최병성 목사의 <길 위의 십자가> file 김학현 목사 2016-09-01 732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