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

[강상헌의 발칙해자]체덕지(體德智)가 옳다… 어쩌다 지덕체가 됐지?

      
‘체덕지 교육’이라 썼다고 치자. 신문 등의 편집자들은 의아해하거나 ‘지덕체’로 고칠 것이다. 사전이 지덕체로 쓰고, 세상이 그렇게 안다. 미스코리아 행사의 진선미, 스포츠의 금은동 메달처럼, ‘그 순서’는 결국 우열(優劣)을 드러내는 표지로 읽힌다.

경향신문
권력의 깃발을 줄 세우는 의전(儀典)의 법칙이기도 하다. 예전에 군관민(軍官民)이던 것이 언젠가 민관군으로 바뀐 것을 눈치챘다면, 꽤 민감한 사람이다. 실제 시민이 관청보다, 군대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지는 제쳐두고 하는 얘기다.

지덕체는 부등식 智>德>體의 표현이다.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도덕이나 윤리는 그 다음이며, 몸은 맨 나중이다. 우리 사회, 특히 교육에서 작동해온 우선순위다. 끝내 약삭빠른 자만 살아남는 인간성의 빙하시대를 만났다. 예외도 있겠지만, 대세다.

이 순서는 유럽 출신이다. ‘건강한 신체에 깃드는 건강한 마음.’ 영국 철학자 존 로크의 이 금언은 우리에겐 ‘체육대회’ 슬로건이지만, 그에겐 ‘세상이 행복한 모습’이었다. 다음은 그 어진 세계관을 가졌던 철학자가 쓴 ‘교육에 관한 몇 가지 단상’(1693년)의 한 대목이다.

‘주입식 암기를 피하고, 체육 덕육 지육과 수학적 추리를 강조하며, 소질을 본성에 따라 발전시켜야 한다.’ 그 순서가 체덕지 아닌가? 그런데 이상하다. 우리 교육에서는 ‘지덕체’다. 외국에서 배 타고 들어왔을 교육(학)의 이 개념, 처음부터 그랬을까?

1906년 ‘대한자강회월보’에 ‘교육세’란 제목으로 실린 글이다. ‘무릇 교육은 체육 덕육 지육의 3대강(大綱)이 있어야 할지니….’ 이 같은 체덕지 순서의 글이 당시 여럿이다. 또 아예 중요한 순서를 매긴 이런 글도 있다. ‘교육의 셋 중 (하나를) 취해야 한다면 덕과 지혜를 버리고 차라리 체육을 취할지로다.’(대한매일신보 1908년 2월)

그러던 것이 순서가 바뀌었다. 누가 왜 언제? 허망한 음모론일까?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섭리에 벋서는 반역인가? 바른 마음과 건강한 신체보다 입시용 성적과 출신 대학 이름이 먼저인 우리 세상의 ‘절대 이데올로기’를 떠올리면, 체덕지의 순서가 옳지 않겠느냐는 이런 얘기는 계란으로 바위 치기일 터.

학생들, 특히 여학생들이 운동을 안 해서 걱정이란다. 교육청은 여학생들도 흥미를 느낄 체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로 했다고 한다. 어찌 학생들뿐일까? 이런 사실, ‘지덕체’ 순서 이념의 과실(果實)은 아닌지? 출세지상주의 같은, ‘SKY’만 학교라는 그런 따위 생각 말이다.

사람은 생명이다. 곧 생동(生動), 즉 ‘살아 움직임’이다. 그 반대는 ‘죽음’일 터. 인간과 운동의 관계를 깨우치는 체육은, 수단이 아닌, 인류의 본질을 다룬다. 여가생활의 선택 리스트와는 차원이 다른, 원초적 가치다. 감히 장담한다. 운동을 해야 너그러워지고, 공부도 일도 잘한다. 예뻐지고 젊어진다. 개인도 국가도 체육의 개념을 다시 디자인해야 한다.

마음(덕)과 지식(지)을 담는 몸(체)이 망가진 인간들의 참상을 매일 본다. 증오와 파괴다. 차라리 실체를 외면하고 싶을 정도겠다. 그래도 현실인데, 우선 밥줄이 급하지, 이런 핑계로 계속 망가지자고? 입에 익어서? 관례라고? 그러나 고쳐야 한다. ‘체덕지’로.

