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명설교 모음

택스트 설교

설교자'가 확실한 설교만 올릴 수 있습니다.

하느님의 바람으로 사이를 아름답게

창세기 김부겸 목사............... 조회 수 293 추천 수 0 2015.06.15 23:55:20
.........
성경본문 : 창1:2 
설교자 : 김부겸 목사 
참고 : 2010.03.20http://blog.naver.com/malsoom/102304204 

2010년 3월 21일 주일설교

성경말씀 : 창세기 1장 2절, 사도행전 4장 32절

설교제목 : 하느님의 바람으로 사이를 아름답게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어둠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물 위에 움직이고 계셨다. (창세 1:2) / 많은 신도가 다 한 마음과 한 뜻이 되어서, 누구 하나도 자기 소유를 자기 것이라고 하지 않고, 모든 것을 공동으로 사용하였다. (사도 4:32).】


  <대화모임 이야기>

  얼마 전 가락재영성원에서 열린 쉄(쉼+숨+섬)의 대화모임에서 참석자 모두가 공감한 참 좋은 의미의 우리말이 있었는데, 그것은 “사이가 좋다”는 말이었습니다. 우리는 흔히 “사이가 좋다”고 하면 그냥 ‘서로 친하게 지내는구나’ 하고 생각하곤 하는데, 그날 대화모임에서 집단적으로 탐구한 “사이가 좋다”는 우리 말에 담긴 철학적 의미는 그 통상적 이해보다 깊고 높은 것이었습니다.


  구체적인 이야기를 말씀드리면 이런 내용입니다. 여기 김씨라는 사람과 이씨라는 사람이 있다고 칩시다. 이 두 사람이 사이가 좋다는 의미는, 김씨라는 사람이 좋은 사람이고 또 이씨라는 사람이 좋은 사람이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김씨는 장점이 있는 사람이고 또 단점이 있는 사람입니다. 이씨도 마찬가지입니다. 인간은 모두 장단점이 있는 존재들입니다. 또 인간은 모두 나름대로의 독특한 철학과 삶의 태도를 갖고 있는 존재들입니다. 특성 혹은 개성이 있는 존재들이죠.


  그런데 흥미롭게도 어떤 사람들은 ‘사이 좋게’ 지내고, 어떤 사람들은 ‘사이가 나쁘게’ 지냅니다. 중요한 것은 ‘사이’입니다. 즉 개체적 인간들 자체가 아닙니다. 그 사람들 각자의 실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이’가 중요한 것입니다. 정말로 행복한 인생을 살아가려면, ‘사이’가 좋아야 하는 것입니다. 곧 그 사람들 각자가 좋은 인격의 사람으로 성숙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초점은 그 사람들 ‘사이의 관계’인 것입니다. 사이가 좋다는 것은 그런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에 우리가 행복한 가정, 행복한 교회, 행복한 일터, 행복한 직장, 행복한 사회를 꿈꾼다면, 우리는 사람들 사이를 주목해야 하는 것입니다. 사람들 사이를 잘 가꾸도록 해야 하는 것입니다. ‘너’도 좋은 사람이고 ‘나’도 좋은 사람인데,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너와 나 사이’를 잘 가꾸지 못한다면, 우리는 불행해질 수 있는 것입니다.


   <성경 이야기>

  이제 성경말씀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땅이 혼돈하고 공허하며, 어둠이 깊음 위에 있고, 하나님의 영은 물 위에 움직이고 계셨다. (창세 1:2) / 많은 신도가 다 한 마음과 한 뜻이 되어서, 누구 하나도 자기 소유를 자기 것이라고 하지 않고, 모든 것을 공동으로 사용하였다. (사도 4:32).】

 

 창세기의 말씀은 하나님의 영, 즉 성령의 형상에 대한 기록이며, 사도행전의 말씀은 초대교회 당시 성령을 받은 자들이 사는 모습을 그려내고 있는 구절입니다. 성령에 대한 단 한 마디의 요약은 곧 ‘하느님의 바람’입니다. 그리고 거룩한 성도에 대한 단 한 마디의 요약은 ‘거룩한 바람의 아들딸들로 사는 자들’입니다.


  초대교회 당시 기독교인들이 행복한 인생들을 살아갈 수 있었던 원동력은 무엇이었을까요? 즉 그 초대교회 교인들이 ‘사이 좋은’ 인생을 살아갈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이었을까요? 그것은 곧 그들 사이사이에 ‘하느님의 바람’이 통용되었기 때문입니다. 초대교회 교우들은 하느님의 바람으로 그들 사이사이를 잘 가꾸면서 살았던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행복하고 평화롭고 아름다운 인생을 살았던 것입니다.


