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서울대권장도서백권35] 마의 산-토마스 만

목회독서교육 안삼환 교수............... 조회 수 85 추천 수 0 2018.11.19 23:37:14
.........
출처 : http://news.donga.com/View?gid=8188859&date=20050512 

6945928_1.jpg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35>마의 산-토마스 만


중세 유럽의 연금술사는 황금을 얻고자 증류기 비슷한 밀폐 공간에다 각종 금속을 섞어 넣은 다음 높은 온도의 열을 가하는 실험을 시도했다. 이런 ‘연금술적’ 발상이 뜻밖에도 20세기 독일 소설문학에서 언뜻 엿보이는데 토마스 만의 대표작 ‘마의 산’(1924)이 그러하다.


‘마의 산’이라니, 대체 무슨 산인가? 스위스 고산지대의 소읍 다보스에 있는 고급 호텔식 폐결핵요양소 ‘베르크호프’이다.


이제 막 조선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곧 함부르크의 조선소에 취직할 23세의 청년 한스 카스토로프가 여기에 도착한다. 환자로 입원하러 가는 길이 아니라 이이미 입원해 있는 사촌형을 문병하기 위해 3주 예정으로 이곳에 온 것이다.

입원해 있던 이탈리아 출신의 인문주의자 세템브리니는 카스토르프에게 ‘죽음’의 세계에 흘러 들어와 아까운 시간을 허비하지 말고 당장 ‘저 아래’의 시민 세계로 복귀하라고 충고한다.


그러나 러시아 여인 쇼샤 부인에게 마음이 끌린 청년은 우물쭈물하며 시간을 보내다가 그만 병에 걸리고 만다. 

함부르크의 시민이 ‘죽음’의 공간(마의 산)의 구성원이 된 것이며 토마스 만의 ‘죽음’의 연금술이 시작된 것이다.

하루에 다섯 끼씩 중후한 식사를 하면서 오늘이 어제 같고 내일도 오늘과 똑같은 취생몽사 상태에 빠져 7년 세월을 허송하다가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나서야 하산하여 곧 참전한다. 포탄이 난무하는 전장에서 ‘보리수’ 노래를 부르며 진흙탕 속을 행군하는 주인공의 장래 전망은 매우 어두울 수밖에 없다.


1차 대전 이전의 답답한 분위기를 감안하면 시대소설이지만 베르크호프라는 ‘폐쇄 공간’이 ‘죽음’과 직결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일종의 시간소설이기도 하다.


이 소설의 축약판이라 할 수 있는 ‘눈(雪)의 장’에서 스키를 타고 설원을 헤매다 정신을 잃은 채 쓰러진 주인공은 몽환 상태에서 ‘인간은 선과 사랑을 위해서 자기사고(思考)의 지배권을 죽음에다 내맡겨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바깥 세계와 차단된 ‘죽음’의 공간에서 역설적이게도 ‘삶’의 중요성을 깨달았다는 의미에서 이 소설은 독일 교양소설의 변종의 하나인 ‘성년식(成年式) 소설’로도 읽힌다. 그가 7년 동안의 취생몽사 끝에 마침내 얻게 된 깨달음이 전사 직전에 처한 그의 상황에서 대체 무슨 의미가 있단 말인가?


그러나 이 이야기를 읽는 독자들은 그의 ‘마의 산에서의 체험’을 추체험(追體驗)해 가면서 정신적 고양(高揚)을 얻게 된다. 


토마스 만이 자신의 독자에게 이 책을 두 번 읽기를 권한 까닭도 이 간접 체험의 보편적 진실성 때문일 것이다.

이 작품을 찬찬히 읽는 독자는 서구 정신사를, 그 감성적 구체성 속에서, 축약적으로 체험하게 된다. 

주인공은 그의 두 스승 세템브리니와 나프타의 격렬한 논쟁을 거의 중립적인 태도로 경청하지만 독자는 그들의 온갖 논거를 두루 거침으로써 자신이 한 단계 더 높은 교양인으로 거듭난 것을 깨닫게 된다. 그리하여 마침내 20세기의 ‘연금술사’ 토마스 만을 만난 기쁨과 보람을 느끼게 될 것이다.


