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서울대권장도서백권34] 다산시선-정약용

목회독서교육 금장태 교수............... 조회 수 119 추천 수 0 2018.11.17 12:24:13
.........
출처 : http://news.donga.com/List/Series_70070000000665/3/70070000000665/20050511/8188508/1 

6945830_1.jpg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34>다산시선-정약용


다산 정약용(1762∼1836)은 당시 유교사상의 공허한 관념과 현실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한 대책을 추구했던 조선 후기 실학의 대표적 인물이다.


그의 저술은 500권이나 되는 방대한 것으로, 그 내용은 유교 경전을 해석한 ‘경학’과 국가 경영의 방법을 제시한 ‘경세학’을 두 축으로 문학 역사 지리 의례 음악 풍속 의학 등 다양한 영역을 포함한다. 1930년대에 신조선사에서 한문판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가 간행된 이후 그동안 많은 번역서와 선집 및 연구서가 나왔다.


먼저 번역서로는 민족문화추진회에서 그의 시와 문집을 번역한 ‘국역 다산시문집’(9권)이 있고, 경학 저술로는 전주대학 호남학연구소에서 ‘대학’ ‘중용’ ‘논어’에 관한 주석이 번역되었다. 이지형의 ‘맹자’ ‘서경’에 관한 주석 번역도 믿을 만하다.


경세학의 저술로는 다산연구회의 ‘목민심서’ 번역이 가장 충실하고, 민족문화추진회의 ‘경세유표’ 번역과 박석무 정해렴의 ‘흠흠신서’ 번역이 있다.


정약용의 저술이 워낙 방대하다 보니 좀더 쉽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그의 저술에서 가려 뽑아 번역한 선집을 읽는 게 도움이 된다.


그의 시를 선집한 것으로 송재소의 ‘다산시선’이 있다. 또 편지나 산문과 논설을 선집한 것으로 박석무의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다산산문선’ ‘다산 논설선집’, 이익성의 ‘다산논총’이 있다.


그러나 정약용의 학문세계를 균형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체적 체계에 맞는 ‘다산문선’의 새로운 편찬이 필요하다.


송재소의 ‘다산시선’은 정약용의 문학적 세계만이 아니라 그의 인간적 고뇌를 절실하게 느낄 수 있고, 그의 실학 정신을 구체적으로 엿볼 수 있는 좋은 선집으로 꼽을 수 있다. 정약용의 시에서는 서정적 감흥이나 자연적 정취도 다양하고 풍부하게 제시된다.


그러나 그의 실학 정신을 가장 잘 보여 주는 대목은 당시 우리 서민 생활의 풍속과 노동의 풍경을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는 이른바  ‘조선시(朝鮮詩)’의 세계와, 당시 빈곤한 백성의 참혹한 생활 모습과 착취 속에 고통받는 비참한 현실을 처절하게 고발하는 ‘사회시(社會詩)’의 세계라 할 수 있다.


‘다산시선’은 정약용의 많은 시 가운데서 그의 인간과 사회의식과 시대정신을 가장 뚜렷하게 드러내는 시를 잘 골라서 주석과 해설을 붙여 쉽게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정약용 자신이 선언한 ‘조선시’는 농촌과 어촌의 서민 생활을 묘사하면서 특히 토속언어를 그대로 살려 우리의 정서와 현장을 생동감 있게 전달해 준다.


이러한 ‘조선시’는 바로 그가 우리의 역사 지리 언어 풍속에 관해 폭넓은 관심으로 조사하고 발굴함으로써 국학(國學)을 일으키고 이를 통해 민족의식을 각성할 수 있는 기반을 닦아 갔던 것과 같은 맥락이다.


또한 그의 ‘사회시’는 고통받는 백성의 현실을 고발하면서 백성에게는 인간다운 삶의 권리가 있고, 관리에게는 백성의 삶을 지켜 주어야 할 책임이 있음을 절실하게 확인시켜 준다.


