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씨비(sibi)가 아닌 논씨비(non sibi)로 오신 성탄

김필곤 목사............... 조회 수 3361 추천 수 0 2011.05.01 23:59:51
.........
씨비(sibi)가 아닌 논씨비(non sibi)로 오신 성탄

어떤 사람이 교회에 기도하러 들어갔습니다. 그런데 누군가 이미 기도하고 있었습니다. "하나님 아버지 십만원만 주세요. 십만원만 주세요" 너무 큰 소리로 기도하기 때문에 뒤에 있는 그에게까지 들려 왔습니다. 기도는 그치지 않고 계속하여 반복되었습니다. 기도하다 말고 이 사람은 기도하는 사람 뒤로 가서 지갑에서 10만원 권 수표를 꺼내 그 사람의 펴진 손에 조준하여 던져 주었습니다. 다행이 십만원권 수표는 그 사람의 손에 가볍게 떨어졌습니다. 기도하던 사람은 깜짝 놀랐습니다. 눈은 감은 채 계속하여 "십만원만 주세요. 십만원만 주세요."라고 입은 부르짖으면서 손으로는 떨어진 것을 만져 보았습니다. 궁금하여 견딜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눈을 살짝 떠서 손위에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놀랍게도 십만원 수표였습니다. 그것을 보는 순간 "할렐루야"를 외치며 나갔습니다. 그 사람이 나간 후 그는 의자에 앉았습니다. 그리고 조용히 두 손을 모으고 기도했습니다. "하나님 이제 제 기도에만 집중해 주십시요." 지어낸 이야기이지만 사람 살아가는 모습 중의 하나입니다. 아이를 낳아 기르다보면 가끔 아이들이 "나만 있었으면 좋겠다."라는 소리를 듣게 됩니다. 자기애는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이고 자기애가 있어야 인간은 이 땅에서 살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이 지나쳐 자기만 아는 "이기주의"로 변하면 매사 가정의 화목을 깨뜨리고 불편해 지는 것을 보게 됩니다. 독일에서 100만 부가 팔리고 유럽 14개국에서 번역 출간된 요제프 키르쉬너가 지은 "이기주의자로 살아라"라는 책이 있습니다. 그는 "모든 사람은 이기주의자다."라고 단언하고 있습니다. 그는 말하기를 "우리 모두 한 배를 타고 있으니 자신을 생각하지 말고 남들을 배려하라? '남을 도와야 너도 도움을 받는다? '우리는 하나? '공동체의 이익을 위해 자신의 이익을 미루어라' 등의 격언들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남들을 복종시키려는 사람들이 지어낸 허구일 뿐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므로 그는 "언제나 우선 자기 자신을 생각하고 그 다음에 다른 사람을 생각하며, 결정을 내릴 때마다 항상 거리낌없이 '다른 사람이 그것에 대해 뭐라고 말할까?' 대신 '그것이 나에게 무슨 도움이 될까?'라는 질문을 던져 보라"는 것입니다. "항상 남들만 배려하는 대신, 남들을 나에게 익숙하게 만들고", "자기 자신보다 다른 누구를 더 존경해야 할 이유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의 주장은 현실적이고 현명한 것 같지만 인간을 동물적 수준으로 떨어뜨리는 원리라는 생각이 듭니다. 동물은 본능에 의해 살아갑니다. 만약 인간도 본능에 의해서만 살아간다면 짐승같은 인간, 짐승같은 세상이 되어 버릴 것입니다. 인간은 본능만 있는 것이 아니라 선천적으로 타고난 양심이 있고 이성이 있습니다. 이성과 양심이 있기 때문에 그래도 인간의 삶은 질서가 있게 되는 것이고 힘에 의한 약육강식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과 이성에 의한 문명과 약자와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를 유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동물적인 본능만 난무한 절제되지 않은 이기주의는 결코 자신과 타인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없습니다.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는 이기주의를 논리적 이기주의, 미학적 이기주의, 도덕적 이기주의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논리적 이기주의란 자기의 판단은 언제나 옳다고 하는 생각이고 미학적 이기주의란 자기의 느낌을 항상 옳다고 생각하는 것이며 도덕적 이기주의는 자기에게 이익이 되면 선이고 자기에게 해가 되면 악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는 말하기를 이러한 이기주의는 불행의 원인이 된다는 것입니다. 극단적 이기주의는 결국 자신의 이성, 감성, 의지를 절대화하여 신의 자리에까지 자신이 앉고 맙니다. 우리 사회는 극단적인 이기주의로 '우리 뒷마당에는 안된다(Not in my back yard)'는 님비(nimby) 신드롬, '제발 우리 집 앞 마당에(Please in my front yard)'라는 핌피(pimfy) 신드롬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것을 봅니다.

