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이 세상에 ‘상처가 없는 인생’은 없을 겁니다.

물맷돌............... 조회 수 173 추천 수 0 2023.03.23 20:06:57
.........

[아침편지3296] 2023년 2월 10일 금요일

 

이 세상에 ‘상처가 없는 인생’은 없을 겁니다.

 

샬롬! 밤새 평안하셨는지요? 2월 10일 금요일 아침입니다. 오늘 하루도 건강하고 행복하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건강을 망가뜨리는 일상의 습관들’ 그 네 번째는, 냉동고기를 상온에서 해동하는 걸 피해야 한다는 겁니다. 상하기 쉬운 음식이 실내 온도에서 녹기 시작하면 세균이 급속히 증식한다고 합니다. 냉장고나 전자레인지 또는 찬물로 녹여야 한다고 하네요.

 

이 세상에 상처가 없는 인생은 없을 겁니다. 그리고 우리가 상처를 입게 되면, 그것을 이겨내려고 애쓰면서 조금씩 더 단단해지게 되는 것입니다. 굳은살이 박이면, 소소한 아픔쯤은 그냥 쉽사리 넘길 수도 있게 되는 것처럼 말입니다. 그리고 굳은살이 있어야 더 큰 상처를 당했을 때에도 그것을 이겨나갈 힘이 생깁니다. 하지만 상처를 계속 피하게 되면, 굳은살이 생기기는커녕, 아주 조금만 찔려도 죽을 것처럼 아파하게 됩니다. 상처 자체에 취약해지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일상생활 자체가 버거워집니다.

 

살다보면, 갑자기 징검다리를 만나기도 하고, 가시덤불과 마주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상처가 아닙니다. 누구나 겪는 삶의 한 과정일 뿐입니다. 그런데, 상처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사람은 그것조차 상처라고 여겨 어떻게든지 피하려고 합니다. 징검다리는 건너면 되고, 가시덤불은 조심조심 헤치면서 나아가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상사에게 야단맞았다고 합시다. 단지 업무상 실수에 대한 지적을 한 것뿐인데, 그것을 상처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것은 상처가 아닙니다. 지적을 받았으면 고치면 되고, 입장 차이로 인한 사소한 마찰과 갈등은 언제나 있을 수 있는 일입니다.

 

상처는 우리가 무언가를 절실히 원하기 때문에 받게 되는 것입니다. 뭔가 원하는데, 그게 자신이 원하는 대로 되지 않을 때 상처받았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먼저, ‘내가 원하는 것이 정말 합당한 것인지?’ 생각해봐야 합니다. ‘누군가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냈는데 답장이 금방 안 온다.’는 이유만으로 냉큼 상처 입었다고 말하는 것은 나쁜 습관이라 할 수 있습니다.

 

샤워를 하다 보면, 팔에 긁힌 자국이 있음을 발견할 때가 있습니다. 언제 긁혔는지도 모를 자국을 보면, 그제서야 ‘어디서 이렇게 됐지?’하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때뿐입니다. 시간이 지나면 자국은 없어지게 마련이고, 그 자신도 그냥 잊어버리게 됩니다. 어쩌면, 현대인들이 ‘상처’라고 말하는 것들이 그런 자국과 같은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스쳐 지나가거나 그냥 넘어갈 일까지 굳이 상처라고 말하면서 인생을 복잡하게 만들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상처와 상처가 아닌 것을 구분하는 것, 그것은 어쩌면 우리 자신이 상처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한 것일지도 모릅니다.(출처;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 김혜남 / 정신분석전문의)

 

