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
출처 : 김학현 목사 http://omn.kr/fta4 

철새 정치인들이 꼭 만나야 할 진보주의자

[책 뒤안길] 남재희의 <진보열전>을 읽으며 든 생각
20160405_082059.jpg

꿈은 진보에 있으나 체질은 보수에 있었다.- 고은
양지쪽만 찾아다니는 '해바라기'로 보는 사람은 없고, 오히려 '진흙속의 연꽃'으로 아끼는 사람이 많다. - 김기협

따스한 시선으로 그를 본 지인들의 시각이다. 그래서 그랬을까. 그는 "남이 듣기에 이상한 이야기"로 여길 것이라며 자신의 책을 소개한다. 그는 진보 신문의 대표적 논객이었다. 하지만 항상 여당에 속해 있었다. 그는 김영삼 정부 때 노동부장관을 지낸 남재희씨이고, 그의 책은 <진보열전>이다.

남재희(1934~)씨는 고은 시인의 "꿈은 진보에 있으나 체질은 보수에 있었다"는 말이 너무나 잘 어울리는 사람이다. 하지만 그는 책에서 언론계와 정치계에서 만나 알게 된 진보(혁신) 인사 14명을 골라 그들의 회고담을 들려주고 있다.

진보주의가 흔들리고 있다

그들 중에는 요즘 사람들이 알 만한 이름들도 있고 생소한 이름들도 있다. 1950년대 이후 인물들이니 그럴 수밖에 없으리라. 책은 4부로 나눠 남북관계와 관련된 인물들, 혁신정당과 관련된 인물들, 바른 언론을 위해 일했던 인물들을 소개한다.

이어 '언론인의 귀감이 된 거목들'이라는 제하에 조세형과 박권상을 '소신과 정치가 일치했던 행복한 정치인', '막후에서 역량을 발휘한 정치 논객'이라며 특별히 다루고 있다.

나는 <진보열전>에 소개된 인물들의 면면을 읽으며 '우익과 좌익' 혹은 '보수와 진보(혁신)'라는 개념에 대하여 상념에 잠기고 말았다. 차라리 혼란이 왔다. 물론 14명 중 변절자(?)는 없다. 모두 진보진영을 대표할 만한 훌륭한 인물들이다.

하지만 그들이 그렇게 몸을 바쳤던 '진보'라는 개념이 오늘날 무슨 의미를 가지는 것인지, 회의에 가까운 상념에 빠지고 말았다.

저자만 해도 대학생 시절부터 진보 인사로서의 명성을 떨쳤다. 당연히 기자로서도 조선일보(지금과는 달리 당시는 진보적이었다), 서울신문 등 진보적 언론 매체에서 일했다. 하지만 정치는 여당에서 했다.

지난 19일 더불어민주당 소속이었던 조경태 의원이 탈당을 했다. 이틀만인 21일 여당인 새누리당에 입당하여 "이렇게 받아주셔서 감사하다"며 절을 했다. 그는 야당의 최고위원까지 지낸 사람이다. 누구나 알다시피 여당인 새누리당은 보수 정당이고,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진보 정당이다. 어떻게 생각(사상)이 이렇게 하루아침에 달라질 수 있는지 이해가 안 가는 대목이다.

그런가 하면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김종인 전 장관을 영입했다. 김종인씨는 박근혜 대통령의 경제 브레인으로 '경제민주화', '창조경제'라는 프레임을 만든 사람이다. 어찌 보면 박근혜를 대통령으로 만든 경제통이 바로 김종인씨라고 할 수 있다.

2012년에는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회 위원장을 지냈고, 그보다 먼저 새누리당 전신인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까지 지낸 사람이다. 그 보다 더한 것은 12.12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전두환 국보위의 경제분과 위원을 지내기도 했다. 이번엔 야당에 들어가 선거대책위원장으로 일하게 되었다. 국민의 한 사람으로 많이 헛갈린다.

