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마음 하나 다스리지 못하는 나 자신이 한심합니다!

물맷돌............... 조회 수 227 추천 수 0 2022.05.28 21:55:06
.........

[아침편지3062] 2022년 5월 13일 금요일

 

“마음 하나 다스리지 못하는 나 자신이 한심합니다!”

 

샬롬! 밤새 안녕하셨는지요? 오늘 하루도 내내 평안하시길 기원합니다. 오늘은 ‘건강한 사람들의 공통적인 생활습관’을 소개합니다. 첫째: 아침 챙겨먹기, 둘째: 식단 짜서 먹기, 셋째: 물마시기, 넷째: 운동, 다섯째: 새로운 것 배우기, 여섯째: 숙면, 일곱째; 야외활동, 여덟째; 마음 챙김.

 

“마음 하나 다스리지 못하는 나 자신이 한심하다”면서 고민을 털어놓는 사람들이 적잖습니다. 회사에 각별한 애사심을 갖고 최선을 다함으로써 나름 인정을 받던 사람이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상사의 지나치다 싶은 부정적인 반응’과 ‘승진까지 못하는 일’이 겹쳐서 사직까지 생각하게 되었다는 겁니다. ‘자신의 장단점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로 삼으라.’는 지인의 조언에 따라 몇 개월째 노력하고 있지만, 그러나 ‘스스로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극복하지 못하는 자기 자신이 한심하다’고 했습니다.

 

최선을 다해도 이따금 위기가 찾아오는 것이 우리네 인생살이입니다. 이런 ‘위기의 순간에 어떻게 대처하는가?’가 우리 인생을 잘 꾸려나가는 데 있어서 진정 중요합니다. 그런 측면에서, ‘위기에 좌절하지 않고 극복을 위해 노력하는 것’은 우선 옳은 일입니다. 그런데, 균형이 중요합니다. ‘극복하려고 노력하는 자세’와 ‘실제적인 목표’ 사이에 균형이 필요합니다.

 

앞에서 소개한 사연을 보면, 상당한 수준의 스트레스 반응을 일으킬 내용입니다. 아마도 ‘회사와 나를 거의 하나의 동일체’로 여기는 마음이 존재했을 텐데, 지금 겪고 있는 상황은 깊은 배신과 억울한 감정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믿지 않으면 배신을 느낄 일도 없고, 최선을 다하지 않으면 억울할 일도 적습니다. 그래서 의외로 배신과 억울함은, 열심히 살다보면 한 번쯤은 경험하게 되는 흔한 감정입니다. 흔하다고 해서, 안 아픈 것은 아닙니다. 매우 아픕니다.

 

‘자신의 감정을 자기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은 노력하면 할 수 있는 일이고, 그런 사람이 강한 정신을 가진 것으로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감정은 자율성을 상당히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통제에서 튕겨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지어는, 자신이 감정을 조정하려고 힘을 더하면, 그 힘을 오히려 블랙홀처럼 빨아들여서 더욱 강하게 저항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앞의 사연으로 돌아가면, ‘극복이란 자세는 훌륭하지만, 목표는 ? 버티자 ?로 바꾸어보자’고 제안했습니다. ‘오랜 시간 믿었던 곳’에서 ‘배신과 억울함’의 감정이 느껴지는데, 몇 개월 만에 ‘그 감정을 없앨 수 있다’는 생각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그 감정을 찍어 눌러 잠시 못 느끼는 정도는 가능할지 모르지만, 오히려 이런 경우는 더 오랜 시간 자기 자신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스스로에 대한 정확하고도 따뜻한 판단’이 ‘자기관리’에 필요합니다. 극복하려고 최대치 노력하고 있는데도 ‘부정적인 감정’이 남아있을 수 있는 것입니다. 이는 ‘정상(正常)’입니다.

