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염라대왕이 우리 집 귀신은 왜 안 데려가고 뭐하는지 몰라!

물맷돌............... 조회 수 177 추천 수 0 2023.03.23 20:06:57
.........

[아침편지3302] 2023년 2월 17일 금요일

 

“염라대왕이 우리 집 귀신은 왜 안 데려가고 뭐하는지 몰라!”

 

샬롬! 어젯밤 편안히 잘 쉬셨는지요? 2월 17일 금요일 아침입니다. 오늘도 건강하고 행복한 날 되시길 빕니다. 저는 요즘 산책하면서 유튜브를 통해서 ‘읽어주는 단편소설’을 듣고 있습니다. 집에서는 소설을 읽을 만한 여유가 없어서 아쉬워하고 있던 차, 산책하면서 소설을 들음으로써 그 아쉬움을 해소하고 있습니다. 운동 겸 산책하면서 소설을 통한 ‘작가의 인생론’까지 들을 수 있으니, 그야말로 일석삼조(一石三鳥)라 할 수 있습니다.

 

인연(因緣) 중에서 가장 가까운 인연이 부모 다음으로 부부(夫婦)라는 것을, 저는 인생 황혼녘에 이르러서야 깨달았습니다. ‘부부간의 스트레스’는 건강을 최대로 해치는 주범이라고 합니다. 인생길에서 ‘희로애락을 함께 하는 동반자’의 마음을 상하게 하는 것은, 더할 나위 없는 그 자신의 손해이고 어리석은 짓입니다. 진즉 그 사실을 알았다면, 서로에게 상처를 주는 싸움을 덜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그것을 깨닫기까지 수십 년이 걸렸습니다.

 

흔히들, 부부사이를 두고 ‘지지고 볶으면서 정든다.’고 합니다. 그리고 ‘부부간의 싸움은 칼로 물 베기’라고도 합니다. 그런 예(例)가 많으니 이런 관용구가 나왔을 테지만, 저는 ‘아니다’라는데 방점을 찍습니다. 제 경험에 비추어보면, 지지고 볶는 일이 잦을수록 사이는 멀어지고, 다투고 나면 칼로 물 베기는커녕, 가정 자체가 ‘금이 간 유리’처럼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자기주장이 강한 남녀가 ‘배려하는 마음’ 없이 이룬 가정은 파열음을 생산하는 공장이나 다름없습니다. 아파트에 경찰 백차가 보여 ‘뭔 일인가?’하고 관심을 기울여보면, 부부싸움이 그 원인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서로 다른 환경에서 다른 교육을 받고 성장한 남녀가 ‘서로 마음의 조화를 이루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 시간을 기다리지 못한 나머지, 조급하게 이혼을 결행하는 짝들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2020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하루에 300쌍이 이혼서류에 도장을 찍었다고 합니다.

 

서류에 도장을 찍지 않았어도 버름한 사이로 늙어가는 부부를 흔하게 봅니다. 여든 초반 나이의 할머니가 바깥영감님을 두고 ‘우리 집 귀신’이라고 하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염라대왕이 우리 집 귀신은 왜 안 데려가고 뭐하는지 몰라!”라고도 했습니다. 얼마나 미우면 평생 얼굴을 맞대고 살아온 배우자에게 그런 험한 소리를 할 수 있을까요?

 

보나마나, 젊은 시절의 할아버지는 ‘아내의 말을 귓등으로 흘리는 독재자’였을 것입니다. 늙어가는 것도 서러운데 ‘미움’이란 짐까지 잔뜩 지고서, 속바람 차오르는 저물녘의 인생길을 걸어가고 있는, 그 할머니 할아버지가 딱해보였습니다. 그 할머니할아버지 내외는 이제부터라도 서로가 상대방의 말을 적극 귀담아듣고자 노력한다면, ‘그 미움의 무게가 조금은 가벼워지지 않을까?’싶습니다.(출처; 좋은 수필, 박동조 / 수필가)

 

