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윤용 목사] 무엇이 최종적 회복일까?

묵상나눔 윤용 목사............... 조회 수 37 추천 수 0 2020.08.15 07:06:24
.........

117324674_3153447378042296_2476415378179335366_o.jpg

[무엇이 최종적 회복일까?]

(이사야 27:2-13)

1. 회복 ...

하나님의 이스라엘의 회복을 말씀하신다.

(사 27:6, 새번역) 앞으로 야곱이 뿌리를 내릴 것이다. 이스라엘이 싹을 내고 꽃을 피울 것이니, 그 열매가 땅 위에 가득 찰 것이다.

하나님의 백성, 하나님의 나라의 최종적인 모습은
꽃을 피우고 열매가 땅 위에 가득 차게 되는
완전한 회복이다.

그 회복의 날이 오면 주의 백성은
하나님의 돌보심 가운데 있게 될 것이고,
주의 백성을 대적하는 적은 하나님이 불사르실 것이다.

하나님의 백성의 최종적인 결론은 회복이다.
지금 슬프고 아프고 고통이 있다 할지라도
최종적으로는 번성하고 은혜를 누릴 것이다.

현재의 부족함과 결핍과 그로인한 불편 때문에
절망할 필요가 없는 존재가 그리스도인이다.
신자의 삶은 실패와 아픔과 고난이 모두
최종적인 회복과 번영을 향하기 때문이다.

2. 징계

그런데 회복이 최종적인 결론이라고 해서
징계마저 없지는 않다.

(사 27:8, 새번역) 그렇지 않다. 주님께서 이스라엘을 포로로 보내셔서 적절히 견책하셨고, 거센 동풍이 불 때에, 거기에 좀더 거센 바람을 보내셔서 이스라엘을 쫓아내셨을 뿐이다.

자기 백성의 죄에 대해서 하나님은 견책하시는데,
이방 나라의 포로로 잡혀가도록 하신다.
아무리 생각해도 견책라고 보기에는
제법 큰 고통이 있는 징계다.

'그냥 회복하시면 될 텐데
왜 이렇게 큰 고통을 주시는 것일까?'
라고 생각하는 건 어리석은 생각이다.
죄를 해결하지 않고서
회복이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견책은 죄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기에
회복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그런데 안심해도 된다.
견책은 한계가 분명하기 때문이다.
어떤 한계일까?

(사 27:7, 새번역) 야곱을 친 자들을 치신 것처럼, 주님께서 그렇게 혹독하게 야곱을 치셨겠느냐? 야곱을 살육하던 자들을 살육하신 것처럼, 주님께서 그렇게 많이 야곱을 살육하셨겠느냐?

징계의 상황, 견책의 상황 가운데에서도
주님은 자기 백성에게 긍휼을 베푸셔서
최악의 상황은 막아주실 것이다.

대적들은 엄중한 심판을 받아 완전히 망해 버릴 것이지만,
하나님의 백성은 징계를 받되
완전히 망하지는 않을 것이다.

회복시키기 위해 징계하시고,
다시 번성하고 은혜를 누리게 하기 위해 견책하시기 때문이다.

최종적 회복이 있을 것이지만
그 과정에서 징계는 반드시 있다.

3. 최종적 회복이란?

그렇다면 최종적 회복은 무엇일까?
어떤 상태가 되는 것이 최종적 회복일까?

막강한 나라가 되어서
외세의 침략을 전혀 받지 않는 것일까?
경제적으로 번영하고 번성해서
가장 부유한 나라가 되는 것일까?

회복을 말할 때 눈에 보이는 어떤 상태를 생각하는 건
가치관이 너무 세속적이 되었다는 증거다.
하나님이 말씀하시는 최종적 회복의 모습은 전혀 다른 것에 있다.

(사 27:13, 새번역) 그 날이 오면, 큰 나팔 소리가 울릴 것이니, 앗시리아 땅에서 망할 뻔한 사람들과 이집트 땅으로 쫓겨났던 사람들이 돌아온다. 그들이 예루살렘의 거룩한 산에서 주님을 경배할 것이다.

예배의 회복이 최종적 회복이다.
회복되기 이전에 이스라엘은
이교 제단을 세웠고 아세라를 섬겼다.
그리고 하나님도 함께 섬겼다.

이교, 아세라 등을 왜 섬겼을까?
탐욕과 욕심과 정욕과 이기심 등
육체의 욕망을 따라 살아가도록 이교는 허락했기 때문이다.

욕망과 탐욕을 따라 살아가는 삶 때문에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징계하셨고 견책하셨다.