 

몸에 상처가 나면, 회복에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빨리 낫겠다!’고 환부를 함부로 만지면, 오히려 덧날 수도 있습니다. 마음도 똑같습니다. ‘마음에 상처’가 생겼을 때, ‘회복해야지’하고 마음먹는 것은 올바른 태도입니다. 그러나 따뜻하게 스스로를 안아주면서 기다려야 하는 것입니다. 마음의 상처가 아무는 데도 시간이 필요합니다.(출처; C닷컴, 윤대현의 마음속 세상풍경/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그렇습니다. 인생을 살아가노라면 상처가 없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그 상처가 아물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 글쓴이의 전문가적인 의견입니다. 혹시, 마음이 괴롭고 아픕니까? 조금만 더 참고 기다리시기 바랍니다. 물론, 신앙인이라면 기도하면서 기다려야겠죠. 시간이 흐르면 잊혀지게 마련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새록새록 생각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사는 날 동안에 짊어지고 가야 할 짐보따리입니다.(물맷돌)

 

[그분은 ‘마음이 상한 자’들을 고치시며, 그들의 ‘상처’를 싸매어주십니다.(시147:3,쉬운성경) 무거운 짐을 지고 지친 사람은 모두 나에게 오너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할 것이다.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멍에를 메고 내게 배워라. 그러면, 너희 영혼이 쉼을 얻을 것이다. 나의 멍에는 쉽고, 나의 짐은 가볍다.(마11:28,쉬운성경)]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726 가치 있는 땅 file 지성호 목사 2022-06-22 223
37725 삶의 유용성 file 조주희 목사 2022-06-22 172
37724 진주의 가치 김장환 목사 2022-06-19 491
37723 영혼을 고치시는 주님 김장환 목사 2022-06-19 426
37722 말씀을 믿어라 김장환 목사 2022-06-19 448
37721 마음을 움직이는 겸손 김장환 목사 2022-06-19 410
37720 1%의 위력 김장환 목사 2022-06-19 384
37719 세상을 바꾸는 생각 김장환 목사 2022-06-19 424
37718 잘못된 경로 김장환 목사 2022-06-19 261
37717 말실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생각할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물맷돌 2022-06-17 240
37716 그때, 가슴 아프게 하지 말 걸. 내가 왜 그랬을까?’ 물맷돌 2022-06-17 150
37715 왜 사는지?’ 알려고 왔는데, 이젠 확실히 알았습니다! 물맷돌 2022-06-17 215
37714 쉰일곱 살의 동재아저씨 물맷돌 2022-06-17 122
37713 아, 이 끔찍한 전쟁은 언제쯤 끝나는 것일까요? 물맷돌 2022-06-17 145
37712 그는 저의 마음이 가라앉을 때까지 기다려주었습니다. 물맷돌 2022-06-17 96
37711 부모의 과오’를 ‘자신의 상처’로 가져오지 않게 하려면? 물맷돌 2022-06-17 98
37710 저를 힘들게 한 사람은 바로 저 자신이었습니다. 물맷돌 2022-06-17 148
37709 녹색교회 선정 단상 file 김종구 목사 2022-06-14 251
37708 내 멍에를 메고 file 서재경 목사 2022-06-14 370
37707 텍사스의 못다 핀 꽃 file 김성국 목사 2022-06-14 228
37706 콜링의 세 가지 신기한 경험 file 문혁 목사 2022-06-14 324
37705 file 지성호 목사 2022-06-14 303
37704 어리석은 개미 file 조주희 목사 2022-06-14 420
37703 오늘 우리에게도 회심이 필요합니다 file 김종구 목사 2022-06-14 282
37702 내 눈에 있는 들보 file 서재경 목사 2022-06-14 295
37701 승리가 아닌 인내 김장환 목사 2022-06-09 722
37700 첫 번째인 가정 김장환 목사 2022-06-09 435
37699 온전히 집중하는 법 김장환 목사 2022-06-09 483
37698 신앙을 설득하는 법 김장환 목사 2022-06-09 404
37697 장애를 만드는 것 김장환 목사 2022-06-09 199
37696 매일의 위대함 김장환 목사 2022-06-09 326
37695 상황을 바꾸는 지혜 김장환 목사 2022-06-09 523
37694 관심의 에너지 김장환 목사 2022-06-09 339
37693 난 엄마가 내 엄마라서 얼마나 다행인지 몰라요! 물맷돌 2022-06-06 186
37692 다음 날, 아무도 죽지 않았다. 물맷돌 2022-06-06 252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