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용서, 언제까지

묵상나눔 Navi Choi............... 조회 수 47 추천 수 0 2023.03.09 07:20:53
.........
용서, 언제까지
마태복음 18:21~35
.
‘용서’란 지은 죄나 잘못한 일을 꾸짖거나 벌하지 않고 덮어 주는 일입니다. ‘관용’은 남의 잘못 따위를 너그럽게 받아들이거나 용서하는 일입니다. 기독교는 용서와 관용에 터하여 신앙과 삶의 가치를 세웁니다. 주님은 “원수를 사랑하며 너희를 박해하는 자를 위하여 기도하라”(5:44)고 하셨는데 실천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C. S. 루이스는 『순전한 기독교』에서 이 말씀을 ‘원수에 대하여 호감을 갖거나 근사한 사람으로 오해하라는 의미가 아니라 그가 잘되기를 바라라’는 의미로 해석하였습니다. 우리가 자신을 사랑하는 이유는 사랑할만해서가 아니라 자신이기 때문이듯, 용서란 원수를 대할 때 자기처럼 대하는 태도입니다. 남의 작은 실수는 침소봉대하여 지탄하면서 자신의 큰 허물은 모른척하는 일은 위선자입니다(7:5). 지금 우리 사회는 위선자 천지입니다.
.
1762년 프랑스 툴르즈 지방에서 위그노 청년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이 있었습니다. 변호사를 꿈꾸는 이 청년은 당시 사회에서 위그노로 사는 것에 한계를 느껴 절망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사건은 엉뚱한 방향으로 튀었습니다. 청년이 로마가톨릭교회로 개종을 결심하였는데 이를 반대하는 위그노 아버지 장 칼라스가 아들을 살해하였다는 것입니다. 툴르즈는 위그노전쟁(1562~1598) 발발 시점에 수천 명의 위그노가 학살당한 지역으로 그 200년이 되는 시점에 교회와 권력은 희생양을 찾고 있었는데 장 칼라스는 더 없이 좋은 사냥감이었습니다. 결국 칼라스에게 거열형이 선고되었습니다. 하지만 칼라스는 하나님을 향하여 자신의 결백을 호소하고, 잘못 심판한 판사들을 용서하는 기도를 올렸습니다. 이 사건을 목도한 볼테르는 ‘당신이 남에게 당하고 싶지 않은 일이라면 당신 역시 남에게 행하지 말라’는 말을 남겼고, 유명한 『관용론』을 썼습니다.
.
하지만 역사는 반복되는 모양입니다. 장 칼라스 사건 이후 비슷한 일이 또 일어났다. 독일과 프랑스 전쟁(1870~1871)에서 진 프랑스는 ‘드레퓌스사건’으로 면피하려고 하였습니다. 패전 후 프랑스는 강박적인 애국주의 열풍에 휩싸여 군국주의의 길을 재촉하여 반유대주의 열풍이 뜨거웠습니다. 이런 즈음에 유대 혈통의 포병 대위 드레퓌스는 희생양 삼기에 안성맞춤이었습니다. 적의 나라 독일에 군사기밀을 알려주었다는 죄로 종신형을 선고받았습니다. 이 사건은 프랑스를 둘로 나누었습니다. 군국주의자들과 반유대주의자들, 그리고 교회는 드레퓌스를 한 목소리로 규탄하며 분노하였고, 공화제를 추구하는 정치인과 지성인들은 그 광기에 맞섰습니다. 이때 작가 에밀 졸라가 <나는 고발한다>(1898)를 써 무죄를 이끌었습니다. 이 사건 후에야 프랑스는 민주정의 길을 걸을 수 있었습니다.
.
오늘의 정치와 경제와 사회와 종교 등 사회 모든 분야에 용서할 일이 너무 많습니다. 힘으로 한반도를 강탈한 일본 제국주의는 물론, 당시 독립운동을 폄훼하며 일본을 편드는 대통령도 용서하여야 합니다. 저들이 저지르는 무지와 무책임의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의 몫입니다. 용서가 필요 없는 세상은 언제나 오는 걸까요? 그날을 기다립니다.
.
하나님 약속의 성취를 믿고 오롯이 왕의 길을 따라 살기를 애쓰는 하늘 백성에게 주님의 이끄심과 돌보심이 함께 있기를 바랍니다.
.
하나님, 주님의 가르침을 따라 용서를 생활화하겠습니다. 그런데 용서받은 죄인이 여쭙니다. 언제까지 용서만 하면서 살아야 하나요?
.
찬송 : 311 내 너를 위하여
.
2023. 3. 9 목
330448975_158186620050252_2179427786834425852_n.jpg

