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햇볕같은이야기는 최용우가 1만편을 목표로 1995.8.12일부터 매일 한편씩 써오고 있는 1천자 길이의 칼럼입니다. 그동안 쓴 글이 15권의 단행본으로 만들어져 인터넷 교보문고에서 판매중입니다.글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동의 없이 가져다 쓰셔도 됩니다. 책구입 클릭!

네 부모를 공경하라

2015년 나도할말 최용우............... 조회 수 884 추천 수 0 2015.09.02 08:17:44
.........

♣♣매일 아침 차 한잔 마시면서 전해드리는 햇볕같은이야기
♣♣그 5301번째 쪽지!


□네 부모를 공경하라


제5계명은 <네 부모를 공경하라 그리하면 네 하나님 여호와가 네게 준 땅에서 네 생명이 길리라>
스위스의 렌취니크 박사는 세계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정치가들을 분석해 보았는데 그들 상당수가 고아였다고 합니다. 고아는 고아라는 무시를 당할 때마다 자신을 무시한 사람들과 자기를 버린 부모를 향해 무엇인가 보여주어야 한다는 강한 권력욕을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는 연구결과를 분하여 ‘고아가 세계를 지배한다’라는 책을 썼습니다. 자녀와 부모와의 관계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부모를 공경하라고? 아마도 우리나라 사람들은 십계명 중 제5계명을 가장 지키기 힘들어 할 것입니다. 조선 500년을 관통하며 유유히 내려온 ‘유교적 전통’이 급속한 산업화 시대를 겪으면서 어떻게 손을 쓸 수없이 무너졌습니다. 아버지 어머니들은 시골에서 도시로 유입되어 하층구조를 이루며 생존하기에도 바빠 자녀들을 거의 방치했습니다.
그 결과 ‘세대차이’라는 것이 생겼습니다. 급변한 세상에서 아직도 유교적 사고를 하는 부모와, 텔레비전의 영향으로 미국식 급진적 사고를 하는 자녀들 사이에 긴장과 갈등관계가 유지되다가 ‘서태지와 아이들’이후부터는 주도권이 자녀 세대로 넘어가버렸습니다. 그 과정에서 부모들과 자녀들 사이에는 넘을 수 없는 깊은 갈등의 골짜기가 생겼습니다.
오늘날 4-50대 중년세대들은 “부모를 공경하라고? 그들이 해준 게 뭔데?” 오늘날 부모와 자녀들의 관계를 잘 보여주는 영화가 ‘국제시장’입니다. 부모세대도 나름대로 ‘해준 것’이 많다고 항변하는 영화입니다.
이 시대 우리에게 ‘부모를 공경하는 것’은 ‘부모를 용서하는 것’입니다.
만약 이 시대에 다시 십계명을 만든다면 제 5계명은 ‘네 부모를 용서하라 그리하면 네 자녀들도 너를 용서할 것이다.’ⓒ최용우


♥2015.9.2 물날에 좋은해, 밝은달 아빠 드립니다.


댓글 '6'

김익수

2015.09.03 22:49:58

성경이 이렇게 변질되어 인용된다는 것은 성경의 권위는 아직도 살아서 모든 사람들에게 작용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제오계명인 '네 부모를 공경하라'는 하나님의 말씀을 믿고 순종한 사람들의 역사를 증거하는 것입니다. 성경을 사람들의 마음에 맞게 바꾸었으면 생각하는 것은 하나님은 영원하신 하나님으로 오늘도 모든 사람들 마음에 계시는 하나님심을 지울 수 없다는 것을 변증하는 일로 곧 하나님을 세상에 알리는 일입니다. 감사합니다.

최용우

2015.09.03 22:50:24

할렐루야 목사님 반갑습니다. 쭉 이어지는 글인데요, 십계명을 이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다시한번 해석해 보고 있는 중입니다. 모세가 시내산에서 받은 돌판글씨는 십계명 형태가 아니었죠. 그냥 긴 문장이었습니다. 그것을 모세 사후 800년 지난 요시아왕 시대 성전을 보수하다가 발견한 율법책을 에스라같은 학자들이 편집을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요시아왕의 개혁 정신이 많이 반영되었고 시대적 요구사항이 십계명에 그대로 포함되었습니다. 그래서 저도 십계명을 오늘날 시대상황에 비추어서 다시한번 생각해 본 것입니다. 십계명은 2800년전 시대상황의 산물입니다.

