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십자가 묵상

가족글방 최주훈 목사............... 조회 수 18 추천 수 0 2022.04.14 07:27:15
.........
십자가 묵상
 
오늘은 성금요일입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운명하신 날이고, 이 죽음을 기억하고 묵상하기 위해 우리가 이 자리에 모였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지금 주님의 십자가를 어떤 식으로 묵상하는지 진지하게 돌아봐야 합니다. 많은 이들이 예수님의 수난과 십자가 죽음을 잘못된 방식으로 묵상하기 때문입니다.
어떤 이들은 성금요일 예배에 참석하기만 해도 은혜를 받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또 어떤 이들은 예수님의 수난과 십자가를 머리에 떠올리기만 해도 여러 유익이 있다고 가르칩니다. 영적인 유익이라는 건 우리의 기억과 연결되어 있어서 하루에 한 번 이상 십자가 사건을 떠올리기만해도 은혜가 자동으로 몸에 쌓이고, 점점 영적인 사람이 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또 어떤 사람은 십자가 그림이나 모형을 거실 잘 보이는 곳에 놓거나, 목에 십자가 목걸이를 걸고 그것이 악한 기운을 막아준다고 말합니다. 사람들은 이렇게 그리스도의 고난과 십자가를 자기네 불행을 막는 방패나 부적으로 사용합니다. 심지어 어떤 이들은 작은 나무 십자가를 손에 쥐고 시험을 치르면 성적이 잘 나온다고 합니다. 하지만 모두 부질없는 짓입니다. 그런 것들은 십자가의 바른 묵상법이 아닙니다.
또 어떤 사람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십자가 사건을 제대로 묵상하려면, 주님이 골고다 언덕에 참혹한 모습으로 올라가실 때 그 뒤를 따르던 여인들이 슬퍼했던 것처럼, 그리스도의 처참한 모습에 동정심을 갖고 아파하고 슬퍼하는 게 바른 묵상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주님은 이런 생각도 잘못된 것이라고 분명히 말씀하십니다. 슬퍼하던 여인들을 향해 주님은 이렇게 말씀합니다. “차라리 너 자신과 너희 자녀를 위해 울라”고 말입니다. 왜, 자기 자신을 위해 울어야 하는지 깨닫지 못한다면.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에 대한 묵상은 단 한 발짝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합니다. 예수님의 참혹한 모습 때문에 슬퍼하지 말고, 오늘 우리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며 슬퍼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십자가를 부적으로 여기거나 죄 없는 예수님의 수난이 안타깝고 가련하다고만 생각한다면, 아무리 십자가를 이야기하고, 수백 번 십자가를 붙들고 찬송하고 기도한들 그것은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상관없습니다.
성금요일 함께 모인 이 자리에서 십자가 말씀을 듣고 바르게 묵상할 때 첫 번째 반응은 우선 우리의 심장이 공포로 얼어붙어야 합니다. 배신과 모욕, 매질과 구타, 호산나 환호가 죽음으로 내모는 군중들의 함성, 그리고 선명하게 들리는 못 박는 소리에서 죄인을 가혹하고 엄하게 다루시는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을 마주하기 때문입니다. 이사야 53:8에서 “그는 마땅히 형벌 받을 내 백성의 허무로 인하여 고난을 받았다”는 말씀의 의미가 바로 이것입니다.
우리가 십자가 사건을 깊이 묵상하면 묵상할수록 그 공포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바로 우리 자신이 예수님을 죽인 장본인이라는 사실이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사도행전 2:36-37에서 베드로가 유대인을 향해 “너희가 이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았다" 하고 외치는 구절이 나옵니다. 그 자리에 있었던 삼천 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공포에 떨면서 사도들을 향해 "형제들아, 우리가 어찌할꼬?" 하고 떨며 부르짖습니다. 우리 역시 예수님의 손을 꿰뚫은 못을 보면서, 그 못이 바로 우리의 잘못된 행위라는 것을, 예수님의 머리를 찌르고 있는 가시관을 보면서, 그 가시가 바로 예수님을 피 흘리게 만든 우리의 악한 생각들이란 것을 깨달아야 합니다. 십자가의 자리는 바로 우리가 매달려야 할 자리입니다.
이것이 바로 그리스도께서 여인들을 향해 “나를 위해 울지 말고 너희와 너희 자녀를 울라”는 말씀의 의미입니다.
 
최주훈 목사(루터교회)

댓글 '1'

나무

2022.04.14 07:27: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2881 무엇이든 그날밤 처녀에게 무슨일이 있었을까? 최용우 2002-06-04 702064
12880 방명록 준이 핸드폰 사주다. [1] 준아빠 2010-12-23 119834
12879 방명록 사랑이 점점 식어가고 있다. 김경배 2009-12-29 106811
12878 방명록 요즘의 삶은 참으로 은혜이다. 김경배 2008-05-09 106671
12877 방명록 주님은... 김경배 2008-02-04 106333
12876 방명록 구합니다. 주님 [1] 준아빠 2009-03-21 105882
12875 방명록 행복 김경배 2009-12-30 105390
12874 방명록 예수는 왕이시다. 김경배 2009-12-21 104376
12873 방명록 오해 김경배 2008-01-26 100343
12872 방명록 말 한마디의 중요함 준아빠 2010-11-18 99747
12871 방명록 눈을 뜨세요. 김목사 2008-02-13 99357
12870 방명록 잘 알려진 시는 그만큼 무게가 있습니다. 김경배 2004-10-30 98190
12869 방명록 지난 1년을 돌아보며.... 김경배 2007-12-05 97880
12868 방명록 홈페이지 보드를 업그레이드 하였습니다. 최용우 2009-02-24 95576
12867 방명록 지난 날 김경배 2010-06-25 94046
12866 방명록 따뜻한 집 [1] 김 현태 2004-10-17 91114
12865 방명록 자연스러움의 힘 file 김경배 2004-11-05 89370
12864 방명록 얼짱다녀감 [1] 한영中얼짱 2004-10-22 86545
12863 방명록 내가 태양인.... 김경배 2009-12-01 86480
12862 방명록 어릴 적 꿈 김삿갓 2005-12-21 85558
12861 방명록 이것은 무슨 마음일까? 김경배 2010-04-16 84748
12860 방명록 섬김의 시작은 오직 성령으로 [1] 준아빠 2009-03-24 84594
12859 방명록 개업예배 열린목사 2007-01-29 84391
12858 방명록 이번주 수요일까지는 [1] 김경배 2004-10-25 84290
12857 방명록 네팔에서 [1] 네팔의 배희원 2009-06-09 82838
12856 방명록 김장하기 [1] 김경배 2004-11-27 82678
12855 방명록 네팔의 이요한 선교사입니다.5,6월선교편지 [1] 이요한 2010-07-01 81922
12854 방명록 심방 김경배 2006-03-23 80661
12853 방명록 새로움 김경배 2005-03-29 80251
12852 방명록 이름도 없이 빛도 없이(퍼옴) 큰나무 2004-12-21 77817
12851 방명록 오늘부터 이곳이 주님의 가족 모두의 공간이 김경배 2007-01-10 77759
12850 방명록 싸움 김목사 2006-07-28 77645
12849 방명록 부모의 기쁨은 모두같다 [1] 박은석 2005-05-15 77627
12848 방명록 하나님이 몰아가주세요. 김경배 2006-11-21 77520
12847 방명록 내게 필요한 것 김경배 2004-12-04 77179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