 


댓글 '2'

김봉진 목사

2023.03.09 07:38:26

마태복음 18:21-35절
“그 때에 베드로가 나아와 이르되 주여 형제가 내게 죄를 범하면 몇 번이나 용서하여 주리이까 일곱 번까지 하오리이까(21절) 예수께서 이르시되 네게 이르노니 일곱 번뿐 아니라 일곱 번을 일흔 번까지라도 할지니라”(22절)
유대 랍비들은 세 번까지 용서하라 했고, 베드로는 좀 더 관대하게 일곱 번까지 용서할 준비가 되어 있지만, 예수님은 일곱 번을 일흔 번까지 무한한 용서를 명령하십니다.
- 은혜를 모르는 종의 비유(23~34절)
“결산할 때에 만 달란트 빚진 자 하나를 데려오매(24절) 그 종의 주인이 불쌍히 여겨 놓아 보내며 그 빚을 탕감하여 주었더니(27절) 그 종이 나가서 자기에게 백 데나리온 빚진 동료 한 사람을 만나 붙들어 목을 잡고 이르되 빚을 갚으라 하매”(28절)
'백 데나리온'은 만 달란트의 60만분의 1입니다. 16만 년 일해야 감을 수 있는 빛을 면제해줬더니 고작 백 일치 품삯 때문에 동료를 무자비하게 대한다면, 은혜를 거두고 다시 그 빛의 책임을 물어 심판하는 게 마땅합니다. “너희가 각각 마음으로부터 형제를 용서하지 아니하면 나의 하늘 아버지께서도 너희에게 이와 같이 하시리라”(35절)
하나님은 만 달란트의 빚을 탕감해준 임금처럼 우리 힘으로 도저히 갚을 수 없는 죄의 빚을 예수님을 통해 탕감해주시고, 우리의 모든 죄를 용서해주셨습니다. 누군가를 용서할 수 없을 만큼 미울 때, 내가 이렇게 주님을 갈망하면서 부활의 소망을 품고 살 수 있게 하신 용서의 은혜를 기억하고 다른 이를 용서하며 살아갑시다.