김익수

2015.09.04 10:57:18

최용우님! 댓글 잘 읽었습니다. 기독교에서 과거에서 현대신학에 이르기까지 성경을 해석하는데 여러가지 방법론을 적용해본 것은 사실입니다. 님의 글을 보면서 성경을 역사적으로 비평하는데 양식사적 방법론이나 전승사적 방법론 등은 성경에서 말씀하는 본래의미와 전혀 다른 이야기임을 아신다는 생각이 듬니다. 성경을 보는 견해는 학자들에 따라서 비평하는데 그 사회 상황을 살펴보려는 것은 자유이지요. 이미 언급한대로 현대식학에 이르기까지 해 왔으니 말입니다. 그러나 성경의 의도와 달리 적용되는 것은 결국 실패했다는 것을 말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십계명을 누가 그 시대에 상황에서 필요해서 재생하고 정서되었다고 하는 역사배경을 말하기 전에 경전에 기록된 문장을 읽고 설명하면 그 글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지 않을까요? 우선 성경에 기록한 문장을 읽고 그 글의 내용 진부를 말할 수 있은 후에 역사비평을 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님의 글을 읽은 사람으로는 성경을 현대적 방법으로 접근해보려는 학문의 일종으로 보자는 것 같습니다. 필자는 한국의 구약성경의 저명한 분이 기독교가 들어온지 100년이 넘었으나 우리는 구약신학을 강의해왔지만 구약성경의 글을 해석하는 일을 전혀 하지 못하고 있으니 이제부터 한국학자들이 이 일을 시작해야 할 시점에 이르지 않았느냐? 라고 던지시는 말씀을 듣고 충격을 받았습니다. 이제 현대신학적인 방법을 접고 기록된 글을 읽고 내용이 무엇인지 보려는 노력을 학자들이 해야 한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성경에 기록된 글이 세상에 주석되었다고 보는 분들이 상당히 많아요. 그러나 이 학자의 말씀은 진실한 것입ㅁ니다. 님이 설명하는 십계명의 제오계를 신약성경에 예수께서 바리새인들이 주장하는 '장로의 유전'에 대해 '네 부모를 공경하라'고 하신 말씀은 이 계명이 인간관계를 말씀하신 것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이를 또한 유대전통인 제사제도의 변천이라고 한다면 예수 그리스도의 이 말씀은 십계명의 형성과정을 모르는 데서 인용된 글이라고 말하게 될 것입니다. 결국 예수 그리스도는 역사의 무지한 인물이다는 말이 절로 나오게 되는 것이지요. 결국 기독교의 생성이란 종교적인 사람들이 편집한 글을 보는 것이지 믿을 것이 되지 못한다는 말이 되는 것이지요? 예수께서 제오계명을 인용한 것은 구약성경 형성에 관한 지식도 모드로 인용한 것으로, 지식사회에서 소외시키는 현대신학의 극치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사도 바울이 에베소교회에 보낸 편지에 '네 부모를 공경하라'고 명한 이 말씀은 십계명의 내용을 적용한 말씀입니다. 이는 2천년 전에 교회가 단순히 이 땅에 있는 육신의 부모를 공경하라고 훈계하는 말로 기록된 글이 아니라는 점은 그가 구약성경에 기록된 이 계명에 무지해서 성도들에게 말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그의 편지 내용에 분명하게 나타나 있습니다. 우리가 신학하던 때는 현대신학에서 성경을 하나의 고대어로 된 책으로 취급하던 시대이었습니다. 극단적으로 예수도 한 시대의 선생이라고 공공연히 교단에서 말하던 떼었어요. 그 대표 인물이 블트만이었죠? 교회는 이 사상이 지금도 세계교회 강단을 완전히 점령하고 있어요. 성경의 권위가 땅에 떨어졌다고 염려하는 것이 아니라 성경을 그리스도의 교회에서 이렇게 하나의 사회현실을 역사화한 책으로 보는 시각에서 조금 멈추고 기록된 글을 읽고 그 글을 성명하거나 비평하는 일을 해야 합니다. 성경의 66권중 어느 한 책에 기록된 문장의 형식이나 글을 읽지 못하고 설명하지 못하는 상황이지 않습니까? 현대교회에서 성경에 기록된 문장과 본문내용을 확증할 수 있도록 설명되어본 일이 지금 시급합니다. 지금 한국에서 성경의 전승사를 말하는 블트만처럼 원문성경을 해석하면서 성경을 비평하시는 학자들이 계십니까? 그분들이 성경은 비과학적이거나 옛 사람들이 그 시대에 자기를 옹호하기 위한 글이라거나 등 신학을 말하는 근거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실제로 원문성경을 읽고 말할 수 없이 성경을 말한다는 것이 논리상 맞는지 이를 하도록 촉구해야 할 것이 아닙니다. 글은 새가 난다고 기록해놓고 글을 몰라 이를 기차가 달린다고 말하면 그 사람을 뭐라고 해야 합니까? 지금 세계는 성경에 무지한 사람이 너무 많지 않습니까? 성경을 말하는 학자들까지 성경을 읽고 말하지 않는다면 학자의 근본을 버린 것이나 다름아잖아요? 그래도 현대신학자로 성경을 비편한 블트만은 요한복음을 원문을 읽고 그 글을 해석한 책을 세계에 내놓고 실존주의적 입장을 주장하였습니다. 그런데 한국신학자들 중에는 원문성경의 문장을 설명하는 글은 없이 주변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것을 매우 부끄럽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성경을 읽고 말하기를 시작합니다. 그리고 역사를 살펴보고 신학을 그 근거를 가지고 세상에 선포합시다. 감사합니다.

