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 고려장 이야기 ♡

가족글방 호호호헬비............... 조회 수 1766 추천 수 0 2009.04.03 21:42:07
.........
  ♡ 고려장 이야기 ♡


옛날 고려 때에는 남자나 여자나 일흔 살(70)에 고려장을 하였다.

어느 마을에 효성이 지국한 아들을 둔 일흔 살이 되는 할머니가 있어서 고려장을

하기는 해야 하는데 살아있는 어머니를 산에 지고 가서 묻을 수가 없었다.

망설이다가 할 수 없이 고려장을 하기로 마음먹었다.

 

산에 가보니 높은 곳에 넓고 편편한 좋은 반석이 있었다.

어머니를 이 반석에 고려장하기로 하였다.

어머니! 오늘은 어머니를 업고 놀러 갑니다.

"어디를" 저 산에 좋은 반석이 있습니다."그래"

아들은 어머니에게 거짓말로 놀러 간다고 하였다 .

 

그러나 어머니는 벌써 아들의 뜻을 알았고 아들이 할 수없이 거짓말을 하는 것도 알았다.

"어머니 업히시오" “오냐!” 아들도 어머니도 가슴이 찢어지는 것 같았지마는 서로 속내 말은 아니하고 업고 업혀 갔다. 길은 매우 멀었고 몇 번 씩 쉬고 쉬면서 가는데 어머니가 생각해 보니 먼 길을 업고 가느라고 고될 뿐 아니라 밑만 보고 걷다가는 아들이 집으로 돌아가는 길을 잃고 못 찾을까봐 걱정이 되어서 쉴 때마다 나뭇가지를 꺾어 놓았다.

아들은 어머니가 나뭇가지를 꺾는 이유를 몰랐다.

 

아마 무심히 꺾으시려니 생각하였다. 그럭저럭 목적지인 반석에 도착했다.

"어머니 여기요" "자리가 참 좋구나."

어머니는 슬프기만 했다.

그러나 아들의 섭섭해 하는 마음을 아는지라 말로 나타내지 않았다.

"오늘 잘 잡시다" 그러자 "너도 많이 먹어라" "예 먹습니다. 어머니" "기운이 빠졌지 업고 오느라고"

"괜찮습니다." "올해는 농사가 잘 되어야 할 텐데" "잘 될 겁니다. 비가 잘 오니까요"

고려장 하려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아들이 잘 살기를 걱정해 주시는 어머니의 가슴은

얼마나 쓰리겠느냐 생각하니 아들의 가슴은 찢어지는 것 같았다.

해가 뉘엿뉘엿 서산으로 넘어가려고 했다 아들은 하는 수 없어서 거짓말로


“어머니 ! 여기 계십시오. 집에 가서 저녁밥을 가져오리다.”

 하고 갈려고 하자 어머니는 아들이 산에 자기를 버리고 가려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얘야 길을 찾겠느냐? 길을 모르겠거든 나뭇가지 꺾인 것을 보고 따라 가거라

내가 올 때 가끔 나뭇가지를 꺾어 놓았다.”

 

이 말을 들으니 아들의 가슴은 더욱 더 찢어질 것 같았다.

집으로 오는 발걸음은 허둥지둥 갈피를 못 잡았다.

"왜 일흔 살이 되면 고려장을 해야 하나 원수 같은 일이로다"

하고 한탄을 하면서 걸었다.

 

집에 돌아와서 어머니가 살림 걱정이며 길을 잃을까 걱정하며 나뭇가지를 꺾어 두었더라는 얘기를

아내에게 했더니 아내도 울면서

"여보, 법이 다 뭐요 어서 어머니를 모셔 옵시다."

"정말이오?"

"정말이지요"

"법인데? 그게 국법인데 국법을 어긴단 말이요?“

"그 법에 따라 우리가 벌을 받으면 되는 거 아닙니까?"

 

아들은 아내 보기가 부끄러웠다.

"당신은 마음이 참 착하오"

"어서 가보시오 어머니가 추우실테니 밤에라도 가서 업고 옵시다."

"그럽시다."

 

아들은 등불을 켜 들고 그 반석이 있는 곳을 찾아 갔다 반석 가까이 가니까 무슨 웅얼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그 때는 불도 꺼지고 없었다. "이상하다" 무서운 기운이 들었다 머리카락이 쭈뼛 솟아오르는 것 같았다.

 “비나이다. 비나이다. 비나이다. 신령님께 비나이다.

우리 아들 풍년들어 바리바리 실어다가 노적봉 쌓아 두고 두고 먹고 남고 쓰고 남고

오래오래 길이 길이 부귀영화 누리도록 비나이다. 비나이다.”

 하고 아들 잘 되기를 빌고 있지 않은가.

 

"어머니!"

하고 앞에 꿇어앉으니 아들내외도 울고 어머니도 울고 온 산이 울음바다가 되었다.

 일흔이 넘었는데 고려장을 하지 않고 어머니를 모셔온 일이 온 누리에 퍼졌다.

그러자 이 이야기가 임금님께 알려져서 아들이 임금 앞에 불려가게 되었다.

 

"너에게 일흔 노모가 있다면서 ?"

 "예, 그렇습니다."

"고려장을 했느냐 ?"

"못 했습니다"

"국법을 어긴 까닭은?"

"예, 황송하오나 이러이러 하옵니다."

 

임금 앞에 꿇어앉은 아들이 전, 후 이야기를 하자 임금님도 고개를 끄덕끄덕하더니

고려장하려고 업고 가는 줄을 알면서도 아들이 길을 잃을까봐 나뭇가지를 꺾었단 말이지?“

"예, 그러하오니 그 사랑에 감읍하여 다시 집으로 어머님을 업고 왔나이다."

"알겠다. 효성이 지극하구나."

 

임금님은 그 아들에게 양식과 베를 한 짐씩 상으로 주어 칭찬하고 그 때부터 법을 고쳐서

"나이 일흔이 되더라도 고려장하는 것을 아니하여도 좋으니라."

 하고 어명을 내렸다 한다.


               “네 부모를 공경하라”(마태복음19:19)


                  -어심과의 대화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