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저를 이 섬에서 살게 해 주세요.

묵상나눔 허형회............... 조회 수 58 추천 수 0 2021.06.02 11:58:01
.........
소록도에서 거주하고 있는
K신부 앞에 일흔이 넘어보이는
노인이 다가와 섰습니다
"저를 이 섬에서 살게 해
주실 수 없습니까? "
느닷없는 노인의 요청에
K신부는 당황한 표정을
지었습니다
"아니, 노인장께서는
정상인으로 보이는데
나환자들과 같이 살다니요?"
"제발..."
그저 해본 소리는 아닌 듯
사뭇진지한 표정으로 이야기하는 노인을
바라보며, K신부는
무언가 모를 감정에
사로잡히게 되었습니다
자리를 권하여 앉자
노인은 한숨을 쉬더니
입을 떼기 시작했습니다
"저에게는 모두 여덟 명의 자녀가 있었지요"
"그런데 그중의 한 아이가
문둥병에 걸렸습니다."
"언제 이야기입니까?"
"지금으로부터 40년전,
그 아이가 열 한살 때였지요
병 사실을 알았을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행동은
그 아이를 다른 가족이나 동네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이었습니다"
"여기로 왔겠군요"
"그렇습니다."
"소록도에 나환자촌이 있다는 말만 듣고,
우리 부자가 길을 떠난 건
어느 늦여름이었습니다
그때만 해도
교통이 매우 불편해서
서울을 떠나 소록도까지 오는
여정은 멀고도 힘든 길이었죠.
하루 이틀 사흘...
더운 여름날 먼지나는 신작로를
걷고 타고 가는 도중에
우린 함께 지쳐 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러다
어느 산속 그늘 밑에서 쉬는 중이었는데,
나는 문득 잠에 골아 떨어진
그 아이를 죽이고 싶었습니다.
바위를 들었지요.
맘에 내키진 않았지만
잠든 아이를 향해 힘껏 던져 버렸습니다!
그런데 그만
바윗돌이 빗나가고 만 거예요.
이를 악물고 다시 돌을 들었지만...
차마 또다시
그런 짓을 할 수는 없었어요.
아이를 깨워 가던 길을
재촉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소록도에 다 왔을 때 일어났습니다
배를 타러 몰려든 사람들 중에
눈썹이 빠지거나 손가락이며
코가 달아난 문둥병 환자를
정면으로 보게 된 것입니다.
그들을 만나자
아직은 멀쩡한 내 아들을
소록도에 선뜻 맡길 수가 없었습니다.
멈칫거리다가
배를 놓치고 만 나는
마주 서있는 아들에게
내 심경을 이야기했지요.
고맙게도 아이가 이해를 하더군요.
'저런 모습으로
살아서 무엇하겠니?
몹쓸 운명이려니 생각하고
차라리 너하고 나하고
함께 죽는 길을 택하자 ...
우리는 나루터를 돌아
아무도 없는 바닷가로 갔습니다.
신발을 벗어두고
물 속으로 들어가는데
어찌나 눈물이 나오던지.
한발 두발 깊은 곳으로 들어가다가
거의 내 가슴높이까지
물이 깊어졌을 때였습니다
갑자기 아들녀석이
소리를 지르지 않겠어요?
내게는 가슴높이였지만
아들에게는 턱밑까지 차올라
한걸음만 삐끗하면 물에 빠져
죽을 판인데 갑자기 돌아서더니
내 가슴을 떠밀며 악을 써대는 거예요.
"문둥이가 된 건 난데
왜 아버지까지 죽어야 해요!"
형이나 누나들이
아버지만 믿고 사는 판에
아버지가 죽으면 그들은
어떻게 살겠냐는 것이었습니다.
자기 혼자 죽을테니
아버지는 어서 나가라
힘으로 떠미는 아들녀석을
나는 그만 와락 껴안고 말았습니다.
참 죽는 것도 쉽지만은 않더군요.
그 후
소록도로 아들을 떠나보내고
서울로 돌아와 서로 잊은 채
정신없이 세월을 보냈습니다.
오남 이녀의
일곱 명의 아이들이 자라서,
결혼을 하고, 손자 손녀를 낳고 ...
얼마 전에 큰 아들이
시골의 땅을 다 팔아서 올라와 함께 살자더군요. 그래서 그렇게 했지요.
