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치유와 가정

김필곤 목사............... 조회 수 4485 추천 수 0 2011.04.01 16:05:20
.........

치유와 가정

믿음의 집안에서 자란 한 여인이 있었습니다. 소녀 시절 싱싱하고 푸른 꿈을 꾸며 살았습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에 올라와 직장을 다녔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같은 직장에 다니는 한 건강한 젊은이를 만나 교제를 하였습니다. 남편의 마냥 착해 보이는 심성에 끌려 불신의 가정이지만 모든 시집 식구를 구원하겠다는 사명감과 믿음으로 결혼을 하였습니다. 자신의 믿음으로 모든 어려운 것들을 극복할 것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여인을 기다리고 있던 것은 찢어지게 힘든 가난과 청상 과부로 젊은 세월을 홀로 지낸 시어머니의 증오뿐이었습니다. 시어머니의 핍박은 상상을 초월하였습니다. 믿음으로 사는 사람들은 어떤 핍박도 견디어야 한다는 부모님의 가르침을 원망하며서 아이와 함께 쫓겨나기를
수십번하였습니다. 때로 아이들은 마당 한 가운데 던져진 밥을 철없이 주어 먹기도 했습니다. 남편도 별수가
없었습니다. 남편은 어머니와 아내 사이에서 방황하였습니다. 점점 남편의 술마시는 횟수는 늘어났습니다.
늘 술에 취하여 무능력하게 살았습니다. 가정은 지옥같았지만 아이들이 자라는 모습을 보며 아이들에게 한가닥 희망을 걸고 살았습니다. 결국 시어머니는 세상을 떠났습니다. 28년의 시집살이, 14년간의 중풍으로 지독하게 괴롭히던 시어머니는 많은 것을 남겨 놓고 갔습니다. 남편에게 남겨진 것은 효자상이라는 표창장 한 장이었고 이 여인에게 남겨진 것은 불면증에 시달리는 남편, 조울증 환자가 되어 버린 큰아들, 자기 여동생을 강간한 둘째 아들, 집안과는 아무 관계없는 사람같이 되어 버린 셋째 아들, 그리고 성폭력 경험으로 고통에 못 이겨 자살을 기도한 딸이었습니다. 마음도 육신도 망가질 때로 망가진 이 여인의 인생 나이테는 상처로 얼룩져 있었습니다. 이 여인은 허공을 바라보며 "하나님은 어디 계시냐?"고 흐느꼈습니다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 어쩌면 우리 한국 여성의 전통적인 한이 서려있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많은 상처들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가장 많이 상처를 받고 상처를 주는 사람들이 누구입니까? 가장 가까이에 있는 사람들입니다. 멀리 있는 사람에게 상처를 주지 않습니다. 사회학자 에드워드 홀은 사람과 사람사이의 거리에 따라 인간관계를 네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언어 소통을 하지 않더라도 두 사람 사이의 간격이 둘의 사회적 관계를 분명하게 설명해 준다는 것입니다. 우선 45cm 이내는 "밀접한 영역"으로 일상적 사회생활에서는 거의 볼 수 없으며 부모와 자식간이나 연인 사이처럼 언제나 스스럼 없이 신체접촉이 가능한 경우를 말합니다. 45cm-1백 20cm는 "개인적 영역"으로 친구나 가깝게 아는 사람들이 전형적으로 유지하는 거리라고 말합니다. 이밖에 1백 2 0cm-3백 60cm 는 "사회적 영역"으로 인터뷰 등 공식적인 상호작용을 할 때 필요한 간격이며 3백 60cm를 넘어서면 "대중적 영역"에 속한다고 합니다. 우리가 상처를 주고 받는 영역에 속한 사람들은 "밀접한 영역과 개인적 영역"에 속한 사람들이 경우가 많습니다. 가족으로부터 받은 상처가 가장 많습니다. 그것은 객관적으로 입증된 사실입니다. 얼마 전 한국 가정 사역 연구소가 20대 기독교 미혼 청년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의하면 `나에게 상처를 주며 고통스럽게 만들었던 사람'으로 40.7%가 "아버지"를 꼽았고 전체의 32.1%가 "어머니"라고 응답했으며, 그밖에 "집안식구"라고 대답한 청년들도 27.2%나 되었습니다.
