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일천번에 대한 오해

빛소리............... 조회 수 3700 추천 수 0 2010.01.30 11:51:06
.........

솔로몬의 일천번제에 대해서 신학적으로도 논란은 있습니다.
단번에 일천마리를 드렸느냐 매일 한마리씩 천일을 드렸느냐? 하는 문제인데

영어번역으로 단번에 즉 한번에 일천마리를 드렸다는 것에 동조하는 주장을 가지신 분이 많습니다. 그러나 그게 맞다라고 단정 지을만한 근거는 없습니다. 공동번역에도 보면 애매하게 번역되어 나옵니다.
솔로몬은 그 제단에 번제물을 천마리나 바친적이 있다.......그렇게 나옵니다.

천마리나 바친적이 있다를 어떻게 보고 해석하느냐에 따라 뜻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천마리를 한꺼번에 바친적이 있냐? 아니면 천마리를 매일 같이 바쳤느냐는 보기 나름이요. 해석하기 나름입니다.

오히려 후자쪽이 훨씬 더 정확성에 가깝습니다.
원문에도 보면-영문보다 원문이 더 정확하겠죠? 영문이 완벽한 번역이라고 볼 수도 없으니 말입니다-
한꺼번에 바쳤다는 말보다 오히려 후자 쪽에 더 가깝습니다.

그 이유를 몇가지 근거해 드리겠습니다.

1)원문에보면 드렸다라는 말의 아라 : hl;[;-죄송합니다 히브리어가 깨졌네요-라는 말로 사용되어 있는데 이 말 뜻은 올라가다...기어오르다 등등 많은 뜻이 있습니다. 다시말해서 드리기 위해 매일 올라갔다라는 표현이 더 가깝다는 것입니다.

2)혹시 소 한마리를 태워 보신 경험이 있습니까?
사람의 시신을 태울때 현대 화장문화로 보면 거의 2시간 정도가 걸린다고 봅니다. 소는 어떻겠습니까? 그리고 소를 잡을때는 예식대로 한다면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그런걸 가만하면 한마리를 번제로 드렸다니까 잡아서 태운다고 가정할때, 예루살렘에 거주하는 제사장이 다 동원된다 하더라도 하루에 천마리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3)그 당시 솔로몬 시대의 성전으로 과연 천마리를 잡을 수 있고 태울 수 있는 여건과 환경이 되었을까? 절대 불가능한 여건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무리 현대식 시설로 구비되어 있다고 해도 천마리를 한꺼번에 잡아서 태울만한 시설은 그 당시에 불가능했습니다.

이로 미루어 보건데 하루에 한마리씩 천일동안 드렸다는게 더 설득력을 가집니다. 목사가 무식해서가 아니라, 이런 근거로 후자쪽이 더 성경에 뜻과 솔로몬의 뜻에 합당하기에 그렇게 설교하는 것입니다.

한꺼번에 천마리를 드리는 것도 큰 의미가 있겠지만 천일동안 그렇게 매일 드리는 것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루디아님의 의견에 불교식으로 혹은 샤머니즘 식으로 일천번제를 드리는 것이 우리 신앙에 맞지 않다고 하셨는데 일부는 동의합니다.

그러나 신앙이라는 관점에서는 샤머니즘이나 타종교나 우리 기독교가 가지는 공통점도 있습니다. 우리가 기복적이라고 말하는 신앙 반드시 나쁜것 만은 아니지요. 왜냐 하나님께서도 우리에게 복을 주시겠다고 하셨고, 복을 구하라.....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물론, 우리의 중심, 우리의 생각이 가장 중요하겠죠. 우리는 언제든지 샤머니즘 신앙으로 빠질 수도 있고, 우상신앙으로 빠질 수 있는 위험 있습니다. 우리가 무당처럼 타 종교처럼 우상은 섬기지 않지만 우리 신앙이 자칫 그런 종교처럼 빠질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건 우리의 마음가짐과 자세 아니겠습니까?

솔로몬이 한꺼번에 일천마리를 드렸느냐? 아니면 매일 천일동안 드렸느냐? 그것이 중요한게 아니고 본질은 솔로몬의 하나님을 향한 마음 아닐까요?
물론, 정확한 뜻을 아는 것이 나쁘냐? 아닙니다.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그러나 일천번제에 관한 주장은 어떤것이 맞고 어떤 것이 틀렸다라는 흑백논리에 적용시키는 것은 좀 무리가 있다는 제 개인적인 판단입니다.

그것도 목사가 모르냐? 그런 엉터리 해석을 하고 설교하는 목사가 있냐?
그렇게 말하면 곤란하다는 이야깁니다.
저도 일천번제 매일같이 드렸다고 가르치는 목사로서 제가 잘못 가르치고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요즘 일천번제에 대한 오해가 있어 한번쯤 다른 의견도 있다라는 것을 제시하고 싶어서 글을 남깁니다. 주안에서 평화가.......


