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당신은 자신이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습니까?

물맷돌............... 조회 수 168 추천 수 0 2022.07.09 19:14:53
.........

[아침편지3094] 2022년 6월 20일 월요일

 

“당신은 자신이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습니까?”

 

샬롬! 어저께 주일은 은혜로이 잘 보내셨는지요? 이번 한 주간도 늘 건강하고 평안하시길 기원합니다. 냉장 보관할 경우, 오히려 더 빨리 변질하고,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식품이 있다고 합니다. 그것은 바로, 마요네즈, 수박, 채소류, 감자, 꿀 등입니다. 수박은 잘라서 넣어둬야 한다고 하네요.

 

“당신은 자녀가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습니까?”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강연에서 흔히 꺼내는 질문입니다.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부모라면, 이 질문에 100%동의합니다. 그럼 이번에는 “당신은 자신이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습니까?”하고 물어봅니다. 이 질문도 당연합니다. 그런데, 선뜻 ‘그렇다’고 대답하지 못하는 부모가 꽤 있습니다. 지금껏 한 번도 생각해본 적이 없거나, 아무래도 그런 마음이 없는 것 같아서일 겁니다.

 

왜 우리는 ‘자신이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다’고 선뜻 답하지 못할까요? 그 이유 중 하나는 ‘자신이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이기심으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흔히 이기심과 이타심이 서로 반대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남을 위하는 마음’은 좋고, ‘자신을 위하는 마음’은 나쁘다고 간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생각 때문에, 타인에게는 친절하나 자신에게는 불친절하고, 타인은 잘 돌보지만 정작 자신은 잘 돌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과연 자기를 위하지 않고 상대만을 위하는 것을 ‘이타심’이라고 이야기해야 할까요? 이는 엄밀히 말하면, 이타심이 아니라 희생입니다. 진정한 이타심은 ‘상대를 위하는 일이 곧 자신을 위하는 거’라고 느낄 때에 발휘됩니다. 즉, 자기만족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물론, 늘 그럴 수는 없습니다. 때로는, 양보와 희생도 필요합니다. 그러나 희생은 사랑의 한 요소일 뿐, 본질은 아닙니다. 희생에 바탕을 둔 사랑은 오래갈 수 없습니다. 자신도 모르게 피해의식과 보상욕구가 커지고, 상대가 자신의 기대대로 행동해주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누구나 ‘자기만 위하는 사람’으로 태어납니다. 애착본능 때문입니다. 아이들은 살아남고자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애착 대상에게 매달립니다. 아이는 ‘부모가 밥을 먹었는지, 잠을 잘 잤는지, 기분이 어떤지?’등은 전혀 관심이 없습니다. 오직 자신만 바라보고 늘 자기 옆에 있으면서 ‘해 달라’는 대로 해주기를 바랄 뿐입니다. 이처럼 ‘자기밖에 모르는 애착본능’에서 벗어나 ‘자신도 위하고 남도 위할 줄 아는’ ‘자기사랑’으로 나아가는 것이 사회성발달의 핵심입니다.(출처; 좋은생각, 문요한 /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글쓴이는 ‘진정한 이타심은 상대를 위하는 일이 곧 자신을 위하는 것이라고 느낄 때에 발휘된다.’고 했습니다. 어느 정도 동의합니다. 하지만, 이 세상에는 ‘베풀고 주는 것’만으로도 만족하게 여기는 이들도 많습니다. 우리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비롯해서, 부모의 자식사랑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진정한 그리스도의 정신으로 살아가는 사람들도 있습니다.(물맷돌)

 

[사람들이 너에게 나쁜 일을 했다 해도, 복수를 하거나 앙심을 품지 말고,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 나는 여호와이다.(렘19:18,쉬운성경) 모든 율법은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하나의 말씀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서로 헐뜯고 해친다면, 둘 다 멸망할 것입니다. 그렇게 되지 않도록 조심하십시오.(갈5:14-15,현대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850 빠름보다 바름 file 김성국 목사 2022-08-04 277
37849 열정은 만족에서 나온다 file 고상섭 목사 2022-08-04 182
37848 그때, 우리는 비로소 죽음을 기억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물맷돌 2022-07-30 278
37847 갑자기 눈물이 핑 돌며 후회가 밀려왔습니다. 물맷돌 2022-07-30 237
37846 오늘의 제가 있게 된 것은 이런 좋은 친구들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물맷돌 2022-07-30 197
37845 참으로 행복한 인생을 살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물맷돌 2022-07-30 220
37844 선생님, 저는 어쩌면 좋을까요? 저를 좀 도와주세요. 물맷돌 2022-07-30 116
37843 사람들은 왜 사기꾼에게 당하는 걸까요? 물맷돌 2022-07-30 165
37842 참으로 행복한 인생을 살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물맷돌 2022-07-30 186
37841 엄마 영전에 바친 어느 딸의 글 물맷돌 2022-07-30 153
37840 사랑으로 문안하라 김장환 목사 2022-07-28 435
37839 말씀을 닮아가라 김장환 목사 2022-07-28 587
37838 성공의 10가지 원리 김장환 목사 2022-07-28 233
37837 인간으로 오신 이유 김장환 목사 2022-07-28 308
37836 죽음을 위한 준비 김장환 목사 2022-07-28 392
37835 인생을 위한 한 문장 김장환 목사 2022-07-28 410
37834 무엇이 성공인가 김장환 목사 2022-07-28 337
37833 희망을 주는 지도자 김장환 목사 2022-07-28 280
37832 미래에 대한 생각 file 지성호 목사 2022-07-26 310
37831 신뢰의 눈 file 조주희 목사 2022-07-26 373
37830 우주의 신비를 보면서 file 김종구 목사 2022-07-26 238
37829 나는 너희를 모른다 file 서재경 목사 2022-07-26 254
37828 살아있는 신호등 file 김성국 목사 2022-07-26 349
37827 믿음은 사고하는 것이다 file 고상섭 목사 2022-07-26 306
37826 저녁에 당신이 좋아하는 청국장 끊일까요? 물맷돌 2022-07-22 180
37825 친한 친구일수록 더 극진히 예의를 갖춰야 합니다. 물맷돌 2022-07-22 206
37824 내가 왜 이 지경까지 오게 되었을까? 물맷돌 2022-07-22 175
37823 우리 인생의 첫째목표는 ‘정기(正己)’입니다 물맷돌 2022-07-22 118
37822 진작 엄마의 마음을 알았으면 좋았을 텐데… 물맷돌 2022-07-22 102
37821 목표를 세웠다면, 바로 절실한 마음과 함께 행동으로 옮겨야 합니다. 물맷돌 2022-07-22 115
37820 먼 곳으로 떠나고 싶은 이유? 물맷돌 2022-07-22 117
37819 저는 엄마한테 받은 게 엄청 많은 걸요! 물맷돌 2022-07-22 101
37818 삶 속의 하나님 김장환 목사 2022-07-21 643
37817 결정은 나의 몫 김장환 목사 2022-07-21 401
37816 행복한 경쟁력 김장환 목사 2022-07-21 307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