처음, 아들네 집은 편했습니다.
주는 대로 받아먹으면 되고,
이불 펴 주면 누워 자면 그만이고 ...
가끔씩 먼저 죽은
마누라가 생각이 났지만,
얼마 동안은 참 편했습니다.
그런데 날이,시간이 지날수록
아이들 눈치가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그 애들은 아무 말도 없는데 말입니다.
어느 날인가는 드디어
큰 아이가 입을 엽디다.
큰아들만 아들이냐고요.
그날로 말없이 짐을 꾸렸죠
그런데 사정은
그후로도 마찬가지였어요.
둘째, 셋째, 넷째 ...
허탈한 심정으로
예전에 살던 시골집에 왔을 때
문득 40년 전에 헤어진
그 아이가 생각나는 겁니다.
열한 살에 문둥이가 되어
소록도라는 섬에다 내다버린 아이,
내 손으로 죽이려고까지 했으나,
끝내는 문둥이 마을에 내팽개치고,
40년을 잊고 살아왔던 아이,
다른 일곱 명의 아이들에게는
온갖 정성을 쏟아
힘겨운 공부까지 시켜 놓았지만 ...
내다버리고 까마득하게
잊어 버렸던 아이 ...
다시 또 먼길을 떠나
그 아이를 찾았을 때
아이는 이미 아이가 아니었습니다.
쉰이 넘은 데다
그동안 겪은 병고로 인해
나보다 더 늙어보이는 ...
그러나 눈빛만은
예전과 다름없이 투명하고
맑은 내 아들이 울면서
반기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나를 껴안으며 이렇게 말했지요.
"아버지를 한시도 잊은 날이 없습니다.
아버지를 다시 만나게 해달라고,
40년이나 기도해 왔는데 이제서야
기도가 응답되었군요."
나는 흐르는 눈물을
닦을 여유도 없이 물었죠.
"어째서 이 못난 애비를
그렇게 기다렸는가를 ...,
자식이
문둥병에 걸렸다고
무정하게 내다 버린 채,
한 번도 찾지 않은 애비를 원망하고
저주를 해도 모자랄 텐데,
무얼 그리 기다렸느냐고..."
그러자 아들은
이렇게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여기 와서 예수님을 믿게 되었는데
그 이후로 모든 것을
용서하게 되었노라고 ....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이
비참한 운명까지 감사하게
만들었노라고 ....
그러면서 그는
다시 한번 자기의 기도가 응답된 것에 감사하는 것이었습니다.
아 아 ... !
그때서야 나는 깨닫게 되었습니다
나의 힘으로
온 정성을 쏟아 가꾼
일곱 개의 화초보다,
쓸모없다고
내다 버린 한 포기 나무가 더 싱싱하고
푸르게 자라 있었다는 것을.....
예수 그리스도!
그 분이 누구신지는 모르지만
내 아들을 변화시킨 분이라면,
나 또한 마음을 다해
그 분을 받아들이겠노라고
난 다짐했습니다.
신부님 !
이곳에서 내 아들은 병이 완쾌되어
믿음으로 건강하게 살고 있습니다.
그애는 내가 여기와서 함께 살아주기를
간절히 원하고 있습니다.
그 애와 며느리,
그리고 그 애의 아이들을 보는 순간,
그 바람이 결코 거짓이 아니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그들의 눈빛에는
지금껏 내가 구경도 못했던
그 무엇이 들어 있었습니다.
공들여 키운 일곱명의 아이들에게선
한번도 발견하지 못한
사랑의 눈빛이라고나 할까요 ...
나는 그 애에게 잃어버린 40년의 세월을 보상해 주어야 합니다.
함께 있어주는 것만으로도
그 애에게 도움이 된다면
나는 기꺼이
그 요청을 받아 들일것입니다.
그러니 신부님!