   <아우라 이야기>

  우리가 그 인생을 행복하게 만들려고 한다면, 우리는 두 가지 차원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하나는 우리들 각자가 ‘나의 성숙’에 대해서 힘써야 합니다. 우리들 각자는 ‘나’를 잘 가꿔야 합니다. 더 아름다운 인격으로, 더 따듯한 성품으로, 더 지혜로운 사람으로, 우리 스스로를 가꿔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야 우리 사는 인생이 행복해질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와 아울러서 또 하나의 중요한 초점이 있는데, 그것은 ‘아우라’(Aura)입니다. 즉 ‘나 주변의 영역’을 잘 가꿔야 하는 것입니다. 아우라는 독일의 철학가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1892∼1940)이 예술작품에서 흉내낼 수 없는 고고한 '분위기'를 뜻하는 말로 사용했다고 하는데, 그 말의 원래 뜻은 “사람이나 물체에서 발산하는 기운 또는 영기(靈氣) 같은 것을 뜻하는 말”이었다고 합니다. 우리는 ‘나’를 잘 가꿔야 하고, 그와 아울러서 ‘나 주변의 아우라’를 잘 가꿔야 하는 것입니다.


  그 ‘아우라의 영역’이 곧 성령의 영역입니다. 하느님의 거룩한 바람이 ‘나’와 ‘너’ 사이에, 그러니까 ‘나’와 ‘내 주변의 아우라’에 하느님의 바람이 시원하게 통용될 수 있다면, 우리는 행복한 인생들을 살아갈 수 있는 것입니다.


   <‘이웃과 악마’ 이야기>

  최근 김진호 목사님(제3시대 그리스도교 연구소 연구실장)의 글, ‘이웃과 악마’를 읽었는데, 그 메시지가 참 좋았습니다. 김 목사님은 그 글에서 보수적 선교사의 열정으로 북한 땅에 홀로 들어갔다 돌아온 ‘로버트 박’에 대해서 우려하면서, “진정한 선교사적 영성은 선악으로 나뉜 세상에서 악의 세계로 들어가는 순수하면서 뜨거운 믿음이 아니라 그러한 이분법으로 세상을 해석하는 질서, 그것의 편견과 증오, 그리고 상처를 보듬는 냉철하지만 따뜻한 믿음과 연관된 것”이라고 했습니다.

 

 정말 적절한 말씀입니다. 설사 북한이 악마적인 인간들의 공동체라고 할지라도 그것에 대한 우리 신앙인들의 자세는 ‘흑(黑)을 백(白)으로’ 바꾸려는 어리석은 선교사적 열정으로 무장해서는 안 되며, 그 보다 더 큰 차원으로서 세상의 탐욕으로 이지러지고 있는 인간의 삶에 대한 무한한 애정을 갖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정확한 말씀입니다.


   저 역시 비슷한 맥락에서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여기 남한과 북한이 있습니다. 북한에 대해서 우리 남한인들이 해야할 몫은 무엇일까요? 북한은 변화시킨다든가, 북한 땅을 백화(白化, 적화의 반대 의미로)한다든가, 북한 땅을 민주화한다든가, 북한 땅을 복음화한다든가 …… 등등의 자세는 교만한 것이고, 어리석은 것이고, 폭력적인 것이고, 잘못된 것입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해야할 몫은 ‘남한인’과 ‘남한인의 아우라’를 아름답게 가꾸는 것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즉 남한인과 남북한 ‘사이’를 가꾸는 일이 우리 몫인 것이며, 그런 방법만이 남북한 공동체에 진정한 평화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것입니다.


   <설교를 마치면서>

  이제 설교말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오늘 설교말씀의 제목을 ‘하느님의 바람으로 사이를 아름답게’라고 잡아보았습니다.

오늘 이 시간, 이 설교말씀의 제목을 깊이 묵상하시는 저와 여러분 되시길 바랍니다. 잠깐 기도하겠습니다.


