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칼럼니스트No.1115]개가 된 늑대 그 파란만장한 이야기 (2)

무엇이든 김소희............... 조회 수 1232 추천 수 0 2005.01.08 11:44:46
.........


서울칼럼니스트모임 COLUMNIST 1999.09.19 창간  
2004년 12월 26일

김소희 (동물 칼럼니스트)

<1편> : 1만 2천년 전, 늑대와 개의 운명이 갈리다.
<2편> : 우리는 닮은 꼴 영혼 - 사회성

서로가 필요해서 시작된 늑대와 인간의 만남을 유지하는 데 크게 공헌한 것은 바로 늑대와 인간이 지닌 “사회성”이다.

늑대는 무리를 이루어 살아가는 사회적인 동물이다. 우두머리 수컷과 암컷(부부)을 중심으로 모든 구성원들 사이에 상대적인 서열이 정해져 있는데, 이렇게 사회를 이루어 사는 동물에게는 높은 수준의 의사소통체계가 발달하기 마련이다. (예 : 그렇지 않다면 매번 마주칠 때마다 “네가 강하다, 내가 강하다”를 놓고 피 터지는 싸움을 벌여야 하는데, 이 얼마나 비효율적인가!).

늑대 새끼들은 어릴 때부터 놀이와 학습을 통해 사회성을 갖추게 된다. 이 때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사회화 시기(socialization period)다. 강아지는 물론이고, 오늘날 야생 늑대들도 대개 생후 5-12주의 사회화 시기 동안 인간의 손에 길러질 경우, 성장 후에도 인간을 두려움의 대상이 아닌 애착의 대상으로 여기는 것으로 밝혀졌다.

어쨌든 그 옛날 인간에게 사로잡힌 새끼 늑대들은 자연스레 인간을 자신의 무리 구성원으로 인식하면서 인간 사회의 구성원이 될 수 있었다. 더군다나, 인간과 음식을 나눠먹고, 같이 신나게 놀고, 같은 영역을 공유하고, 함께 주변 지역을 순찰(즉 산책)하는 등의 모든 생활이 늑대의 생활과 거의 흡사하다.

이 최초의 만남에서 또 한 가지 중요하게 작용한 것은, 오늘날 심리학자들이 ‘어머 현상(aw phenomenon)’이라고 부르는 것인데, 바로 어린 늑대들의 생김새 덕분이다. 해부학적으로, 인간의 갓난 아이를 비롯한 모든 포유동물의 새끼들은 전체 몸에 비례해 더 커다란 머리와 눈을 가지고 있으며, 이마도 넓고 “손발”도 더 크고, 눈과 눈 사이는 더 많이 떨어져 있다.

바로 이런 귀여운 생김새들과 어눌한 움직임, 낑낑거림 소리들은 보는 이로 하여금 “어머~이뻐라”라는 감탄사를 연발하게끔 하는 동시에, 그 대상을 보살펴주고 싶다는 양육 및 애정의 감정을 느끼게 만든다. 바로 이 반응 덕택에, 무력하게 태어난 어린 포유동물들은 성숙할 때까지 어른 동물들의 보살핌을 받을 수 있으며, 동시에 성숙한 개체들은 이들을 무사히 길러냄으로써 생물학적으로 자신의 수많은 유전인자들을 성공적으로 후세에 남기게 된다.

최초의 만남에서도 인간은 저도 모르게 늑대 새끼들의 어눌한 생김새와 행동에 보살핌의 임무 및 욕구를 느꼈을 것이고, 점점 더 이들을 집 안으로 데리고 들어갔을 것이다. 오늘날 우리들이 길거리에서 귀여운 강아지를 보고는 충동구매를 하게 되는 것처럼 말이다. (충동구매는 금물!)

- KTF 드라마클럽. 2004.1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28 무엇이든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 file nulserom 2005-01-30 1299
3427 무엇이든 @ 산소를 나눠드립니다.(아~ 물론 공짜죠!!!) file 하늘이엄마 2005-01-27 736
3426 무엇이든 1일 찬양부흥회" 노기돈 2005-01-24 940
3425 무엇이든 바벨론의 영원한 멸망 file nulserom 2005-01-23 1486
3424 무엇이든 세상에 이런 일이 file 최용우 2005-01-19 657
3423 무엇이든 불타는 음녀 file nulserom 2005-01-16 1651
3422 무엇이든 가정학교입니다. 가정행복학교 2005-01-14 664
3421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 1123] 모든 개는 다르다 김소희 2005-01-08 1435
3420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1122 ]미신신봉 부추기는 신문과 포털사이트 이재일 2005-01-08 1433
3419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1121 ]이젠 '사람 입국'이다 임영숙 2005-01-08 1264
3418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1120 ] 섣달 그믐날 신새벽에 내린 눈 이재일 2005-01-08 1079
3417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1118 ]KBS 현황브리핑과 시청료 인상 홍순훈 2005-01-08 1507
3416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1117 ] 개가 된 늑대 그 파란만장한 이야기 (3) 김소희 2005-01-08 1396
3415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1116 ]투명하지 않으면 박강문 2005-01-08 1278
»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1115]개가 된 늑대 그 파란만장한 이야기 (2) file 김소희 2005-01-08 1232
3413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1114 ]부모 직업은 왜 적으라고 하나 이재일 2005-01-08 1279
3412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1113 ] 개가 된 늑대 그 파란만장한 이야기 (1) 김소희 2005-01-08 1418
3411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1112 ]칼럼나스트 (오타 아님) 박강문 2005-01-08 1421
3410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1111]괴이한 북한의 유골 조작 홍순훈 2005-01-08 1369
3409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1110 ]개성의 봄 임영숙 2005-01-08 1307
3408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1109 ]부모님께 감사와 사랑을 이규섭 2005-01-08 1350
3407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1108 ]인터넷으로 찾아낸 L씨의 짝사랑 이재일 2005-01-08 1192
3406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1107 ]일그러진 말의 자리 굳힘 박강문 2005-01-08 1277
3405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1106]이메일을 주고받는 '네티즌 김정남' 이재일 2005-01-08 1196
3404 무엇이든 이기고 벗어나자 file nulserom 2005-01-02 1431
3403 무엇이든 ▷◁ *solomoon의 1394번째이야기 손로문 2005-01-02 1253
3402 무엇이든 ▷◁ *solomoon의 1393번째이야기 손로문 2005-01-02 1209
3401 무엇이든 ▷◁ *solomoon의 1392번째이야기 손로문 2005-01-02 1145
3400 무엇이든 ▷◁ *solomoon의 1391번째이야기 손로문 2005-01-02 1033
3399 무엇이든 ▷◁ *solomoon의 1390번째이야기 손로문 2005-01-02 1151
3398 무엇이든 ▷◁ *solomoon의 1389번째이야기 손로문 2005-01-02 1213
3397 무엇이든 ▷◁ *solomoon의 1388번째이야기 손로문 2005-01-02 1053
3396 무엇이든 ▷◁ *solomoon의 1387번째이야기 손로문 2005-01-02 1211
3395 무엇이든 ▷◁ *solomoon의 1386번째이야기 손로문 2005-01-02 1061
3394 무엇이든 ▷◁ *solomoon의 1385번째이야기 손로문 2005-01-02 1055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