흔들리지 않았던 진보주의자들, 본받아야

계속되는 야당의 분열과 이합집산을 보며 '진보진영'이란 게 정말 있는지 그 실체가 궁금하다. 책에서 저자는 올곧은 진보인사들을 만난다. 그리고 개인적 소견을 곁들여 그들을 소개한다. 그가 첫 발을 디딘 기자로서의 삶이 진보인사들을 취재하는 것이어서 그의 곁에 진보인사들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헬조선, 역사교과서 국정화, 공안몰이 정치 등 한 마디로 꿈을 갖기 힘든 때'라는 출판사의 덧붙임이 아니어도, 지금은 무엇이 진리인지, 무엇이 정도인지 가늠하기 힘든 혼탁한 시대다.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대화'라는 E. H. 카의 역사관을 들어 책에 등장한 진보인사들을 되새겨 봄직하다.

책에 등장하는 14명의 진보인사들의 흔들림 없는 소신을 오늘날 논객들이나 정치인들에게 추천하고프다. 송남헌은 일제강점기 단파방송을 통해 민족혼을 일깨우다 옥고를 치렀다. 해방 후 김규식과 함께 남북협상에 임했고 후에 통일사회당 당무위원으로 통일운동과 현대사 연구에 매진했다.

박진목의 독립운동, 통일운동에 미친 영향력은 대단한 것이었다. '통일대박'이란 말이 필요한 시대가 아니고 행동하는 이가 필요한 시대다. 김낙중은 '통일독립청년 공동체 수립안'을 제시하고 관철을 위해 뗏목을 타고 임진강을 넘기까지 했다. 이런 돈키호테 같은 발상을 가진 진보인사가 오늘날에는 찾아보기 힘들다. 차라리 이들이 그립다.

통일사회당을 만든 이동화, 민사당 당수 고정훈, 반유신 투쟁을 벌이며 통일사회당을 이끌었던 김철, 민추협 지도위원으로 신정사회당을 이끈 권대복, 3선 개헌을 반대하고 사회대중당, 통일사회당 등에서 활동한 정태영. 이들의 올곧은 진보정신은 어떤 정권의 억압에도 흔들림이 없었다. 지금의 진보인사들이 본받아야 할 면면이 여기 있다.

언론계도 마찬가지다. 오늘날 이 방송 저 신문을 오락가락 하는 언론인들은 박정희 독재에 항거하다 사형선고를 받은 송지영, 4.3사건 필화로 옥고를 치른 조덕송, <한겨레>를 창간한 송건호, 신군부 쿠데타 후 '김대중 내란음모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른 임재경 등의 꼿꼿한 필치를 닮을 필요가 있다.

20160405_082120.jpg

책을 통하여 난 누구보다 조세형씨를 다시 볼 수 있어 좋았다. 조세형씨는 박정희 쿠데타 시절 "임무를 완수하면 즉시 군 본무에 돌아간다"는 항목을 은근슬쩍 없애버린 걸 보도했다가 '반혁명보도행위'로 몰려 옥고를 치렀다. 김원기, 정대철씨 등과 함께 경향동우회를 결성하고 야당 정치인으로 살았다. 다른 언론인들이 유리한 여당을 택하는 것과는 달랐다.

김제에는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36호로 지정되어 있는 금산교회가 있다. ㄱ자 예배당으로 남녀가 따로 앉아 한 목사님의 설교를 듣게 돼 있다. 이 교회를 세운 조덕삼 장로가 조세형씨의 할아버지다. 머슴을 목사로 세우고 존경하며 도왔다는 얘기는 한국 기독교사에 빛나는 이야기다.

3대 장로 집안으로 기독교적 가치관이 몸에 밴 조세형씨는 무엇보다 자신의 진보적 철학을 잃지 않은 채 남과의 조화를 이룬 정치인으로 존경할 만하다. 그의 이런 정치 철학을 책은 아래와 같이 소개한다.

"조세형씨의 좌우명은 '화이부동(和而不同)'이었다. 서로 간에 차이는 있지만 대립하지 않고, 인정하고 존중하며 조화를 이루어 나가는 행동철학이다."- <진보열전> 250쪽

오늘날 부화뇌동하고, 이리 저리 유·불리를 따라 보수와 진보를 들락거리는 철새 정치인들이 새겨들어야 할 말이다. 헬조선의 시대에 진정한 진보주의자가 있을까 생각하면서도, 책에 등장하는 이런 올곧은 진보인사들이 있었기에 이 나라가 이만큼 자유를 만끽하는 게 아닌가 생각해 본다.