< 강상헌 | 언론인·우리글진흥원 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 뉴스언론 [하태훈의 법과 사회]국민청원, 약자의 목소리 경향신문 2018-05-23 103
270 뉴스언론 아이들 사로잡은 ‘상어가족’…‘포식자’에 빠져드는 아이들 file 장회정 기자 2018-01-24 324
269 뉴스언론 [특별기고]‘부’ 아닌, 노동에 보상하는 사회 위니 비아니마 2018-01-24 51
268 뉴스언론 [기고]미세먼지와 시민의 ‘목숨값’ 석광훈 녹색연합 전문위원 2018-01-24 50
267 뉴스언론 [세상읽기] 20년 전 이맘때, 20년 뒤 이맘때 file 강수돌 고려대 교수·경영학 2017-11-25 47
266 뉴스언론 한국인들은 왜 산티아고(Santiago) 순례길에 열광하는가? 김광우 실장 2017-08-18 184
265 뉴스언론 신간을 발견할 수 없는 대형서점 한기호 2017-08-15 75
264 뉴스언론 스님이 고기 먹어도 될까?"..불교계는 논쟁 중 [1] 최용우 2017-08-14 170
263 뉴스언론 문재인 대선 성공 이유는 '처절한 복기 file 김동우 기자 2017-05-10 124
262 뉴스언론 기독교인이 알아야 할 대통령 선출 기준 11가지 [2] 박충구 2017-04-08 133
261 뉴스언론 한국교회 박근혜식 목회 유형 5가지 정대표 2017-03-28 140
260 뉴스언론 중국 사드 보복, 선교사들 오들오들 정대표 2017-03-25 66
259 뉴스언론 원수의 거짓말을 이길 수 있는 최고의 방법 3가지 정대표 2017-03-23 90
258 뉴스언론 기독교 단체가 정말 편의점보다 많았다 file 정대표 2017-03-22 91
257 뉴스언론 박근혜는 죄가 없다 최태민 2017-03-19 124
256 뉴스언론 [박재순 칼럼] 닭 울음: “꼭 깨요” 정실장 2017-03-19 67
255 뉴스언론 한국에서 유투브가 느린이유 file 정실장 2017-03-16 116
254 뉴스언론 망할 교회의 징조 서대표 2017-03-15 144
253 뉴스언론 김동호 목사, 대통령의 모르고 지은 죄 더 나빠 서대표 2017-03-14 177
252 뉴스언론 촛불집회부터 탄핵 선고까지, 기독교는 어디 있었나 서대표 2017-03-11 174
251 뉴스언론 대한민국 OECD 50관왕! 시오피 2015-12-26 483
250 뉴스언론 왜 ‘헬조선’이 문제인가 [3] 전중환 2015-09-24 190
249 뉴스언론 [세상 속으로]종교 위기 아닌 ‘제도 종교’ 위기일 뿐… 경향신문 2015-03-21 194
248 뉴스언론 [세상 속으로]뉴스 단골 메뉴가 된 종교인들 경향신문 2015-03-21 149
247 뉴스언론 [세상 속으로]‘나는 왜 떠났는가’ 종교의 울타리를 뛰쳐나온 사람들 file 경향신문 2015-03-21 190
246 뉴스언론 [세상 속으로] 새로운 ‘믿음’을 찾아나선 사람들 file 경향신문 2015-03-21 168
245 뉴스언론 [세상 속으로]못 미더워서… 관심 없어서… 종교를 떠나는 사람들 file 경향신문 2015-03-21 190
» 뉴스언론 [강상헌의 발칙해자]체덕지(體德智)가 옳다… 어쩌다 지덕체가 됐지? 강상헌 2015-02-17 632
243 뉴스언론 [김규항의 혁명은 안단테로]88만원 세대와 88억 세대 김규항 2015-02-17 236
242 뉴스언론 [정동칼럼]사회복지세를 이야기해보자 오건호 2015-02-17 206
241 뉴스언론 [사유와 성찰]초·중·고교에 실내체육관 선물하자 김명환 교수 2015-02-01 284
240 뉴스언론 세월호 유가족, 30일 세종시 온다 세종포스트 2015-01-30 317
239 뉴스언론 한국교계에서 이단이 만들어지는 과정 - 최삼경의 이인강 이단만들기 [3] 올바른 2014-12-21 1462
238 뉴스언론 [김석종의 만인보]남이섬의 ‘상상 유발자’ 강우현 김석종 논설위원 2014-11-20 614
237 뉴스언론 [기고]오늘의 한국, 민주체제 맞습니까? 남태현 교수 2014-11-08 436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