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산 자와 죽은 자, 그 삶과 죽음은 영원히 연결되어 있습니다!

물맥돌............... 조회 수 191 추천 수 0 2023.01.18 12:47:52
.........

[아침편지3250] 2022년 12월 19일 월요일

 

산 자와 죽은 자, 그 삶과 죽음은 영원히 연결되어 있습니다!

 

샬롬! 어저께 주일은 은혜로이 잘 보내셨는지요? 12월의 세 번째 월요일 아침입니다. 이번 한 주간도 내내 건강하고 평안하시길 빕니다. 치매는 현대의학으로 여전히 치료할 방법이 없는 무서운 질병이랍니다. 발전하는 의료기술 만큼 치매는 먼 나라의 이야기 같지만, 한국의 치매환자는 급속도로 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그 이유는,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이 뇌를 병들게 하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그런데, 뇌과학자들이 먹지 않는 음식이 있는데, 내일부터 그 음식과 그 이유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사랑하는 사람과 죽음으로 이별할 때, 그 아픔은 표현할 길이 없습니다. 하지만, 한 가지 위안이 있다면, 어쩌면 그 이별이 영원한 이별이 아니고 언젠가 좀 더 좋은 세상에서 다시 만나게 되리라는 기대와 소망입니다.

 

아버지(고故 장왕록 교수)가 계시는 천안공원묘지 입구에는 아주 커다란 바윗돌에 ‘나 그대 믿고 떠나리.’라고 쓰여 있었습니다. ‘누가 한 말인지, 어디서 나온 인용인지?’ 알 수 없습니다. 그냥 밑도 끝도 없이, 커다란 검정색 붓글씨체로 그렇게 쓰여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좀 촌스럽고 투박한 말 같았는데, 어느 날 문득 그 말의 의미가 가슴에 와 닿았습니다.

 

그렇습니다. 중요한 것은 믿음입니다.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이 이 세상 삶을 마무리하고 떠날 때, 그들은 우리에게 ‘믿음’을 주는 것입니다. 자기들이 못다 한 사랑을 해주리라는 믿음, 진실하고 용기있는 삶을 살아 주리라는 믿음,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고 받아 주리라는 믿음, 우리도 그 뒤를 따를 때까지 이곳에서 귀중한 시간을 헛되이 보내지 않으리라는 믿음 ? 그리고 그 믿음에 걸맞게 살아가는 것은, 아직 이곳에 남아있는 우리들 몫입니다.

 

아버지, 이곳에 오시고 나서 얼마 후에 ‘거버’ 박사께 전화했습니다. 1950년대에 ‘아이오와주립대학교’에서 아버지를 가르치셨고, 퇴임 후 1980년대에는 ‘뉴욕주립대학교’에서 명예교수로 계실 때 저를 가르치신 선생님 말입니다. 올해 91세이신데도 아직 정정하시지만, 가끔 건망증이 심하십니다. 이번에 전화를 드리니까, 아주 반색하시면서 “아, 왕록아! 오랜만이로구나! 그런데, 영희는 죽었지?”하셨습니다. 제가 “선생님, 이름을 바꿔 기억하시네요!”하고 말씀드리니까, 거버 박사가 “참, 그렇지? 미안하다. 너희 둘은 모습도 말하는 것도 너무 닮아서 말이야!”하고 말씀하셨습니다.

 

모습과 말하는 것은 닮은꼴이지만, 아버지의 재능과 부지런함, 그리고 명민함을 제대로 물려받지 못한 저는, 아버지께서 하신 일과 하시고 싶었던 일까지 모두 닮고 싶어서, 아버지께서 보셨던 것과 똑같은 강, 똑같은 하늘, 똑같은 길을 보면서 아버지를 생각합니다. 영국작가 ‘새무얼 버틀러’는 ‘잊히지 않은 자는 죽은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지요. 떠난 사람의 믿음 속에서, 남은 사람의 기억 속에서, 삶과 죽음은 영원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시 뵐 때까지, 아버지의 믿음을 기억하면서, 성실하고 부지런히, 그리고 용기 있게 살아가겠습니다. 내일 뵈어요, 아버지!(출처;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장영희 / 서강대교수로 계시다가 2009년 5월 소천)