가족애나 향토애는 좋지만 극단적인 가족 이기주의나 집단적 이기주의는 더불어 살아가는 이타주의를 잠재워 보다 성숙한 사회를 만들어 내지 못하게 합니다. 가장 이기주의를 벗어나야 할 종교 마저 이기주의 늪에서 허우적거리고 예수님을 믿는다는 교회마저도 이기주의 높은 바벨탑을 쌓고 춤을 추는 것을 종종 봅니다. 일부이지만 교계의 유명인이 된 사람들이 바로 옆에는 쓰러져 가는 교회들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왕성한 식욕으로 바닷물을 빨아들이는 고래처럼 자본과 종교적 인기의 힘으로 자기 교회 배불리기에 여념이 없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신앙인의 삶이란 본능이나 이성, 양심의 차원 수준이 아닙니다. 이것들을 초월한 믿음의 차원으로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믿음으로 좇아 하지 아니하는 모든 것이 죄(롬 14:23)"라고 성경은 말씀하고 있습니다. 믿음의 중심에는 바로 인간의 몸을 입고 오신 예수님이 있습니다. 예수님은 자신을 위해 이 땅에 오신 것이 아닙니다. 씨비(sibi)가 아니라 "자기를 위하지 않는다"(not for self)는 뜻을 가진 논 씨비(non sibi)로 생명을 바쳐 섬기고 사람을 구속하기 위해 땅에 오신 것입니다. 신앙을 갖는 다는 것은 자기를 위한 삶이 아니라 이웃을 위한 삶, 하나님을 위한 삶으로 자신의 인생의 방향을 바꾸는 것입니다. 신앙이란 성탄을 이용하여 장사하는 백화점의 마케팅 수단이 아닙니다. 논 씨비로 오신 예수님을 좇아가는 삶이고, 높은 것 때문에 자랑이 아니라 그분 때문에 감수하는 고난이 영광스러운 삶입니다.

씨비(sibi)가 아닌 논씨비(non sibi)로 오신 성탄/김필곤 목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1009 이삭같은 아들 file 장자옥 2007-05-26 2456
31008 하나님만 아는 비밀 김용호 2012-11-14 2455
31007 하나님 알고 배우기를 힘쓰자 한태완 목사 2012-05-11 2455
31006 마태수난곡' 의 요한 세바스챤 바하 file 예수감사 2010-11-26 2455
31005 희망의 눈 최효섭 목사 2010-06-15 2455
31004 신앙과 이성의 관점 김장환 목사 2010-04-08 2455
31003 믿음은 쓸수록 커진다 한기채 목사 2010-03-08 2455
31002 작은 겨자씨의 위력 이동원 2009-01-24 2455
31001 예수님의 사랑 file 정승룡 2008-07-28 2455
31000 자기 상품화와 십자가 김필곤 2007-10-28 2455
30999 메달보다 더 자랑스러운 것 방선기 2005-10-01 2455
30998 부활의 신앙으로 사는 자 김학규 2014-04-25 2454
30997 마지막까지 달음질하라 예수감사 2011-04-30 2454
30996 주관적 해석과 객관적 해석의 열쇠 신앙 김필곤 목사 2011-04-17 2454
30995 뉴욕 월드 트레이트 센터의 무너진 자리에서 [2] 전병욱 목사 2010-06-07 2454
30994 즐거운 마음, 근심하는 마음 이동원 목사 2010-04-26 2454
30993 마음에 담은 비전 리더십에는 용기가 필요하다. 존 맥스웰 2010-04-16 2454
30992 고난 받는 종 이주연 목사 2009-12-18 2454
30991 [지리산 편지] 이사야 58장 12절 김진홍 2005-02-23 2454
30990 약속 file 설동욱 2007-05-26 2454
30989 30억과 미음 한 수저 file 고훈 2006-12-05 2454
30988 두 마음 2006-06-27 2454
30987 영혼의 친구 마이클 2006-02-11 2454
30986 믿음의 그라운드 김장환 목사 2013-08-28 2453
30985 진짜 ‘할렐루야’의 생활 김장환 목사 2012-02-19 2453
30984 멍에를 같이한 자 김장환 목사 2011-12-16 2453
30983 호도나무와 다람쥐 최용우 2011-05-24 2453
30982 행복을 위한 마음구조 김필곤 목사 2011-05-01 2453
30981 행복은 어디에 예수보혈 2011-03-26 2453
30980 거지 훈련시키면 거지 된다. 전병욱 목사 2010-08-13 2453
30979 Attitude is Everything 전병욱 목사 2010-06-14 2453
30978 새로운 삶의 시작 프리차드 2007-07-14 2453
30977 루이 암스트롱 이만재 2012-06-03 2452
30976 5분’ 금과 같은 시간 김장환 목사 2011-03-12 2452
30975 주를 위해 버리라 예수찬양 2010-12-31 2452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