상처를 받았다면, 그 상처를 준 사람이 있을 겁니다. 그런데 참으로 이상한 것은, ‘상처 받은 사람’은 있는데 ‘상처 준 사람은 없다’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럴 수는 없을 겁니다. 상처받은 사람이 있다면, 상처 준 사람이 반드시 있게 마련입니다. 그렇다면, 나는 상처받기만 하고 상처 준 일은 없을까요? 그 또한 웃기는 일입니다. 아무리 성자 같은 사람일지라도 언젠가 한두 번쯤은 상처 준 일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상처받은 일만 생각하고 자신이 상처 준 사실은 까맣게 잊어버리고 살아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자신이 상처 준 것은 아주 오랜 옛날에 잊어버리고, 자신이 상처 받은 것만 두고두고 기억하면서 상처 준 사람을 원망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아주 미련한 짓입니다. 상처 준 사람은 이미 오래 전에 잊어버렸는데, 나만 그걸 기억하면서 속상해 한다면, 어찌 미련하다 하지 않을 수 있을까요? 아무튼,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자신의 실수와 허물도 기억해야 한다는 겁니다. 그리고 ‘상대방 잘못을 용서해야, 나의 잘못도 용서받을 수 있다’는 평범한 진리를 잊지 말아야 합니다.(물맷돌)

 

[(주님은)마음이 상한 사람을 고치시고, 그 아픈 곳을 싸매어주신다.(시147:3,표준새번역) 여러분의 동료 성도들에게 죄를 짓고, 그들의 약한 양심에 상처를 준다면, 여러분은 그리스도께 죄를 짓는 것입니다.(고전8:12,쉬운성경)]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624 현재 이곳의 삶에 가치를 느끼고 있습니다. 물맷돌 2022-05-14 119
37623 인생에 정답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물맷돌 2022-05-14 177
37622 그날 이후, 장모님은 모든 약을 끊으셨습니다. 물맷돌 2022-05-14 136
37621 좋은 것을 배우라 김장환 목사 2022-05-12 478
37620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라 김장환 목사 2022-05-12 220
37619 타이어의 법칙 김장환 목사 2022-05-12 523
37618 낮은 자를 쓰시는 이유 김장환 목사 2022-05-12 424
37617 지혜를 주시는 하나님 김장환 목사 2022-05-12 468
37616 무의미한 인생 김장환 목사 2022-05-12 291
37615 하나님의 능력 김장환 목사 2022-05-12 461
37614 승리의 방법 김장환 목사 2022-05-12 372
37613 속담을 체험하다 file 김성국 목사 2022-05-09 238
37612 스무 살 야구선수가 주는 교훈 file 문혁 목사 2022-05-09 229
37611 백만원짜리 전도지 file 지성호 목사 2022-05-09 397
37610 부활, 기막힌 역전승 file 김종구 목사 2022-05-09 489
37609 겨자는 어떻게 클까요 file 서재경 목사 2022-05-09 233
37608 그 어머니에게 그 아들 file 김성국 목사 2022-05-09 158
37607 죽으면 천국이요 살면 간증이라 file 문혁 목사 2022-05-09 353
37606 안다는 것 file 지성호 목사 2022-05-09 203
37605 사랑은, 부족하게 받아도 문제지만, 넘치게 받는 것도 상처가 물맷돌 2022-05-07 182
37604 어머니, 항상 챙겨주셔서 고맙습니다! 물맷돌 2022-05-07 212
37603 당신은 지금 그 뭔가에 꽤 깊이 빠져 있는 것은 아닌지요? 물맷돌 2022-05-07 100
37602 우리나라 말과 글이 있다는 사실이 얼마나 자랑스럽습니까? 물맷돌 2022-05-07 80
37601 당신의 ‘기억서랍’ 속에는 무엇으로 가득 차 있습니까? 물맷돌 2022-05-07 198
37600 고통은 ‘없어서는 안 될 필수요건’입니다. 물맷돌 2022-05-07 128
37599 돈보다 더 소중한 것은 바로 당신입니다! 물맷돌 2022-05-07 199
37598 가볍고 강력하게 된 새로운 몸 물맷돌 2022-05-07 144
37597 황제펭귄의 교훈 김장환 목사 2022-05-05 465
37596 복음의 가치 김장환 목사 2022-05-05 422
37595 돈이 주는 행복 김장환 목사 2022-05-05 376
37594 사랑받는 비결 김장환 목사 2022-05-05 297
37593 후회가 없는 이유 김장환 목사 2022-05-05 364
37592 칭찬의 표현 김장환 목사 2022-05-05 258
37591 신앙의 멘토 김장환 목사 2022-05-05 298
37590 영향력과 모방 김장환 목사 2022-05-05 258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