안삼환 서울대 교수·독어독문학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목회독서교육 목사의 기원과 역사 신학공부 2023-01-04 116
363 목회독서교육 교회에 대한 네가지 오해 모델 류호준 교수 2022-04-04 66
362 목회독서교육 목사의 가운은 착용해야하는가? 단비 2021-04-09 1051
361 목회독서교육 설교는 이렇게 하라 및 잘못된 설교자 네 가지 단비 2021-04-09 254
360 목회독서교육 10단계 설교작성법에 기초한 설교작성 과정 유응렬 교수 2021-03-07 386
359 목회독서교육 이제는 루터를 보내야 한다 최종원 교수 2020-02-01 109
358 목회독서교육 입당예배 최주훈 목사 2020-01-18 190
357 목회독서교육 비참한 현실과 역사적 진실 사이에서 배덕만 교수 2019-06-26 138
356 목회독서교육 종이책 안 읽으면, 뇌 안의 '깊이 읽기 회로'가 사라진다 file 곽아람 기자 2019-05-25 303
355 목회독서교육 기독교가 한국 경제성장에 미친 영향 (중앙대 김승욱 교수) file 김영국 2019-05-01 340
354 목회독서교육 예전예배를 추구하는 측면에서 바라본 올바른 예배의 방향 file 박종화 목사 2019-04-04 426
353 목회독서교육 일상이 교회다 file 안준호 2019-01-15 244
352 목회독서교육 제임스 패커 <하나님을 아는 지식>요약 file 영자 2019-01-04 972
351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8] 정부론(통치론)-존 로크 file 김세균 교수 2018-12-04 146
350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7] 종의 기원 -찰스 다윈 file 최재천 교수 2018-11-28 220
349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6] 페더랄리스트 페이퍼-알렉산더 해밀턴 外 file 조홍식 교수 2018-11-21 79
»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5] 마의 산-토마스 만 file 안삼환 교수 2018-11-19 85
347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4] 다산시선-정약용 file 금장태 교수 2018-11-17 119
346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3] 리바이어던-토머스 홉스 file 박효종 교수 2018-11-10 79
345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2] 픽션들-호르헤 L 보르헤스 file 김현균 교수 2018-11-06 66
344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1] 안나 카레니나-레프 톨스토이 file 박종소 교수 2018-11-01 82
343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30] 감시와 처벌-미셸 푸코 file 오생근 교수 2018-10-28 117
342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29] 카인의 후예 (황순원) file 조남현 교수 2018-10-13 94
341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28] 주홍글씨(너대니얼 호손) file 신문수 교수 2018-10-12 120
340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27] 실천이성비판(이마누엘 칸트) file 백종현 교수 2018-10-10 69
339 목회독서교육 [서울대권장도서백권26] 파우스트(괴테) file 임홍배 교수 2018-10-09 80
338 목회독서교육 소비자 취향 저격하자 골목서점이 돌아왔다 file 중앙일보 2018-08-08 99
337 목회독서교육 시(시)란 무엇인가? oh4344 2017-09-28 347
336 목회독서교육 선(善)과 악(惡)에 대한 이해 이지영 목사 2017-09-11 941
335 목회독서교육 설교자가 강단에서 하지 말아야 할 12가지(By 최지호) 최지호 예배예술선교사 2017-06-23 440
334 목회독서교육 한국의 신흥종교와 신천지 file 최용우 2017-02-01 408
333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박노자의 <대한민국 주식회사>로 본 박근혜 정권 file 김학현 목사 2016-09-24 477
332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유시민의 글쓰기 이론 <공감필법> file 김학현 목사 2016-09-08 593
331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진중권의 새 인문학 패러다임 <테크노 인문학의 구상> file 김학현 목사 2016-09-06 531
330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최병성 목사의 <길 위의 십자가> file 김학현 목사 2016-09-01 732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