김봉진 목사

2023.03.11 08:11:34

마태복음 18:21-35절 용서받는 삶, 용서하는 삶
그리스도를 통해 주어지는 사죄의 은총을 경험하지 않고는 누구도 그리스도인이 될 수 없습니다. 하나님의 완전한 용서는 그리스도인의 위대한 신앙고백이자, 새 삶을 위한 기반입니다. 그런데 하나님의 용서는 우리로 용서받았다는 사실을 기뻐하는 데 머물도록 내버려두지 않고, 오랜 시간이 걸리더라도 다른 사람을 용서하는 데까지 이르도록 우리를 인도합니다.
1. 예수님은 용서에 제한을 두지 말라 하십니다(21, 22절).
1) 베드로가 생각한 용서의 최대치는 몇 번입니까(21절)? 일곱 번
2) 예수님은 몇 번까지 용서하라고 하십니까(22절)? 일곱 번을 일흔 번
나눔 1 주께서 무한히 베풀라고 하실 만큼 용서는 성도에게 매우 중요한 덕목이지만, 말처럼 쉽지 않습니다. 용서가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지, 그럼에도 개인과 공동체, 사회에 용서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지 이야기해봅시다.
2. 예수님은 만 달란트 빚진 종의 비유를 통해 용서를 가르치십니다(23-35절)
1) 주인이 종의 만 달란트 빚을 탕감해준 이유는 무엇입니까(27절)?
2) 주인이 만 달란트 빚진 종을 옥에 가둔 이유는 무엇입니까(28-34절)?
3) 우리가 마음으로 형제를 용서하지 않을 때, 하나님은 어떻게 하십니까(35절)?
나눔 2 그리스도인은 하나님께 받은 용서로 서로 용서할 수 있는 자들이고, 서로 용서하는 모습을 통해 하나님께 용서받았음을 재확인하는 자들입니다. 하나님께 받은 용서에 용기를 얻어 다른 사람을 용서한 경험이나, 다른 사람을 용서함으로 하나님의 용서를 더 크게 깨달은 적이 있다면 이야기해봅시다.
나눔 3 일곱 번을 일흔 번까지 용서하라는 명령을 오용하면, 가해자에게 책임을 회피할 구실을 주거나, 피해자에게 또 다른 해를 가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려할 부분은 무엇인지 서로 의견을 나눠봅시다.
마음 모아, 함께 기도(출처: 매일성경)
삶 _ 하나님의 용서를 경험한 그리스도인답게 서로 용납하는 자비로운 마음을 주소서.
공동체 _ 서로 용서함으로 하나 되는 공동체가 되게 하소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1779 묵상나눔 민중봉기 file Navi Choi 2023-04-20 30
11778 걷는독서 [걷는 독서] 우리 모두는 혁명의 아이들 file 박노해 2023-04-19 20
11777 묵상나눔 안식일신학 file Navi Choi 2023-04-19 32
11776 걷는독서 [걷는 독서] 밝히지 않아도 느낄 수 있는, file 박노해 2023-04-18 49
11775 묵상나눔 크신 하나님 file Navi Choi 2023-04-18 41
11774 걷는독서 [걷는 독서] 깊이 아파본 이에게는 file 박노해 2023-04-17 38
11773 묵상나눔 file Navi Choi 2023-04-17 38
11772 걷는독서 [걷는 독서] 사랑은 했는데 file 박노해 2023-04-16 25
11771 묵상나눔 바보 신 file Navi Choi 2023-04-16 28
11770 가족글방 섶-산레담의 교회관 file Navi Choi 2023-04-15 30
11769 걷는독서 [걷는 독서] 죽어간 것들은 무거웠다 file 박노해 2023-04-15 27
11768 묵상나눔 백성의 이중성 file Navi Choi 2023-04-15 40
11767 걷는독서 [걷는 독서] 결핍과 결여라는 한계 속에 고투하며 file 박노해 2023-04-14 38
11766 묵상나눔 정체성 file [2] Navi Choi 2023-04-14 45
11765 걷는독서 [걷는 독서] 가까워진다 file 박노해 2023-04-13 26
11764 묵상나눔 정탐 file Navi Choi 2023-04-13 32
1176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자기 자신을 내어주지 않는 사람은 file 박노해 2023-04-12 29
11762 광고알림 (제102기) 전인치유학교 / 5월 15일~16일 (월 pm1-화 pm5) 주님사랑 2023-04-12 28
11761 묵상나눔 온유 file [1] Navi Choi 2023-04-12 35
11760 걷는독서 [걷는 독서] 우린 지금 file 박노해 2023-04-11 28
11759 묵상나눔 제도 file [1] Navi Choi 2023-04-11 33
11758 걷는독서 [걷는 독서] 해 뜨는 아침에 보면 file 박노해 2023-04-10 26
11757 가족글방 가짜 지성인 김홍한 목사 2023-04-10 27
11756 묵상나눔 출애굽 무효화 세력 file [1] Navi Choi 2023-04-10 25
11755 걷는독서 [걷는 독서] 말씀은 가만가만 file 최용우 2023-04-10 26
11754 묵상나눔 부활 file Navi Choi 2023-04-09 34
11753 무엇이든 주안에서 아름다운 만남을 원합니다 이종용집사 2023-04-08 37
11752 걷는독서 [걷는 독서] 진정한 독서란 file 박노해 2023-04-08 24
11751 가족글방 교회력 이야기: 부활절 최주훈 목사 2023-04-08 40
11750 묵상나눔 무덤을 지킨다고 부활이 막아질까? file [1] Navi Choi 2023-04-08 50
11749 걷는독서 [걷는 독서] 희망은 봄날의 새싹과 같아 file 박노해 2023-04-07 28
11748 묵상나눔 주님이 십자가에서 본 것 file [2] Navi Choi 2023-04-07 120
11747 걷는독서 [걷는 독서] 단독, 특종, 뉴스 뒤에는 file 박노해 2023-04-06 39
11746 묵상나눔 골고다의 예수 file Navi Choi 2023-04-06 48
11745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난 나무가 좋아요 file 박노해 2023-04-05 30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