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기다릴 것인가, 걸을 것인가?

가족글방 Navi Choi............... 조회 수 40 추천 수 0 2023.02.13 07:20:03
.........

기다릴 것인가, 걸을 것인가?
문학과 예술의 현대성이 주는 질문

노벨문학상 수상작 ‘고도를 기다리며’에서 사무엘 베케트(1906~1989)는 인생을 기다림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작품에서 블라드미르와 에스트라공은 오지도 않는 고도(Godot)를 마냥 기다립니다. 작가는 고도가 어떤 존재인지는 설명하지 않습니다. 어떤 관객들은 고도의 이름이 영어와 프랑스어의 합성어 ‘God+Dieu’로 이해하려고도 하지만 작가는 굳이 설명하지 않습니다. 연극의 배경은 어느 한적한 시골길, 앙상한 나무 한 그루가 서있는 언덕 아래입니다. 누구인지도 모르고, 언제 올지도 모르는 고도를 기다리다 지친 에스트라공은 기다림을 포기하려고 합니다. 그럴 때마다 블라드미르는 구원자로 올 고도를 기다리자며 에스트라공을 설득합니다. 하지만 두 사람의 대사는 무의미한 말장난이 대부분입니다. 에스트라공은 연극이 시작할 때부터 얼굴이 엉망인 채로 등장하지만 왜 그렇게 되었는지는 알지 못합니다. 과거가 없기 때문에 과거의 미래인 현재도 없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미래를 기다립니다. 그렇게 기약 없는 기다림이 계속되는 중에 포조와 럭키가 잠시 등장하곤 사라집니다. 오랜 기다림으로 하루가 저물 무렵 고도의 전령인 소년이 등장하여 ‘고도가 오늘은 못 오고 내일은 온다’고 전합니다.
.
모름지기 이 작품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프랑스 남부지역에 숨어 지내면서 전쟁이 끝나기를 기다리던 작가의 경험을 반영한 것이 분명합니다. 베케트는 프랑스 레지스탕스를 돕다가 독일군에게 발각이 되어 보클루즈에 피신하고 있었습니다. 피난민들은 전쟁이 끝나기를 기다렸습니다. 그러나 전쟁이 언제 끝날지는 아무도 몰랐습니다. 그 지루한 시간에 베케트는 피난민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시간을 보냈습니다. 한 이야기가 끝나면 다른 이야깃거리를 찾아야했는데 이것이 ‘고도를 기다리며’의 이야기 꼴이 된 것입니다.
.
인류역사에 전례가 없는 대규모의 처참한 전쟁을 두 번이나 겪으면서 예술은 전에 한 번도 겪어본 적이 없는 낯선 길로 접어들었습니다. 이런 흐름의 시작을 ‘모더니즘’이라고 불러도 무방합니다. 이 흐름에 편승한 작가들은 자기 작품을 독자, 또는 관객에게 객관적으로 설명하거나 강요하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독자가 보고 싶은 대로 보거나 듣고 싶은 대로 듣는 일이 가능해진 것입니다. ‘고도를 기다리며’처럼 작품의 의미와 목적을 관객에게 모조리 맡깁니다. 작품 속에 숨겨놓은 작가의 의도를 독자가 ‘보물찾기’처럼 탐색하는 재미는 진부한 시대가 된 것입니다. 작품의 완성, 또는 목표는 작가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독자의 판단에 따른다는 것입니다.
.
이것은 문학뿐만 아니라 조형예술에서 더 분명해집니다. 우리가 난해하다고 여겨지는 미술이 대개가 그렇습니다. 큐비즘, 포비슴, 추상표현주의, 포스트모더니즘, 초현실주의, 다다이즘, 미니멀리즘, 팝아트 등으로 불러지는 미술과 피카소(1881~1973), 뒤샹(1887~1968), 달리(1904~19 89) 등의 작품이 그렇습니다.
.
초현실주의 예술가 가운데 스위스의 조각가 알베르토 자코메티(1901~1966)가 있습니다. 그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불안한 시대정신과 허무에 빠진 인간 실존을 작품화하였습니다. 그래서 그의 작품은 시대의 자화상이기도 합니다. 그러면서도 렘브란트와 고흐의 자화상과는 결이 다른 ‘나는 누구인가?’의 질문을 무겁게 던집니다. 군더더기로 감싼 채 살고 있는 자신을 돌아보기에 충분합니다. 특히 ‘걸어가는 사람 1’(1960)은 비정상의 가늘고 길고 엉성한 인체를 통해 인간의 고독한 실존을 극명하게 표현하였습니다. 그는 ‘걸음’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습니다. “인간이 걸을 때, 자신의 몸무게를 의식하지 않고 가볍게 걷는다. 거리의 사람들을 보라. 그들은 무게가 없다. 어떤 경우든 죽은 사람보다도, 의식이 없는 사람보다도 가볍다. 내가 보여주려는 건 바로 그것, 그 가벼움의 본질이다.”
.
자코메티는 1953년 1월 3일, 파리의 바빌론극장에서 ‘고도를 기다리며’가 초연되었을 때 2막의 설치미술을 맡은 바 있습니다. 전쟁의 참화를 목도한 두 예술가의 시선이 교차하는 순간입니다. 전쟁을 통하여 기존 가치의 무력감을 느낀 두 예술가는 전통의 틀과 격식을 배격하고 새로운 창작의 길을 모색하였던 것입니다.
.
“고도를 기다려야지”
기다림에 지친 에스트라공이 기다림을 포기하자고 할 때마다 블라디미르가 한 말입니다. 우리도 고도를 기다립니다. 고도란 ‘구원자’일 수도, ‘평화’일 수도, ‘죽음’일 수도, ‘소박한 꿈’일 수도 있습니다. 기다린다는 것은 시간의 한계를 가진 인간에게는 괴로운 것이지만 그것 또한 희망입니다. 기다림이 습관이 되고 있는 즈음에 우리의 기다림이 멈추면 엄청난 무게감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멈추면 안 되는 이유입니다. 쉬지 않고 걷는 것, 그것이 베게트의 기다림을 넘는 자코메티식의 기다림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진리와 평화와 정의, 기다리겠습니까? 걸으며 마중하겠습니까?