댓글 '9'

예본

2010.01.30 18:05:14

그 당시 성전이라니요? 분명 성경은 기브온으로 갔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 당시 성전은 아직 지어지지 않았으며, 기브온 산당에 간 이유가 그 규모가 컸다는데 있다는 것입니다. 기브온 산당이 컸다라는 의미는 동시에 여러마리의 번제를 드릴 수 있었다는 해석이 가능해 집니다. 물론 하루에 천마리를 다 번제로 드리기는 어려웠을 것입니다. 그렇다고 매일 드렸다는 식의 해석은 옳지 않다고 봅니다. 아마도 여러차례 번제를 드렸다고 보는 해석이 바람직 할 것 같은데요.
번제물이 소였다고 단정짓는 것도 옳은 해석이아니라고 봅니다. 숫양으로 드릴 수도 있었으니까요. 물론 비둘기도 가능하겠지요.
솔로몬의 일천 번제는 그의 하나님에 대한 사랑의 표현이라고 봅니다. 매일 드렸느니 아니라느니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습니까?

최용우

2010.01.30 21:35:07

민감한 문제군요. 제 생각은 하룻동안 천마리를 드렸다는 뜻이 아니라(그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겠지요) 그 날수가 며칠이 걸렸는지는 모르겠으나 여러날 걸려 드리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런데 일천번제를 성경은 명백히 제물이 일천개라고 했는데, 제물이 일천이라는 부분을 날수로 잘 못 헤아려 일천날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조금 무리인것 같습니다.

옳은소리

2010.01.31 06:07:30

그럼 솔로몬이 막중한 국사를 기브온 산당에서 시간을 보내면서 1000일(3년 석달)을 제사만 지냈다고 볼 수 있겠어요. 출퇴근하듯이 했을까요. 그리고 당시에는 성전이 없고 기브온 산당이며 번제물이 소든 양이든 뭘하든지 간에 최고의 권력을 가진 국왕이 명령하면 그깟 천마리를 못태워요, 이건 한국교회 일부목사들이 1000번제 헌금드리기로 둔갑시킨 겁니다. 그리고 그걸 다드려야 축복받는다, 문제해결받는다는 식의 기복주의로 왜곡시킨 것입니다. 그러면 안돼죠!! 우리의 입이 비뜰어져도 말은 바로 해야죠. 그치요^^

지나가다가

2010.02.04 14:04:16

아 그렇군요.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ㅋㅋ

빛소리

2010.02.19 19:56:30

항상 남의 글을 읽을 때는 논점을 끝까지 놓치지 않고 보는게 중요합니다. 전체적으로 끝까지 읽지도 않고 앞 부분만 보고 글 전체를 논하는 것은 글 쓴 사람에 대한 실례(?)지 않을까요? 일천번제에 대한 비판이 왜 나왔는지. 왜 일천번제에 대한 논쟁이 일어났는지는 저도 잘 알고 있습니다. 그게 하루에 다 드렸냐? 매일마다 드렸냐? 그것은 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분명히 적어 놨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그 당시를 보지 않는 이상 이게 정답이다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요. 내가 어떤 신앙으로 그것을 해석하느냐는 취사선택의 문제는 되겠지만 둘다 공히 솔로몬의 하나님에 대한 사랑의 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임에는 부인할 수 없겠고요. 문제는 이를 목회자들이 악용해서 일천번제 헌금을 강요하거나, 혹은 그걸 다 드려야 축복받는다라는 기복신앙에 문제를 제기하는게 원 취지가 아니겠습니까? 저도 그 부분에서 비판하는 목소리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런 부분에 있어서 비판에 대해 동의한다고 했습니다. 뭐 기복적인 신앙이 그런것 뿐이겠습니까?
한국교회 일부목사가 일천번제 헌금드리기로 둔갑시켰다라고 말씀하신 분도 계신데 물론 틀린말은 아닙니다.
그러나 우리가 순수한 마음으로 솔로몬과 같은 하나님을 향한 사랑으로 그렇게 드릴 수도 있지 않을까요?
그렇게 따지면 십일조도 마찬가지고 감사헌금이나 다른 기타 헌금도 마찬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문제는 목회자가 설혹 그런 쪽으로 설교하거나 강요를 했다고 하더라도. 우리의 마음이 더 중요한거 아닐까요?
제가 마지막 글에서 결론적으로 드린 말씀이기도 합니다.
하나님 앞에서 우리의 마음. 아니 나의 자세 코람데오 그것이 가장 중요한것 같습니다.
때로는 목회자의 말도 안되는 설교 앞에서 하나님을 향한 마음으로 순종한다면
과연 하나님 보시기에 그게 어리석다.......그렇게 말씀하실까요?
목회자에 대한 불신의 마음을 어느 정도 이해가 안되는 바는 아니나.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을 향한 사랑이 진실하다면 그 말도 안되는 설교지만 하나님을 향한 순종의 자세로 산다면
하나님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어주시지 않을까요?

