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그녀에게는 ‘첫사랑으로 인한 남모를 슬픔’이 있었습니다.

물맷돌............... 조회 수 207 추천 수 0 2023.05.10 13:07:31
.........

t28-1.jpg

[아침편지3354] 2023년 4월 20일 목요일

 

그녀에게는 ‘첫사랑으로 인한 남모를 슬픔’이 있었습니다.

 

샬롬! 지난밤 편히 쉬셨는지요? 4월20일 목요일 아침입니다. 오늘 하루도 내내 평안하시길 기원합니다. ‘만나지 말아야 하는 사람 10가지 유형’ 중, 그 여섯 번째는 ‘과거로 향하는 꼰대’입니다. “그땐 정말 좋았는데”, “좋은 시절 다 갔다”라는 말을 달고 살면서 ‘지금은 힘들다’고 불평하는 사람들입니다. 이런 사람들은 10년, 20년이 지나도 계속 과거에 머무를 것이고, ‘지금’이 미래의 ‘과거’가 되는지도 깨닫지 못한 채, 부정적인 하루하루를 보내게 됩니다. 이런 사람과 함께 하면 어떠한 성장도 기대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A는 쾌활하고 유머러스한 친구였습니다. 머리가 비상하고 어떤 순간에도 사람들을 웃기는 재주가 있었습니다. 그녀 특유의 유머는 술자리에서 더욱 각광을 받았습니다. A가 입을 열 때마다, 사람들은 눈물을 흘릴 정도로 웃어댔습니다. 모든 사람이 A를 좋아했고, 그녀가 참석한 모임은 너도나도 함께하고 싶어 할 정도로 인기가 좋았습니다.

 

그러나 그녀에게는 첫사랑으로 인한 ‘남모를 슬픔’이 있었습니다. 저와 둘이서만 있을 때면, A는 이미 끝난 지 몇 년이 된 이별의 슬픔과 상처를 떠올리며 술을 지나칠 정도로 들이부었습니다. 그녀가 과거 이야기를 할 때마다, 저는 ‘이미 딱지가 앉은 상처를 굳이 긁어서 도로 피를 내는 것과 뭐가 다르지?’하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저 자신도 매일 옛 기억을 꺼내고 원망하면서 술을 마시는 주제에 무슨 말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

 

저는 가만히 이야기를 들어주다가 적절한 타이밍에 동의의 몸짓과 심심한 위로의 말을 건넸습니다. 울고 술을 마시고, 또 울고 또 술을 마시곤 했습니다. 저는 그냥 그녀의 속도에 맞춰서 잔을 부딪쳤습니다. A는 늘 ‘저한테서 많은 위안을 얻는다.’면서 고마워했습니다.

 

지나간 기억을 부여잡으며 상처를 헤집고, 과거를 핑계 삼아 술을 지나치게 마시는 그녀를 보면서, 저는 묘한 우월감을 느꼈습니다. 술에 잔뜩 취해서 망가진 얼굴로 100번도 더 했던 말을 다시 쏟아내는 그녀를 보면서, 저는 속으로 생각했습니다. ‘어휴! 오늘도 택시에 인사불성으로 누워서 가시겠군. 이번에도 돈 한 푼 안 내고 가겠지. 내일이면 아무 것도 기억이 안 난다면서 몸이 아프다고 투덜댈 거고.’

 

저는 그녀를 불쌍하고 한심하게 여겼습니다. 그리고 그녀에게서 ‘그래도 내가 이 친구보다는 낫다’는 작은 위안을 찾았습니다. ‘나는 적어도 A처럼 행동하지는 않으니, 알코올 의존증 환자가 아니다’라는 결론에 도달할 때면 안도감을 느끼곤 했습니다. 일부러 나보다 문제가 많은 사람과 매일 만나고, 그들을 한심해하거나 불쌍하다고 여기면서 상대적 우월감을 가졌던 것입니다.(출처; 어리고 멀쩡한 중독자들, 키슬(한국여성), 출판; 월간 좋은생각)

 