그래서 최종적 회복이란,
더 이상 욕망과 탐욕을 따라가지 않고,
더 이상 세속적 가치의 성공을 추구하지 않고
오직 순전한 마음으로 주님께 예배하는 것이다.

최종적 회복인 예배의 회복이 일어나기 위해
우선적으로 일어나야 할 일이 있다.

(사 27:12, 새번역) 너희 이스라엘 자손아. 그 날이 오면, 주님께서 유프라테스 강으로부터 이집트 강에 이르기까지, 너희를 알곡처럼 일일이 거두어들이실 것이다.

주의 백성을 모으시는 일이다.
예배하는 백성을 모으시는 일이다.
주의 은혜에 갈급하고
참된 예배에 갈급하고
올바른 말씀, 생명을 얻고 누리는 말씀에 갈급한
주의 백성들을 모으시고 나서야
온전하고 최종적인 회복이 이루어진다.

4. 이 시대는?

교회들이 코로나 19를 확산시키는 주범으로
사회에 인식이 되고 있다.
거기에 대해서 교회들은 억울하다고 하소연하고
심지어는 실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그런데 교회는 억울할 수가 없다.
실제로 확진자들이 나온 교회들은 방역수칙을 어기고
제대로 마스크 하지 않고 예배하고 찬송했고
식사를 함께 했고 소모임도 하는가 하면,
심지어 자기 교회에 오면 코로나에 걸리지 않는다는
황당무계한 소리들을 했다고 하니,
교회들이 억울할 일이 없지 않은가?

물론 대부분의 교회들은 방역수칙을 잘 지키고
거리두기도 잘 하고 마스크 철저히 착용하고
공동식사도 하지 않으면서 바르게 대처했다.

그러나 확진자를 쏟아내고 있는 곳이
'교회'이기때문에
교회들을 향한 욕을 받아내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욕은 먹는다 하더라도 문제는 다른 곳에 있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신자들은
지금 일어나는 일들을 보면서
'분별력'을 가져야 할 때임을 알아야 한다.

확진자를 쏟아내는 교회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대부분 원래 문제가 있는 교회들이었다.
하나님 까불면 죽는다는 망발을 서슴지 않았던 목사가
담임 목사로 있는 교회,
은사주의와 기복주의에 함몰된 교회,
은사주의와 기복주의에 함몰된 단계를 넘어 이단인 교회,
목사가 다단계를 하는 교회 등이다.

모두 공통점을 가진다.
상식적인 사고를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믿음이나 신앙에 대해서
거의 광신적인 태도로 반응하는 교회들과 교인들이란 점이다.

그들도 '교회'라는 이름을 달고 있으니
교회가 욕을 먹고 제재를 받는 것은
겸허하게 수용하되,
신자 각자는, 또는 기독교계는
그들의 이단성과 몰상식성을 분별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회와 목사를 분별하는 눈을
가지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어쩌면 이렇게 몰상식하고 비이성적이고
신비주의와 은사주의와 기복주의에 빠진 교회들을
코로나 19가 드러내고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헛된 신앙, 광신적 신앙에 함몰되는 것은
올바른 기독교 신앙이 아님을,
그건 이교와 아세라에 빠진 것임을
깨달아야 하는 중요한 기회가 아닐까 싶다.

재편의 시대가 온 것이 아닐까 싶다.
어떤 재편일까?
참된 예배자가 곳곳에서 모여서
올바른 교회를 세우고
올바르게 예배하게 되는 재편의 시대가
이제 와야 하지 않을까 싶다.

덩치만 키우고 세력만 키워서
결국 타락하고 마는 대형교회를 만드는 어리석음에서
이제는 벗어나야 할 때가 아닐까 싶다.

참된 예배자가 되고 싶은,
올바른 말씀, 생명을 얻는 말씀에 갈급한 신자들이
한 명 한 명 모여서
작지만 건강한 교회를 이루고
말씀 속에서 참된 예배자가 되어
풍성한 생명을 누려가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헛된 탐욕과 욕망에 사로잡혀 있을 때가 아니다.
교회가 크다고 찾아가고
거기 소속되어서 안심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
광신적으로 기도하며 집단 최면에 걸려
상식을 무시하고 방역수칙도 무시하는
몰상식한 신앙과 교회에 빠져 있을 때가 아니다.

탈출해야 한다.
이제는 탈출해서
참으로 예배할 건강하고 작은 공동체를 이루어야 한다.
말씀이 살아있어서 말씀의 능력으로
목사도, 신자도 함께 살아나는,
함께 생명을 풍성하게 누려가는 건강한 작은 공동체들이
하나하나 생겨나야 할 때가 아닐까 싶다.

말씀이 살아 있어서
참되고 충만하게 예배하는
건강하고 작은 공동체들이 하나하나 세워져가는 것이
한국교회의 참된 회복이 아닐까 싶다.