저를 여기서 살게해 주십시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26 광고알림 (토요일 오전 11시) 예언 상담 축사 치유 집회 주님사랑 2014-07-01 482
9625 광고알림 (교회레크레이션강사) 교회체육대회, 수련회레크레이션, 공동체훈련 전문진행강사! 행복전도사! 축복의통로 2014-07-01 2034
9624 뉴스언론 [김종락의 마포스캔들] 함께하면 힘이 세다 김종락 대표 2014-07-01 605
9623 뉴스언론 [기자 칼럼] 유령의 프레임 최민영 미디어기획팀 2014-06-29 370
9622 뉴스언론 [양극화, 문제는 분배다]‘부자 증세’ 않고 부가세 높이려는 정부… 이재덕 기자 2014-06-28 502
9621 뉴스언론 [양극화, 문제는 분배다]기초생활보장 등 ‘보편복지’ 절실… 이재덕 기자 2014-06-28 423
9620 뉴스언론 [양극화, 문제는 분배다] 7년째 월급 300만원… 홍재원 기자 2014-06-28 437
9619 뉴스언론 [양극화, 문제는 분배다]“고임금 탓에 기업 해외로 해외로? 본질 호도 홍재원 기자 2014-06-28 371
9618 뉴스언론 [양극화, 문제는 분배다]미·영·독·일 등 ‘최저임금 인상’으로 성장 동력 조미덥 기자 2014-06-28 403
9617 뉴스언론 [양극화, 문제는 분배다]분배 악화 → 내수 부진 → 투자 위축 ... 이윤주 기자 2014-06-28 398
9616 뉴스언론 [양극화, 문제는 분배다]소득 불평등 커질수록 사회불안도 범죄율도.... 조형국 기자 2014-06-28 594
9615 뉴스언론 [양극화, 문제는 분배다]정부, 성장에 대한 편집광적 태도… 이주영 기자 2014-06-28 711
9614 칼럼수필 [조봉상 목사] 너희는 지도자라 칭함을 받지 말라:L.A 골든벨장로교회 박노아 2014-06-28 751
9613 광고알림 7월KCP 영성훈련학교(COST): 성도의 성장과정 밀알 2014-06-28 408
9612 뉴스언론 [기고]후쿠시마 사고의 7가지 교훈 김해창 위원 2014-06-28 394
9611 뉴스언론 [이택광의 왜?] 하나님의 뜻과 생존경쟁의 법칙 이택광 교수 2014-06-27 657
9610 뉴스언론 [한경포럼] 물론 부가세 뿐이지만… 문희수 논설위원 2014-06-25 378
9609 뉴스언론 [조국의 밥과 법] 젊은 정치인들, 조로(早老)하지 마라 조국 교수 2014-06-25 353
9608 뉴스언론 [여적] 5만원권의 증발 박용채 논설위원 2014-06-24 418
9607 뉴스언론 [세상읽기] 혁신학교 학부모를 잊지 말라 엄기호 강사 2014-06-24 384
9606 뉴스언론 [동네적 풍경]우리동네 정반장님 김현진 에세이스트 2014-06-24 568
9605 뉴스언론 [경향마당] 수도권으로의 ‘파멸적 집중’ 성경륭 교수 2014-06-24 345
9604 뉴스언론 [과학 오디세이] 유전자변형 모기의 출현 김훈기 교수 2014-06-23 775
9603 뉴스언론 [김형경의 뜨거운 의자] 타인을 악한으로 만드는 ‘박해감’을 아시나요? 김형경 소설가 2014-06-23 1095
9602 무엇이든 삶이 지치고 힘들 때 우리의 삶에 참 평안을 드립니다 박은주 2014-06-23 633
9601 광고알림 기독교 캠프코리아 대학청년캠프 2014여름 안내 크리스천투데이 2014-06-23 595
9600 광고알림 제5회 중독심리치유공연 saip75 2014-06-23 386
9599 광고알림 6월KCP영성훈련학교(COST)): 안재홍 목사 치유세미나 밀알 2014-06-22 1019
9598 뉴스언론 [여적] 그들의 군대 이종탁 논설위원 2014-06-21 318
9597 뉴스언론 [기고]환경오염 피해구제 법률 뭉개지 말라 김홍균 교수 2014-06-21 361
9596 뉴스언론 [낮은 목소리로] 염치 김별아 | 소설가 2014-06-21 381
9595 무엇이든 [정제윤 목사] 롯의 인본주의 신앙관:동천교회(총공회) 박노아 2014-06-20 468
9594 뉴스언론 목사들의 망언과 신학적 단상 거북이 2014-06-20 432
9593 뉴스언론 목회자 1000인 선언 cyw 2014-06-20 761
9592 광고알림 (제11기) 은사사역자학교 (7월 7-8일) 주님사랑 2014-06-20 442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