글쓴이는 이 글에서 ‘친구보다 자신이 더 낫다’거나, 아니면 ‘친구의 모순된 점’을 지적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그보다는, ‘그 자신이 얼마나 어리석은 생각에 빠져 있었는지’를 털어놓고 있는 겁니다. 글쓴이가 ‘결코 그 친구보다 나을 게 없는 사람’이었는데도 불구하고, 그 친구를 보면서 스스로 ‘그 친구보다 내가 낫다’는 식으로 ‘상대적 우월감’을 가졌었다는 겁니다. 사실은 아주 많은 사람들이 이런 어리석음에 빠져있지 않나 싶습니다. 저는 고교시절에 처음 ‘관조(觀照)’를 배웠습니다. ‘나(我)’라는 주체를 떠나 자신을 객관적으로 살펴보는 방법입니다. 물론,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역지사지(易地思之)로 저를 관조하곤 합니다. 그러니까, 상대를 나(我)로 교체해놓고, ‘나(我)라면 어떻게 했을까?’하고 제 모습을 살펴보는 것입니다.(물맷돌)

 

 

[마음 상한 사람 앞에서 노래 부르는 것은 추운 날 웃통을 벗기는 것과 같고 상처 난 살갗에 초를 뿌리는 것과 같다.(잠25:20,현대어) 누가 약해지면, 나도 약해지지 않겠습니까? 누가 넘어지면, 나도 애타지 않겠습니까? 꼭 자랑을 해야 하면, 나는 내 약점들을 자랑하겠습니다.(고후11:29,표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936 인생은 맘대로 되는 게 아니니, 하루하루 즐기면서 성실히 살아라! 물맷돌 2022-09-04 99
37935 그는 왕진가방과 함께 ‘보이지 않는 가방’ 하나를 더 품고 다닙니다. 물맷돌 2022-09-04 95
37934 사랑하던 사람과 헤어졌다면, 충분히 슬퍼해야 합니다. 물맷돌 2022-09-04 73
37933 불안한 현대인들 김장환 목사 2022-09-01 543
37932 믿음의 근원 김장환 목사 2022-09-01 659
37931 염려가 없는 사람 김장환 목사 2022-09-01 553
37930 성경을 믿고 계십니까 김장환 목사 2022-09-01 320
37929 사랑이 먼저다 김장환 목사 2022-09-01 360
37928 활력을 위한 말씀 김장환 목사 2022-09-01 332
37927 영혼의 응급처치 김장환 목사 2022-09-01 283
37926 비판의 마음을 버려라 김장환 목사 2022-09-01 253
37925 아브라함의 기도 file 지성호 목사 2022-08-30 515
37924 기대하는 결과 file 조주희 목사 2022-08-30 306
37923 공멸보단 상생을 택해야 file 김종구 목사 2022-08-30 152
37922 우리도 눈먼 사람이란 말이오 file 서재경 목사 2022-08-30 233
37921 나의 이름은 에바다 file 김성국 목사 2022-08-30 303
37920 자아에게 말을 걸라 file 고상섭 목사 2022-08-30 202
37919 당연하다’고 생각하지 않으면, ‘모든 일’이 고마워집니다. 물맷돌 2022-08-26 291
37918 엄마, 아직도 발가락이 졸려요! 물맷돌 2022-08-26 229
37917 우리가 모든 것을 다 바쳐서 선하게 살아야 할 이유? 물맷돌 2022-08-26 161
37916 남자가 울면 뭐 어때서? 난 울고 싶으면 울 거야!” 물맷돌 2022-08-26 146
37915 언제나 최선을 다해서 우는 그 아이’를 속으로 참 많이 미워했습니다. 물맷돌 2022-08-26 86
37914 정글 속 생쥐’가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은? 물맷돌 2022-08-26 188
37913 한 번뿐인 소중한 인생, 우물쭈물하다 갈 수는 없잖아요?! 물맷돌 2022-08-26 179
37912 어디선가 흐느끼는 소리가 자그마하게 들려왔습니다. 물맷돌 2022-08-26 144
37911 교회에서 가장 중요한 것 김장환 목사 2022-08-24 664
37910 복음을 포장하라 김장환 목사 2022-08-24 320
37909 분노를 다루는 법 김장환 목사 2022-08-24 350
37908 대통령을 만든 인품 김장환 목사 2022-08-24 254
37907 희생의 이유 김장환 목사 2022-08-24 324
37906 복음의 희소성 김장환 목사 2022-08-24 228
37905 작은 차이의 중요성 김장환 목사 2022-08-24 347
37904 왜 믿어야 하는가 김장환 목사 2022-08-24 274
37903 중심을 보는 삶 file 지성호 목사 2022-08-22 445
37902 역사적 책임감 file 조주희 목사 2022-08-22 221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