* 축도

이제는 진리의 길을 직접 보여주신 예수님의 놀라운 은혜와, 우리의 생명과 영혼을 언제나 치유해 주시는 하나님의 크신 사랑과, 지금도 살아계셔서 우리를 인도해 주시는 성령님의 아름다운 동행이 사랑하는 수도교회 교우들 머리 위에 언제나 충만하시기를 간절히 축원하옵나이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경본문 설교자 날짜 조회 수
59 창세기 작은 힘으로 큰 힘을 이기는 길 창14:13-16  이한규 목사  2009-02-24 1678
58 창세기 바벨탑 사건이 주는 교훈 창11:1-9  이한규 목사  2008-12-23 2397
57 창세기 성공적 결혼의 3대 원리 창2:18-25  이한규 목사  2008-12-23 1758
56 창세기 새길과 나 창1:1  이헌영 형제  2008-12-06 1459
55 창세기 롯의 아내 창19:26-29  민영진 목사  2008-12-06 2045
54 창세기 항복하면 이기고 다투면 진다 창32:22-29  조용기 목사  2008-11-21 1694
53 창세기 에덴으로의 귀환 창1:1-5  한세희 형제  2008-10-26 1445
52 창세기 브니엘의 눈부신 아침을 맞다 창32:31  김남준 목사  2008-10-01 2122
51 창세기 하나님의 음성이 들리지 않는 날에 창17:1  김남준 목사  2008-10-01 1983
50 창세기 소돔 이야기 창19:24-26  류상태 목사  2008-09-29 1501
49 창세기 길 떠나기 창12:1-9  김은주 목사  2008-09-29 1573
48 창세기 하갈의 인생역전 창21:8-21  김기동 목사  2008-09-20 2482
47 창세기 예수 혁명 창1:1-2  김진 목사  2008-09-20 1432
46 창세기 야곱의 하나님 체험 창28:10-22  정용섭 목사  2008-09-18 2193
45 창세기 성령이 시키시는 것 창11:1-9  김기동 목사  2008-09-15 1728
44 창세기 보시니 참 좋았다 창1:26-27  양현혜 목사  2008-09-04 1702
43 창세기 작은 생명, 사는 이야기 창1:28  노은기 형제  2008-08-26 1469
42 창세기 내가 무엇을 가지고 나아갈까 창4:1-7  김이곤 목사  2008-06-25 2111
41 창세기 삶과 죽음 사이에서 창3:19  최만자 자매  2008-06-17 1714
40 창세기 창조의 보전 창1:26-28  최만자 자매  2008-06-02 1722
39 창세기 삶은 역전될 수 있다 창50:15-21  조용기 목사  2008-05-30 2482
38 창세기 죽음 준비 창48:17-19  민영진 목사  2008-05-29 2160
37 창세기 주어진 삶과 주장하는 삶 창22:15-19  조용기 목사  2008-05-28 1995
36 창세기 하나님 은총의 두 빛깔 - 녹색과 적색 창9:1-7  이정배 목사  2008-05-16 3594
35 창세기 우리 이름을 내고 창11:1-9  조용기 목사  2008-04-18 2250
34 창세기 자기부정과 자기긍정의 긴장관계 창3:6-7  최만자 자매  2008-04-18 1984
33 창세기 낯선 자 창15:12-21  서중석 목사  2008-03-10 1874
32 창세기 칠년 풍년, 칠년 흉년 창41:1-8  최만자 자매  2008-03-10 1719
31 창세기 사랑의 연대 창45:5  서창원 목사  2008-02-15 1734
30 창세기 요셉의 길, 생명의 길 창45:5  박동현 목사  2008-02-15 2137
29 창세기 두 가지 사명 창1:28-2:3  강보형 목사  2008-01-24 1994
28 창세기 온전케 하시는 하나님의 영 창1:31  한완상 형제  2008-01-13 2268
27 창세기 열명만 있어도 창18:32-33  손운산 목사  2008-01-10 2266
26 창세기 기도로 승리한 야곱 창32:24-32  강종수 목사  2008-01-06 2550
25 창세기 명절의 만남 중요한 것은... 창45:4-10  김필곤 목사  2007-12-25 2261
24 창세기 공(公)에 대한 경외 창2:7-18  최만자 자매  2007-12-20 1796
23 창세기 다시 만나는 사람들 창33:1-11  박동현 목사  2007-12-19 2152
22 창세기 하갈의 하나님, 그리고 사라의 하나님 창16:7-16  최만자 자매  2007-12-18 2797
21 창세기 광복 50주년과 하나님의 형상대로의 신앙 창1:16-18  최만자 자매  2007-12-17 2015
20 창세기 창조의 미래 창2:1-3  길희성 형제  2007-12-12 1677
19 창세기 전화위복의 감사 창50:19-21  한태완 목사  2007-12-11 2916
18 창세기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 창14:17-21  천세영 형제  2007-12-07 2342
17 창세기 삶의 찬가 창1:26-31  길희성 형제  2007-12-05 2133
16 창세기 형제를 위한 희생 창14:1-16  한태완 목사  2007-11-25 2281
15 창세기 믿는 자에게도 기근이 창12:10-12  한태완 목사  2007-11-25 2464
14 창세기 하나님의 형상 창1:26-31  길희성 형제  2007-11-22 1170
13 창세기 신실하신 하나님 창7:6-24  한태완 목사  2007-11-18 3242
12 창세기 나와의 씨름 창32:23-3  권진관 형제  2005-02-16 3924
11 창세기 쉼의 저항 창2:1-3  최만자 자매  2005-02-01 2471
10 창세기 나를 보낸 이는 형님들이 아니요 하나님... 창45:1-8  김이곤 목사  2004-08-27 2736

설교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