 

아버지를 존경하면서 그 삶을 닮고자 했던 장영희 교수님, 비록 57세라는 젊은 나이에 소천하셨지만, 그녀가 남겨놓은 수많은 글들은 지금도 수많은 사람들의 심금을 아주 크게 울리고 있습니다. 우리도 ‘그리 머지않아 곧’ 두 분 장 교수님들처럼, 육신은 땅 속에 묻히고, 그 영혼은 하늘나라로 향하겠지요! 그 나라에 가기 전까지, 우리 후손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기 위하여, 우리 모두 부단히 노력하고 힘써야겠습니다.(물맷돌)

 

[모세는 백이십 세에 죽었습니다. 그러나 그의 눈은 어두워지지 않았고, 그때까지도 그 기력이 약해지지 않았습니다.(신34:7,쉬운성경) 주께서는 언제나 모든 악에서 나를 건져주시고 하늘나라로 인도해주실 것을 믿습니다. 하나님께 영원토록 영광이 함께 하소서. 아멘.(딤후4:18,현대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7150 별을 헤는 마음 변성우 목사 2021-08-09 248
37149 딸 같은 며느리가 되겠습니다! 물맷돌 2022-10-24 248
37148 영혼의 집밥 file 김종구 목사 2022-11-15 248
37147 침묵의 행동 김장환 목사 2022-12-02 248
37146 상대방을 이해하는 법 김장환 목사 2023-02-09 248
37145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file 조주희 목사 2023-02-15 248
37144 꽃피는 봄이 오면 file 안광복 목사 2023-03-04 248
37143 포스트모던 시대의 전도 file 고상섭 목사 2023-03-26 248
37142 원수를 사랑한 노예 김용호 2023-07-17 248
37141 굳 나잇(Good night) 풍성한 삶 2023-08-15 248
37140 죽음을 위한 준비 풍성한 삶 2023-11-21 248
37139 작은 외침의 길 file 이일성 목사(군산 풍원교회) 2016-10-04 249
37138 폭력과 삶의 모순을 넘는 사랑 file 이주연 목사 2017-04-12 249
37137 최고의 룸메이트 file 박성규 부산 부전교회 목사 2017-10-16 249
37136 누가 예수를 죽였는가 file 김석년 서울 서초성결교회 목사 2017-11-28 249
37135 욕망의 열차에서 내려 file 이주연 목사 2018-06-19 249
37134 영적 그리움과 교제 file 이주연 목사 2018-08-13 249
37133 봄 맛 file 한재욱 목사 2018-10-25 249
37132 전영창 선생님의 애국심 file 박성규 목사 2019-02-16 249
37131 가슴을 이끄는 것 김장환 목사 2019-04-09 249
37130 감정(感情)과 감정(憾情)사이 file 손석일 목사 2019-05-08 249
37129 초청에 응하시는 주님 김장환 목사 2019-06-01 249
37128 고통을 다스리는 법 file 김민정 목사 2019-06-24 249
37127 삶은 ‘나누라’고 주어진 ‘선물’ 물맷돌 2019-12-30 249
37126 좋은 죽음! 물맷돌 2020-06-13 249
37125 절기를 읽는 법 이성준 목사 2021-01-28 249
37124 죽음의 공포가 이처럼 어마어마한 것이란 말인가? 물맷돌 2021-07-16 249
37123 국뽕 이성준 목사 2021-08-03 249
37122 단점을 인정하라 김장환 목사 2022-04-20 249
37121 비판의 마음을 버려라 김장환 목사 2022-09-01 249
37120 시내산에서 얻은 신비의 힘 file 김종구 목사 2023-03-15 249
37119 사랑의 포용 김용호 2023-07-17 249
37118 은밀한 선행 김장환 목사 2024-04-18 249
37117 폭력적인 행동 하나가 영혼의정원 2015-09-07 250
37116 뜰이 슬퍼한다. file 이주연 목사 2015-11-17 250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