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

[아침편지3233] 2022년 11월 29일 화요일

 

“너무 잘하려고, 뭐든지 금방 다 하려고 애쓰다가, 마음 다치지 마라!”

 

샬롬! 밤새 편안히 잘 쉬셨는지요? 11월 29일 화요일 아침입니다. 오늘 하루도 내내 건강하고 평안하시길 빕니다. ‘일이 순조롭지 않아서 어렵게 된 처지나 환경’을 ‘역경(逆境)’이라 하는데, 어느 소설가(권오현)는 ‘역경’에 대하여 이렇게 말했습니다. “저는 역경이 닥치면, ‘그것을 거꾸로 이용하라’는 뜻으로 해석합니다. 오히려, 다가오는 기회로 삼는 것입니다.”

 

저는 ‘첫째니까 무조건 잘해야 하고,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말을 듣고 자랐습니다. 그 이유는, ‘동생들이 보고 배우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노력해서, 좋은 대학과 좋은 직장에 가야 한다.’는 부모님의 간절한 소망은, ‘우리도 너를 위해서 있는 힘껏 노력하고 있으니, 더 분발하라!’는 징표였습니다. 그 사랑과 관심에 벅차서 눈물이 날 때도 있었지만, ‘최선을 다해서 키웠다’는 그 말의 무게에 짓눌려서 도망가고 싶을 때도 있었습니다. ‘죽어라 노력하고 애써도 안 되는 게 많다’는 걸 배운 ‘상처투성이 성장기’였습니다.

 

그런 저에게 “너무 애쓰지 말고 살아!”라고 말하는 ‘문제적 어른’이 나타났습니다. 저의 시어머니였습니다. 평생 ‘열심’과 ‘최선’을 귀에 딱지가 앉게 듣고 자란 저에게 그 말은 정말 충격적이었는데, 더 놀란 것은 그 말에 터진 저의 눈물이었습니다. 돌이켜보니, 그때 제가 느낀 감정은 ‘거대한 안심’이었습니다. 12월의 크리스마스는 늘 불행했습니다. 크리스마스에도 당선 전화가 오지 않으면, 그해의 신춘문예는 또 낙방이었습니다. 10년째 낙방하던 신춘문예, 갚을 길이 멀어 보이는 대출금, 자주 반려되던 기획서에 짓눌려서 언제든 절벽으로 떨어질 것 같던 저에게 “너무 잘하려고, 무슨 일이든지 금방 다 하려고 애쓰다가, 마음 다치지 마라!”는 그 말씀은 ‘큰 나무 밑의 그늘’처럼, ‘기대어 쉴 수 있는 안전판’ 같았습니다.

 

‘심윤경’의 ‘나의 아름다운 할머니’에는, 치열한 교육관을 가진 부모님과는 달리, “그려, 안뒤야, 뒤얏어, 몰러, 워쩌?”와 같은, 순하고 단순한 할머니의 말씀을 곁에 두고 산 소설가의 유년기가 등장합니다. 이 아름다운 책에 “사랑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라서, 나는 내가 그렇게 많은 것을 받은 줄도 몰랐다”라는 말이 나오는데, 저는 그 말의 의미를 20년이 넘도록 ‘아흔의 시어머니’로부터 배웠습니다. 때로는 ‘격려와 기대가 자식을 숨 쉬지 못하게 하는 부담과 죄책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통달한 어른이 주는, 그 ‘무심한 다정’을 원 없이 받은 것입니다.