최용우

2015.09.04 10:57:53

감사합니다. 하찮은 글에 너무 과분한 댓글을 달아 주셔서 뭄둘바를 모르겠습니다. 목사님의 말씀이 모두 옳고요 그러나 원고지 다섯장 글자수로 1000자 밖에 안되는 그릇에 다 담을 크기는 아닌것 같습니다. 제 글은 신학적인 글이 아니고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수필같은 칼럼입니다. 그냥 편하게 받아 주세요.

최용우

2015.09.03 22:50:44

'네 부모를 공경하라' 는 계명을 우리나라 목사님들은 '유교'식으로 부모를 대하는 것을 '효도'라고 풀어내더라구요. 왜냐하면 이 시대사조가 아직 유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복음

2015.09.12 20:25:24

여전히 율법에 얽매여서 고르반 타령이나 하는 유교적 기독교인들과 목사들이 많지요...
예수님 팔아서 자기 배나 불리려고 하는... 결국은 유교도 버리는 삯꾼들이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15 2015년 나도할말 갈등 [2] 최용우 2015-10-02 435
214 2015년 나도할말 영원한 신자 [2] 최용우 2015-10-01 385
213 2015년 나도할말 베테랑(Veteran) [1] 최용우 2015-09-30 458
212 2015년 나도할말 국민소득별 나라의 특징 최용우 2015-09-29 591
211 2015년 나도할말 골리앗은 누가 죽였나? [13] 최용우 2015-09-26 906
210 2015년 나도할말 화요일이 가장 좋은 날 최용우 2015-09-25 353
209 2015년 나도할말 태초 이전에 최용우 2015-09-24 427
208 2015년 나도할말 바람직한 현상 [1] 최용우 2015-09-23 348
207 2015년 나도할말 시골사람 서울 구경 [2] 최용우 2015-09-22 455
206 2015년 나도할말 중국과 한국 최용우 2015-09-21 341
205 2015년 나도할말 사망의 음침한 골짜기에서 [1] 최용우 2015-09-19 594
204 2015년 나도할말 수돗물과 우물물 [2] 최용우 2015-09-18 458
203 2015년 나도할말 있는 것으로 최용우 2015-09-17 337
202 2015년 나도할말 뒤바뀐 상황 최용우 2015-09-16 440
201 2015년 나도할말 어떤 기다림③ [1] 최용우 2015-09-15 404
200 2015년 나도할말 어떤 기다림② 최용우 2015-09-14 382
199 2015년 나도할말 어떤 기다림① 최용우 2015-09-12 563
198 2015년 나도할말 수도사와 목사 최용우 2015-09-11 517
197 2015년 나도할말 잘 삽시다 [1] 최용우 2015-09-10 604
196 2015년 나도할말 네 이웃의 집을 탐내지 말라 최용우 2015-09-08 540
195 2015년 나도할말 거짓 증거하지 말라 최용우 2015-09-07 347
194 2015년 나도할말 도둑질하지 말라 최용우 2015-09-05 389
193 2015년 나도할말 간음하지 말라 최용우 2015-09-04 743
192 2015년 나도할말 살인하지 말라 [4] 최용우 2015-09-03 411
» 2015년 나도할말 네 부모를 공경하라 [6] 최용우 2015-09-02 884
190 2015년 나도할말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하게 지키라 최용우 2015-09-01 631
189 2015년 나도할말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게 부르지 말라 최용우 2015-08-31 774
188 2015년 나도할말 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최용우 2015-08-30 618
187 2015년 나도할말 너는 나 외에 다른 신들을 네게 두지 말라 최용우 2015-08-29 1014
186 2015년 나도할말 십계명에 숨은 비밀 최용우 2015-08-28 620
185 2015년 나도할말 신호등과 배려 최용우 2015-08-27 560
184 2015년 나도할말 시계와 시간 최용우 2015-08-26 462
183 2015년 나도할말 생명력 최용우 2015-08-25 419
182 2015년 나도할말 백송이 장미꽃을 받을 번 한 이야기 최용우 2015-08-23 830
181 2015년 나도할말 큰 교회와 작은 교회 최용우 2015-08-22 613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