말씀의빛교회 성도들과 나도
다른 건강한 작은 교회들과 마찬가지로
오직 말씀 하나에 삶을 걸어
참된 예배자들의 모임이 되는 길을
담담히 걸어가기를 간절히 소원하는 아침이다.
더 보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69 광고알림 종교개혁503주년 기념포럼- 판데믹과 교회 file 김현호 집사 2020-10-17 77
10868 광고알림 바스락콘서트에 초대합니다. file 김현호 2020-10-16 43
10867 광고알림 [아카데미동행세미나] 코로나 시대의 종교개혁 영성 file 오인용 목사 2020-10-15 60
10866 광고알림 학술대회안내- 뉴 노멀 시대의 한반도 평화 구상 file Navi Choi 2020-10-15 27
10865 묵상나눔 [윤용 묵상] 재물이 아니라 여러분 file 윤용 목사 2020-10-12 54
10864 무엇이든 광화문 현판 유감 file 노우호 2020-10-10 97
10863 광고알림 조심스럽게 초대합니다. file 이상호 목사 2020-10-10 49
10862 묵상나눔 회개와 회개기도의 차이 file 윤용 목사 2020-10-04 93
10861 가족글방 Love God by Loving Your Neighbours Lee Jongyong 2020-09-30 29
10860 무엇이든 초보자가 하기 쉬운 묵상법 소개 이종용 2020-09-28 66
10859 무엇이든 넓은문과 좁은문 file [1] Navi Choi 2020-09-27 90
10858 묵상나눔 [윤용 목사] 고난과 위로의 상관관계 file 윤용 목사 2020-09-26 63
10857 묵상나눔 [윤용 묵상] 용서의 세 가지 근거 file 윤용 목사 2020-09-25 51
10856 칼럼수필 지향만 하는 것은 하지 않는 것과 똑같습니다 양진일 목사 2020-09-23 46
10855 가족글방 개같은 자들을 주의하십시오 file Navi Choi 2020-09-23 78
10854 묵상나눔 [윤용 묵상] 가나안이 아니라 고센 땅 file 윤용 목사 2020-09-20 66
10853 무엇이든 얼른 세종에 국회의사당을 하나 더 짓자 김홍한 목사 2020-09-19 49
10852 묵상나눔 [윤용 묵상] 낯선 여정 앞에서 어떡해야 할까? file 윤용 목사 2020-09-18 42
10851 무엇이든 미국이 삼성을 안 건드리는 이유 file 노우호 2020-09-17 73
10850 무엇이든 영어 혼자 쉽게 공부하기~, 질병 혼자 쉽게 치료하기~ 유익한 2020-09-14 47
10849 방명록 코로나를 지혜롭게 이기는 목회자의 sns 에티켓 file 페이스북 2020-09-14 67
10848 칼럼수필 우리 목사님은 언제쯤이면 베푸는 삶을 살까? file [1] 김홍한 목사 2020-09-13 74
10847 칼럼수필 근현대를 이해하는 열쇠 - 진화론 file 김홍한 목사 2020-09-10 47
10846 칼럼수필 욕망 file 김홍한 목사 2020-09-10 56
10845 묵상나눔 [윤용 묵상] 영적 기근이 더 문제다. file 윤용 목사 2020-09-09 78
10844 뉴스언론 코로나19 이후 개신교 인식 ‘싸늘’ 노충헌 기자 2020-09-09 75
10843 광고알림 고정관점을 깨뜨리고 패러다임을 바꾸는 최고의 성경세미나 오은숙 전도사 2020-09-09 57
10842 칼럼수필 천하에 유도하면 말과 행동이 다소 과격하더라도 괜찮으나 file 김홍한 목사 2020-09-06 46
10841 묵상나눔 [윤용 묵상] 보이는 신 vs. 보이지 않는 신 file 윤용 목사 2020-09-06 67
10840 가족글방 어느덧 상쾌한 가을이다. file 김홍한 목사 2020-09-04 67
10839 무엇이든 어쩌면 지금이 우리 한국교회가 회복할 수 있는 황금기다. 임천국 목사 2020-09-03 58
10838 무엇이든 나는 정말 우리 민족에게 깜짝 깜짝 놀라는게 김택환 2020-09-02 51
10837 가족글방 노가다도 머리 나쁘면 못한다 file 송모세 목사 2020-09-01 77
10836 뉴스언론 요즘 뉴스보기가 참 민망합니다. file 소강석 목사 2020-09-01 61
10835 묵상나눔 [윤용 묵상] 얼굴을 벽쪽으로 file 윤용 목사 2020-09-01 44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