 

‘비싸고 좋은 물건이니, 아껴서 조심히 쓰라’는 말보다, ‘깨져도 괜찮으니, 마음껏 쓰라’고 말씀하는 어른은 얼마나 희귀합니까? ‘알아도 모르는 척, 묻지 않는 배려’는 또 얼마나 귀한가요?(출처; C닷컴, 백영옥의 말과 글 / 소설가)

 

복음서엔 “유대인지도자들은 ‘자기들도 할 수 없는 무거운 짐(613개나 되는 율법)’을 남의 어깨에 지우고, 자기들은 손끝 하나 까딱하려고 하지 않는다.”는 말씀이 있습니다. 우리네 보통 어른들(윗사람)도 흔히 그런 실수를 합니다. 자기들은 마치 ‘모범생이고 우등장학생’이었던 것처럼 자녀들을 닦달하는 부모들도 있습니다. 그런데, 글쓴이의 시어머니는 ‘그렇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너무 잘하려고, 무슨 일이든지 금방 다 하려고 애쓰다가, 마음 다치지 마라!”고 하셨답니다. 그래서 글쓴이에게 시어머니 말씀은 “큰 나무 밑의 그늘처럼, 기대어 쉴 수 있는 안전판 같았다”고 했습니다.(물맷돌)

 

[그들은(유대인 지도자들) 말만 하고 행하지는 않는다. 그들은 무거운 짐을 묶어 다른 사람들의 어깨에 올리지만, 정작 자신들은 그 짐을 지기 위해 손가락 하나 움직이려고 하지 않는다.(마23:3하-4,쉬운성경)]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166 믿으면 행복해지는 이유 김장환 목사 2021-11-21 455
37165 가치를 알아보는 눈 김장환 목사 2021-11-21 392
37164 밥 차려주는 남자 전담양 목사 2021-11-18 403
37163 빨리 빨리 손석일 목사 2021-11-18 299
37162 오징어 게임 한재욱 목사 2021-11-18 622
37161 포렌식 한희철 목사 2021-11-18 283
37160 진일보 이성준 목사 2021-11-18 205
37159 지금 여기서 변성우 목사 2021-11-18 315
37158 소통 전담양 목사 2021-11-18 327
37157 스터디 그룹에서 얻은 교훈 손석일 목사 2021-11-18 155
37156 진정으로 자신을 사랑할 줄 아는 사람’이었습니다 물맷돌 2021-11-16 198
37155 아비노릇하기가 참 어렵습니다 물맷돌 2021-11-16 190
37154 자기를 나타내고자 하는 마음 물맷돌 2021-11-16 166
37153 제가 인생을 잘못 살고 있는 것 같아요 물맷돌 2021-11-16 151
37152 찜질방에서 만난 사람들 물맷돌 2021-11-16 168
37151 이전보다는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맷돌 2021-11-16 114
37150 꿈이 있는 사람은 고민을 즐길 줄 압니다 물맷돌 2021-11-16 179
37149 지금도 발각되면 감옥행입니다 물맷돌 2021-11-16 186
37148 두 번째 삶 김장환 목사 2021-11-14 519
37147 시간을 아끼는 법 김장환 목사 2021-11-14 299
37146 40년과 1분 김장환 목사 2021-11-14 526
37145 기도 처방전 김장환 목사 2021-11-14 573
37144 죄의 매력 김장환 목사 2021-11-14 358
37143 가슴으로 함께 하라 김장환 목사 2021-11-14 358
37142 기도로 시작하라 김장환 목사 2021-11-14 625
37141 깨어있어야 할 이유 김장환 목사 2021-11-14 386
37140 하늘에 별 달기 한재욱 목사 2021-11-11 441
37139 한 땀 한 땀 한희철 목사 2021-11-11 396
37138 관계 행복 이성준 목사 2021-11-11 544
37137 물 좀 주소 변성우 목사 2021-11-11 269
37136 맞물리는 인생 전담양 목사 2021-11-11 334
37135 포도 한 상자 손석일 목사 2021-11-11 303
37134 아무개 한재욱 목사 2021-11-11 311
37133 창을 사랑하는 것은 한희철 목사 2021-11-11 265
37132 홀로 남은 어머니는 이제 치매가 깊어지셨습니다 물맷돌 2021-11-07 227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