한국 이웃 사랑회에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도 비슷합니다. 아버지로부터 학대 받은 경험이 있다는 어린이가 44.9%나 되었습니다. 우리는 피상적인 인간 관계나 단순한 지식과 사실들을 나누는 인간 관계, 의견과 생각을 나누는 인간 관계를 갖는 사람들에게 상처를 받는 것이 아니라 감정을 나누는 인간 관계를 갖는 가장 가까이에 있는 사람들에게 상처를 받는다는 사실입니다. 가족은 서로에게 상처를 주는 것보다 밖에서 받은 서로의 상처를 치유시키는 구성원이 되어야 합니다. 영적인 가족은 더욱 그렇습니다. 교회는 영적인 가족의 모임입니다. 그러므로 영적으로 아주 가까운 사람들의 모임입니다. 방심하면 서로에게 깊은 상처를 줄 수 있습니다. 서로의 상처를 치유해주고 만남으로 서로의 상처를 치유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말 한마디, 미소띤 눈웃음 줄기에도 치유의 약은 들어 있습니다♥981206/김필곤 목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6380 가는 것과 오는 것 file [1] 김민수 목사 2012-09-23 4491
36379 어떤 밥상이냐에 따라 고도원 2010-01-28 4491
36378 평온 고도원 2010-01-28 4491
36377 더덕 file [1] 김민수 목사 2012-08-25 4488
36376 도시인 file 김민수 목사 2012-08-10 4488
36375 하나님의 은혜 김용호 2012-12-22 4486
36374 충성을 다하라 file 최승일 목사(서울 상도교회) 2012-11-28 4486
36373 세월 file [1] 김민수 복사 2012-09-27 4485
» 치유와 가정 김필곤 목사 2011-04-01 4485
36371 여기있다 봐라 고도원 2010-01-28 4485
36370 품음 file [1] 김민수 목사 2012-08-18 4484
36369 껌 값의 소중함 김장환 목사 2013-01-24 4482
36368 친구가 나를 배신할 때 -시41편 이동원 목사 2011-07-16 4482
36367 말 속의 말 이주연 목사 2012-10-03 4481
36366 구레네 사람 시몬의 십자가 김학규 2011-04-14 4481
36365 열 가지 재앙들 김학규 2010-06-14 4481
36364 담쟁이덩굴 file 김민수 목사 2012-03-25 4480
36363 호모 하빌리스 임복남 2003-07-18 4479
36362 닭의장풀의 꽃술 file [1] 김민수 목사 2012-09-20 4478
36361 해돋이 file [1] 김민수 목사 2012-09-04 4478
36360 벽화 file 김민수 목사 2012-08-03 4476
36359 고드름 file [1] 김민수 목사 2012-08-23 4475
36358 눈송이처럼 조경열 목사 2010-01-23 4475
36357 다른 복음에서 빠져나오기 김열방 목사 2010-01-11 4475
36356 자주달개비 file 김민수 목사 2012-09-14 4474
36355 하늘말나리 file [1] 김민수 목사 2012-09-20 4473
36354 감자꽃 file [1] 김민수 목사 2012-09-08 4472
36353 작은 세상 file [1] 김민수 목사 2012-09-04 4472
36352 믿음의 거장으로 살기 김열방 목사 2010-01-11 4472
36351 사명으로 사는 사람들 김필곤 목사 2011-06-21 4471
36350 기도 즉시 열매를 주지 않는 까닭 이주연 목사 2010-01-15 4471
36349 은혜 불감증 김필곤 목사 2012-01-19 4470
36348 물고기를 따라다닌다고 이주연 목사 2012-09-06 4469
36347 작살을 놓아라 권태진 목사 2010-01-23 4469
36346 존 뉴턴의 신앙 김학규 2011-04-19 4468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