양치기

2010.04.17 12:15:49

성도들에게 올바른 신앙을 세워주시려는 목사님의 열정을 존경합니다.. 하지만 일천번제를 매일 천번 드렸다는 해석은 곤란합니다.. 성경에 기록한 대로 일천번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그려진 제사이고 개인에게는 그 정신이나 영적인의미를 가르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이유는 일천의 희생은 개인이 드리기에는 말도 안되는 물적자원이 들기 때문입니다.. 솔로몬은 성전 건축 이후에 낙성식을 할때 일천마리가 아니라, 소 이만이천, 양 십이만 마리를 드렸습니다.. 낙성식을 매일하지는 않습니다.. 한번하지요.. 그렇다면 기브온 산당이 크기때문에 그곳을 이용했고.. 그곳에서 일천의 희생으로 한번에 드렸다는 것이 옳다고 봅니다..

다시말하면 일천번제는 국가적인 차우너에서 드려지는 큰 행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만약 개인이 드린다면 솔로몬같은 정성과 마음을 가지고 소 한마리 정도를 드리는 것이 합당하겠지요.. 부자는 좀 더 해도 되고요..ㅎㅎㅎ

빛소리

2010.09.24 01:33:34

예, 님의 말씀도 틀린 말씀은 아닙니다. 그러나 한가지 아실것은 낙성식은 한번 즉 하루에 한다는 말씀을 하셨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낙성식은 날짜가 반드시 언제까지라고 정해진건 아닙니다. 대략7일을 지키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연장이 가능합니다. 성경을 잘 보시면 솔로몬이 낙성식을 하면서 그 재물을 다 수용할 수 없어서 14일간 진행했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그게 열왕기상8:63-66 역대하7:5-9절에 보면 자세히 나옵니다.

온성지

2011.07.09 17:27:55

일천마리에 뭘 놀래십니까? 성전 낙성식때는 수만마리도 드린 것을요 ^^

최용우

2011.07.09 21:21:15

수백만마리를 땅속에 묻기도 하지요ㅠ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1970 보존해야할 정조의식 김필곤 목사 2011-11-26 2591
31969 인간관계는 화산이다 김장환 목사 2011-05-27 2591
31968 긍정적 사고! 황성주 박사 2011-05-06 2591
31967 하나님의 공의를 신뢰하라 잉그램 2007-12-05 2591
31966 머무는 곳마다 말씀의 흔적을… 양총재 목사 2013-08-15 2590
31965 돼지는 무게로 등급을 매기고, 사람은 교양으로 등급을 매긴다 공수길 목사 2013-06-15 2590
31964 필요한 것은 이해와 격려 이주연 목사 2013-05-02 2590
31963 화평케하는 자의 복 연규홍 목사 2010-11-21 2590
31962 기분 좋게 살아라 고도원 2009-11-06 2590
31961 믿음의 파장 마크 2006-08-11 2590
31960 전도 임복남 2003-07-10 2590
31959 믿음없는 목사 믿음있는 권사 섬김는사람 2014-11-01 2589
31958 하나님의 자녀들이 가야할 좁은 길 김학규 2014-02-06 2589
31957 이발 김필곤 목사 2011-06-08 2589
31956 사랑의 두레박 권성수 목사 2009-10-25 2589
31955 빅토르 위고와 딸 김장환 목사 2009-06-16 2589
31954 숯장수와 세탁부 김장환 목사 2011-02-19 2588
31953 믿음으로 주님만을 바라보라 맥아더 2009-08-26 2588
31952 교만한 당나귀 [1] 한태완 2003-02-20 2588
31951 하나님이 정하신 기도응답 file 김진홍 목사(우이감리교회) 2014-07-18 2587
31950 어머니의 뜨거운 사랑 김학규 2012-02-17 2587
31949 갈릴리 그리스도인 김학규 2011-04-19 2587
31948 쓸데없는 걱정 예수마음 2011-03-01 2587
31947 타인 위한 축복의 배려 이광호 목사 2010-07-04 2587
31946 부흥이 일어났던 때 김병삼 2010-01-02 2587
31945 비만은 적 이주연 목사 2009-11-07 2587
31944 하나님의 나라에 속한 자들 김학규 2012-11-09 2586
31943 소중한 한사람 예수영광 2012-01-01 2586
31942 영원한 승리 장힉일 목사 2011-05-10 2586
31941 희망의 꿈 지인성 목사 2011-02-13 2586
31940 황금 면류관으로 변한 가시 면류관 예수행복 2010-10-11 2586
31939 지혜가 으뜸이다. 이동원 목사 2010-10-09 2586
31938 법보다 더 무서운 것 김장환 목사 2010-07-09 2586
31937 죽음을 앞둔 감사 김장환 목사 2009-12-15 2586
31936 값진 시련 블렉커비 2008-07-29 2586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