사실 ‘온전한 사람’으로 성숙하게 되어 결혼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리라고 생각합니다. 이 세상을 마치는 그날까지, 우리는 우리의 몸과 마음이 ‘더욱 성숙한 사람’이 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신앙생활을 더욱 열심히 하면서, 부부간에도 서로 상대방의 말에 적극 귀를 기울여야 합니다. 김형석 교수께서도 ‘70이 넘어서야 철이 들었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니, 우리네 보통 사람은 두말 할 필요가 없지 않겠나 싶습니다. 저의 경우도 70을 넘기고 보니, 제가 그동안 무슨 잘못을 했는지 깨닫게 되었고, ‘어떻게 해야 지혜로운 삶을 살 수 있는가?’를 눈치채게 되었습니다. 혹시 부부간에 갈등이 있다면, ‘70이 될 때까지 잘 참아보라’고 권합니다. 70이 되는 것, 아주 금방입니다. 내가 변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면, 상대방도 틀림없이 변하게 되어 있습니다. 먼저, 나 자신이 변해야 합니다.(물맷돌)

 

[하나님이시여, 내 속에 깨끗한 마음을 창조하시고, 내 안에 확고한 정신을 새롭게 하소서. 나를 주 앞에서 쫓아내지 마시고, 주의 성령을 내게서 거두지 마소서.(시51:10-11,현대인) 예수님께서는 이렇게 대답하셨습니다. “내가 너에게 진리를 말한다. 누구든지 물과 성령으로 다시 태어나지 않는다면, 그 사람은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다.”(요3:5,쉬운성경)]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659 무모함의 가치 김장환 목사 2022-05-25 262
37658 능력을 아는 차이 김장환 목사 2022-05-25 334
37657 거북이와 게 김장환 목사 2022-05-25 414
37656 행복을 도둑맞는 습관 김장환 목사 2022-05-25 364
37655 감사하고 감사하라 김장환 목사 2022-05-25 820
37654 생각한다는 뜻 김장환 목사 2022-05-25 276
37653 스승이 사라지는 시대 file 지성호 목사 2022-05-23 313
37652 마음의 방 file 조주희 목사 2022-05-23 325
37651 점점 줄어드는 엄마의 키 file 김종구 목사 2022-05-23 205
37650 뻐꾸기처럼 file 서재경 목사 2022-05-23 192
37649 한 줄이면 충분합니다 file 김성국 목사 2022-05-23 310
37648 잘 넘어져야 잘 일어섭니다 file 문혁 목사 2022-05-23 227
37647 여쭤보는 자 file 지성호 목사 2022-05-23 178
37646 가족에 대한 고민 file 조주희 목사 2022-05-23 147
37645 좋은 것이라는 확신 김장환 목사 2022-05-20 430
37644 세 가지 선택 김장환 목사 2022-05-20 627
37643 인간의 한계 김장환 목사 2022-05-20 518
37642 행복에 필요한 것 김장환 목사 2022-05-20 422
37641 무릎을 꿇읍시다 김장환 목사 2022-05-20 318
37640 화가의 본분 김장환 목사 2022-05-20 241
37639 실패를 받아들이기 김장환 목사 2022-05-20 242
37638 사랑의 의미 김장환 목사 2022-05-20 341
37637 어린이날 100주년 소감 file 김종구 목사 2022-05-17 154
37636 그들이 영광을 돌리게 하라 file 서재경 목사 2022-05-17 303
37635 지상 최고의 선물 file 김성국 목사 2022-05-17 508
37634 관심 file 문혁 목사 2022-05-17 285
37633 할아버지의 꿈 file 지성호 목사 2022-05-17 333
37632 지름길 file 조주희 목사 2022-05-17 277
37631 공감의 능력 file 김종구 목사 2022-05-17 451
37630 목에 큰 맷돌을 달고 file 서재경 목사 2022-05-17 155
37629 그런 아버지라도 있는 집을 얼마나 그리워했는지 모릅니다. 물맷돌 2022-05-14 177
37628 제가 머물던 섬은 ‘고통의 섬’이었습니다. 물맷돌 2022-05-14 151
37627 아들과 함께 훈련받는 기분으로 기호품을 멀리한 아버지! 물맷돌 2022-05-14 97
37626 자신의 마지막 공간에 몰래 다녀온 그 마음은 어떠했을까? 물맷돌 2022-05-14 82
37625 저의 마음은 그 어떤 벌을 받은 것보다 무거웠습니다. 물맷돌 2022-05-14 75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