그것은 ‘목민심서’를 비롯한 그의 경세학 저술에서 백성에 대한 사랑과 공직에 대한 봉사의무를 강조하고, 합리적이며 평등한 사회적 이상을 추구하는 사회 개혁의 이론과 통하는 사회사상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금장태 서울대 교수·종교학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목회독서교육 목사의 기원과 역사 신학공부 2023-01-04 116
363 목회독서교육 교회에 대한 네가지 오해 모델 류호준 교수 2022-04-04 66
362 목회독서교육 목사의 가운은 착용해야하는가? 단비 2021-04-09 1051
361 목회독서교육 설교는 이렇게 하라 및 잘못된 설교자 네 가지 단비 2021-04-09 254
360 목회독서교육 10단계 설교작성법에 기초한 설교작성 과정 유응렬 교수 2021-03-07 386
359 목회독서교육 이제는 루터를 보내야 한다 최종원 교수 2020-02-01 109
358 목회독서교육 입당예배 최주훈 목사 2020-01-18 190
357 목회독서교육 비참한 현실과 역사적 진실 사이에서 배덕만 교수 2019-06-26 138
356 목회독서교육 종이책 안 읽으면, 뇌 안의 '깊이 읽기 회로'가 사라진다 file 곽아람 기자 2019-05-25 303
355 목회독서교육 기독교가 한국 경제성장에 미친 영향 (중앙대 김승욱 교수) file 김영국 2019-05-01 340
354 목회독서교육 예전예배를 추구하는 측면에서 바라본 올바른 예배의 방향 file 박종화 목사 2019-04-04 426
353 목회독서교육 일상이 교회다 file 안준호 2019-01-15 244
352 목회독서교육 제임스 패커 <하나님을 아는 지식>요약 file 영자 2019-01-04 972
351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8] 정부론(통치론)-존 로크 file 김세균 교수 2018-12-04 146
350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7] 종의 기원 -찰스 다윈 file 최재천 교수 2018-11-28 220
349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6] 페더랄리스트 페이퍼-알렉산더 해밀턴 外 file 조홍식 교수 2018-11-21 79
348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5] 마의 산-토마스 만 file 안삼환 교수 2018-11-19 85
»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4] 다산시선-정약용 file 금장태 교수 2018-11-17 119
346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3] 리바이어던-토머스 홉스 file 박효종 교수 2018-11-10 79
345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2] 픽션들-호르헤 L 보르헤스 file 김현균 교수 2018-11-06 66
344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1] 안나 카레니나-레프 톨스토이 file 박종소 교수 2018-11-01 82
343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0] 감시와 처벌-미셸 푸코 file 오생근 교수 2018-10-28 117
342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29] 카인의 후예 (황순원) file 조남현 교수 2018-10-13 94
341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28] 주홍글씨(너대니얼 호손) file 신문수 교수 2018-10-12 120
340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27] 실천이성비판(이마누엘 칸트) file 백종현 교수 2018-10-10 69
339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26] 파우스트(괴테) file 임홍배 교수 2018-10-09 80
338 목회독서교육 소비자 취향 저격하자 골목서점이 돌아왔다 file 중앙일보 2018-08-08 99
337 목회독서교육 시(시)란 무엇인가? oh4344 2017-09-28 347
336 목회독서교육 선(善)과 악(惡)에 대한 이해 이지영 목사 2017-09-11 941
335 목회독서교육 설교자가 강단에서 하지 말아야 할 12가지(By 최지호) 최지호 예배예술선교사 2017-06-23 440
334 목회독서교육 한국의 신흥종교와 신천지 file 최용우 2017-02-01 408
333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박노자의 <대한민국 주식회사>로 본 박근혜 정권 file 김학현 목사 2016-09-24 477
332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유시민의 글쓰기 이론 <공감필법> file 김학현 목사 2016-09-08 593
331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진중권의 새 인문학 패러다임 <테크노 인문학의 구상> file 김학현 목사 2016-09-06 531
330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최병성 목사의 <길 위의 십자가> file 김학현 목사 2016-09-01 732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