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얼레빗2509. 판서를 부끄럽게 한 아전 김수팽

자료공유 얼레빗............... 조회 수 921 추천 수 0 2013.05.03 00:04:59
.........

얼레빗2509 판서를 부끄럽게 한 아전 김수팽

 

조선시대 선비들은 청렴한 사람이 많았습니다. 특히 비가 새는 방안에서 일산을 받은 채 “일산(日傘)이 없는 집에서는 장마철을 어떻게 견디어 내나?”라고 했다는  유관(柳寬) 선생은 조선조 청백리로 소문났지요. 또 조선 최초의 백과사전 ≪지봉유설(芝峯類說)≫을 쓴 이수광의 ≪조선의 방외지사(方外志士)≫에 보면 청백리 벼슬아치 김수팽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조선 영조 때 호조 아전을 지낸 김수팽은 청렴하고 강직해 ‘전설의 아전(衙前)’이라 불리는데 다음과 같은 일화도 있습니다.  

호조 창고에 나라 보물로 저장한 ‘금바둑알 은바둑알’ 수백만 개가 있었는데 이를 판서가 옷소매 속에 한 개 집어넣는 것을 보았습니다. 김수팽이 “무엇에 쓰시려고 하십니까?”라고 묻자 판서는 “어린 손자에게 주려고 한다.”라고 대답했지요. 이에 김수팽은 금바둑알 한 웅큼을 소매에 넣으며 “소인은 내외 증손자가 많아서 각기 한 개씩만 준다고 해도 요정도로는 부족할 것입니다.”라는 말을 해 판서가 금바둑알을 가져갈 수가 없도록 했습니다. 또 김수팽은 아전인 아우가 부업으로 염색을 하는 것을 보고 나라의 녹을 받는 사람이 부업을 하면 가난한 사람이 먹고 살 수 없다며 물감통을 뒤엎기도 했지요.  

그렇게 조선 선비들은 ‘사불삼거(四不三拒)’를 좌우명으로 삼고 철저히 지켰습니다. ‘사불삼거(四不三拒)’란 “네 가지를 하지 않고 세 가지를 거절한다.”는 뜻이지요. ‘사불(四不)’은 곧 부업을 하지 않고, 땅을 사지 않으며, 집을 늘리지 않고, 재임 중인 고을의 특산물을 먹지 않는 것을 일컫는 것입니다. 또 ‘삼거(三拒)’는 윗사람이나 세도가의 부당한 요구를 거절하고, 청을 들어준 다음 답례를 거절해야 하고, 재임 중 경조사에 부조를 일체 받지 않는 것을 이릅니다. 이 사불삼거만 잘 지켜도 화를 면하고 올바른 공인으로 살아 갈 수 있지 않을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2 자료공유 얼레빗2556. 그래도 신나게 놀았던 아이들 - 그때를 아십니까(65) 얼레빗 2013-07-21 1086
381 자료공유 얼레빗 2553. ‘호우’ 대신 ‘큰비’라고 써야 합니다 얼레빗 2013-07-17 903
380 자료공유 2013 상반기 교보문고 기독교 베스트셀러 1~50위 교보문고 2013-07-13 3895
379 자료공유 얼레빗2548. 닭알 흰자위로 주름살을 펴세요 -그때를 아십니까(63) 얼레빗 2013-07-04 1222
378 자료공유 얼레빗2547. 상 위에 구멍이 두 개 나있는 소반 얼레빗 2013-07-04 1313
377 자료공유 얼레빗2546. 우리식 만두 “편수”를 아십니까? 얼레빗 2013-07-04 1064
376 자료공유 얼레빗2544. 고무신 대신 짚신을 신는 농촌 그 때를 아십니까(62) 얼레빗 2013-06-28 866
375 자료공유 얼레빗2543. 속이 좁다는 밴댕이 맛은 일품이랍니다 얼레빗 2013-06-28 1134
374 자료공유 삼십육계 (三十六計) 손자병법 2013-06-15 1158
373 자료공유 얼레빗2530. 오늘은 망종, 보릿고개를 생각한다 얼레빗 2013-06-05 796
372 자료공유 얼레빗2529. 만물 280개를 시로 지은 이응희 얼레빗 2013-06-05 924
371 자료공유 얼레빗2528. 신라 사람들, 여러 사람 코 때리기 얼레빗 2013-06-05 1282
370 자료공유 얼레빗2526. 조선시대 문화유산답사기, 해동산천록 얼레빗 2013-05-31 911
369 자료공유 얼레빗2523. 쟁기와 수차 - 그때를 아십니까(58) 얼레빗 2013-05-23 976
368 자료공유 얼레빗2522. 예쁜 물고기 미호종개가 살 수 있게 해주세요 얼레빗 2013-05-23 1094
367 자료공유 얼레빗2520. 쌀 고르는 전문가 ‘미모’를 아십니까? 얼레빗 2013-05-23 982
366 자료공유 얼레빗2519. 복덕방과 영감님 - 그때를 아십니까(57) 얼레빗 2013-05-19 875
365 자료공유 얼레빗2518. 오늘은 위대한 스승 세종대왕이 태어나신 날 얼레빗 2013-05-15 1709
364 자료공유 얼레빗2517. 인재등용의 귀재 세종이 이 시대에 충고하다 얼레빗 2013-05-15 1336
363 자료공유 얼레빗2516. 손수 따비와 쟁기를 든 성종임금 엘레빚 2013-05-15 1057
362 자료공유 [얼레빗2514] 일제강점기 어머니날 풍경 엿보기 푸른솔 2013-05-09 1011
361 자료공유 얼레빗2510. 한때는 족쇄가 되기도 했던 삐삐 - 그때를 아십니까 얼레빗 2013-05-03 1045
» 자료공유 얼레빗2509. 판서를 부끄럽게 한 아전 김수팽 얼레빗 2013-05-03 921
359 자료공유 얼레빗2506. 셋방살이의 추억 그때를 아십니까(54) 얼레빗 2013-04-25 925
358 자료공유 얼레빗2505. 호랑이 모양 국악기 보셨나요? 얼레빗 2013-04-25 1071
357 자료공유 얼레빗2504. 해 돋을 때 비로봉이 가장 먼저 붉다 얼레빗 2013-04-25 879
356 자료공유 얼레빗2503. 병 다스림 과정의 기록, 정청일기 얼레빗 2013-04-25 1004
355 자료공유 얼레빗106. 대한민국임시정부 94돌을 맞아서 얼레빗 2013-04-12 995
354 자료공유 얼레빗2497. 이불을 뒤집어쓰고 듣던 라디오 - 그때를 아십니까(52) 푸른솔 2013-04-12 1270
353 자료공유 얼레빗2496. 복스러운 얼굴의 “청자 여자아이모양 연적” 푸른솔 2013-04-12 1643
352 자료공유 얼레빗2495. 작지만 예쁜 들꽃 노루귀를 보셨나요? 푸른솔 2013-04-09 1143
351 자료공유 얼레빗2494. 쑥 향기 가득한 시절음식 애탕국 푸른솔 2013-04-09 1282
350 자료공유 매일 아침 눈을 뜨며 Eugene 2013-04-08 1016
349 자료공유 우리는 들을 수 있죠 Eugene 2013-04-08 963
348 자료공유 얼레빗2491. 값어치가 수십억 원에 이른다는 오세창의 근역서휘 푸른솔 2013-04-04 1219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