덧붙이는 글 | ※뒤안길은 뒤쪽으로 나 있는 오롯한 오솔길입니다. 책을 읽으며 떠오르는 생각의 오솔길을 걷고 싶습니다. 함께 걸어 보지 않으시겠어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9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강수돌의 착한 경제학 책 <지구를 구하는 소비> file 김학현 목사 2016-08-24 529
328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정욱식의 실험 소설<말과 칼>통해 본 정권의 속내 file 김학현 목사 2016-08-06 414
327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세월호로 조명한 한국사회, <가만히 있는 자들의 비극> file 김학현 목사 2016-08-03 454
326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소재원의 소설 <균- 가습기 살균제와 말해지지 않는 것> file 김학현 목사 2016-07-08 445
325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종자 주권과 생물 다양성 다룬 <씨앗을 부탁해> file 김학현 목사 2016-07-05 747
324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북파이중간첩 구광렬 소설 <각하, 죽은 듯이 살겠습니다> file 김학현 목사 2016-07-01 394
323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강원대 교수네트워크의 <세월호가 남긴 절망과 희망> file 김학현 목사 2016-06-20 402
322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 물에게 2] <녹조라떼 드실래요>를 읽고 file 김학현 목사 2016-06-16 429
321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또 하나의 복지, 물>을 읽고 file 김학현 목사 2016-06-09 379
320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중년의 위기를 넘는 법 <중년의 배신> file 김학현 목사 2016-06-05 776
319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노년을 위한 준비서 <나는 이제 백발도 사랑하게 되었네> file 김학현 목사 2016-05-25 661
318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김덕수 교수의 <이순신의 진실> file 김학현 목사 2016-05-20 590
317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나이 듦의 학문적 접근 <늙는다는 건 우주의 일> file 김학현 목사 2016-05-14 534
316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정치학으로 접근한 음식 이야기 <음식이 정치다> file 김학현 목사 2016-05-13 419
315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전혀 불온하지 않은 정의론 <정의는 불온하다> file 김학현 목사 2016-05-11 681
314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국가인권위 활동가 김민아가 쓴 <아픈 몸 더 아픈 차별> file 김학현 목사 2016-05-04 548
313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정의로운 재판 이야기 <판결> file 김학현 목사 2016-04-30 369
312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의학상식 깡그리 깨는 <의사의 거짓말 42가지> file 김학현 목사 2016-04-27 461
311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교황의 자비의 경제학 <이놈의 경제가 사람 잡네> file 김학현 목사 2016-04-26 348
310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로고테라피 가르쳐 주는 <나는 별일 없이 늙고 싶다> file [1] 김학현 목사 2016-04-25 633
309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황금 송아지' 경고하는 <교황의 경제학> file 김학현 목사 2016-04-24 302
308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틱낫한의 지구별 사랑 <깨어 있는 마음으로 깊이 듣기> file 김학현 목사 2016-04-21 394
307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휴먼원정대 다룬 <히말라야의 눈물>과 영화 <히말라야> file 김학현 목사 2016-04-19 533
306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오시카와 마키코의 <집에서 죽음을 맞이하다> file 김학현 목사 2016-04-18 669
305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최인기의 <그곳에 사람이 있다> file 김학현 목사 2016-04-14 427
304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이어령의 시집 <어느 무신론자의 기도> file 김학현 목사 2016-04-09 532
303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최성락의 <말하지 않는 한국사> file 김학현 목사 2016-04-08 340
»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남재희의 <진보열전>을 읽으며 든 생각 file 김학현 목사 2016-04-05 299
301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85세 할머니의 <인생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면> file 김학현 목사 2016-04-02 604
300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박순찬 화백의 <헬조선에 장도리를 던져라> file 김학현 목사 2016-04-01 411
299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구본기 지음, <당신이 믿고 가입한 보험을 의심하라> file 김학현 목사 2016-03-31 467
298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윌리엄 맥스웰의 장편 <안녕, 내일 또 만나> file 김학현 목사 2016-03-30 539
297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기록하는 인간을 다룬 <기록이 상처를 위로한다> file 김학현 목사 2016-03-28 537
296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건강한 먹을거리 소개하는 <슬로농부> file 김학현 목사 2016-03-26 413
295 목회독서교육 [책 뒤안길] 윤정란의 <한국전쟁과 기독교> file 김학현 목사 2016-03-22 553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