330203958_843914923375958_365347332419746492_n.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744 광고알림 순교신앙 이음 기도회 안내 -2023.4.8(토) 광주 file 문희성 2023-04-05 25
11743 묵상나눔 바라바냐? 그리스도냐? file Navi Choi 2023-04-05 41
11742 걷는독서 [걷는 독서] 자신이 정말로 좋아하는 것을 위해 file 박노해 2023-04-04 28
11741 묵상나눔 절망, 죽음에 이르는 병 file [1] Navi Choi 2023-04-04 45
11740 걷는독서 [걷는 독서] 선하고 의로운 이들은 아직 죽지 않았고 file 박노해 2023-04-03 25
11739 묵상나눔 지켜지지 않는 원칙 file Navi Choi 2023-04-03 43
11738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내 몸은 너무 지쳐있다 file 박노해 2023-04-02 31
11737 묵상나눔 배신자의 입맞춤 file Navi Choi 2023-04-02 31
11736 가족글방 섶-양심과 희망 file Navi Choi 2023-04-02 28
11735 걷는독서 [걷는 독서] 다 함께 추웠던 겨울보다 file 박노해 2023-04-01 23
11734 묵상나눔 이야기가 세상을 구원합니다 file Navi Choi 2023-04-01 41
1173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좋은 기술은 file 박노해 2023-03-31 36
11732 묵상나눔 일반화의 오류와 자기 절대화 file Navi Choi 2023-03-31 57
11731 걷는독서 [걷는 독서] 인생이 막막한 사막길 같을지라도 file 박노해 2023-03-30 36
11730 가족글방 호들갑 김홍한 목사 2023-03-30 24
11729 묵상나눔 오른편? 왼편? file Navi Choi 2023-03-30 27
11728 걷는독서 [걷는 독서] 아이들은 봄이다 file 박노해 2023-03-29 24
11727 묵상나눔 당당하게 file Navi Choi 2023-03-29 35
11726 가족글방 심사숙고(深思熟考) 최창섭 2023-03-29 55
11725 가족글방 주님의 율법이 입에서 떠나지 않게 하라 최창섭 2023-03-29 30
11724 걷는독서 [걷는 독서] 꿈은 꾸는 것이 아니다 file 박노해 2023-03-28 33
11723 묵상나눔 슬기로운 처녀 file Navi Choi 2023-03-28 41
11722 걷는독서 [걷는 독서] 해맑은 얼굴로 file 박노해 2023-03-27 35
11721 묵상나눔 아무도 모른다 file Navi Choi 2023-03-27 34
11720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내가 어찌할 수 있는 단 하나는 file 박노해 2023-03-26 24
11719 묵상나눔 종말의 때 file Navi Choi 2023-03-26 28
11718 가족글방 섶- 서부전선 이상 없다 file Navi Choi 2023-03-26 25
11717 걷는독서 [걷는 독서] 이 짧은 한 장면을 만나기 위해 file 박노해 2023-03-25 30
11716 묵상나눔 모든 민족 온 세상 file [1] Navi Choi 2023-03-25 46
11715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나는 온 우주를 품고 있는 file 박노해 2023-03-24 36
11714 묵상나눔 뱀들아, 독사의 새끼들아! file [1] Navi Choi 2023-03-24 52
1171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악은 갈수록 새로와지고 다양해지고, file 박노해 2023-03-23 43
11712 묵상나눔 그림자 file Navi Choi 2023-03-23 31
11711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내가 만일 물방울이라면 file 박노해 2023-03-22 24
11710 묵상나눔 가면인생 file [1] Navi Choi 2023-03-22 48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