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섶- 진실과 이상

가족글방 Navi Choi............... 조회 수 17 추천 수 0 2023.05.22 08:06:50
.........

진실과 이상

예술은 무한한 상상력을 전제하지만 그렇다고 거짓을 그려도 될까? 거짓과 상상의 간극이 묘하다. 거짓말은 일상에서 사소하게 행하여진다. 위기를 모면하거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하여, 아니면 상대를 골탕 먹이거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별 생각 없이 한다. 성경은 이를 엄하고 있다.

바르비종은 프랑스 파리 인근 퐁텐블로 숲의 작은 농촌이다. 이 마을에 화가들이 모여들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중반 콜레라가 유행하면서부터이다. 루소와 코로, 밀레 등이 전염병을 피해 이 마을로 들어왔는데 뒤프레, 도비니, 디아즈, 트루아용 등이 합류하였다. 이들을 미술사에서는 바르비종파라고 한다. 바르비종파는 어떤 꼴의 미술사조가 아닌 만큼 화가에 따라 화풍이 다르다. 다만 이들은 작품의 실내 제작을 지양하고 자연 앞에 서서 자연과의 내밀한 교감을 묘사하고자 하였다. 날씨에 따라 미묘하게 변화하는 자연 풍경을 그렸다. 자연을 관찰하고 그 경험을 현장에서 묘사하는 이들이 있었기에 훗날 인상파의 출현이 가능하였다. 만일 아르비종의 화가들이 자연 앞에서 그림을 그리지 않았다면 모네와 고흐 등 탁월한 예술가는 등장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 그들은 고전주의와 낭만주의를 뛰어넘는 미술 세계인 사실주의를 채택하여 인상주의의 가교가 되었다.

밀레는 자연과 어울려 일하는 농부를 캔버스에 담았다. 1789년 프랑스 대혁명으로 세상은 절대주의 시대를 벗어났으나 프랑스 농촌은 전보다 더 나빠졌다. 희망 없는 농촌의 남자들은 도시를 찾아 일용직 노동자가 되었고, 농촌은 여자와 노약자만 남았다. 이러한 사실을 밀레는 자기 작품에 오롯이 담았다. 쥘 브르통(1827~1906)의 <이삭 줍고 돌아오는 여인들>(1859)은 밀레의 <이삭 줍는 여인들>(1857)의 가난의 비참과 고된 노동의 흔적에 비하여 무표정하지만 건강하고 당당하다. 하지만 이는 당시 농촌 모습이 아니다. 일종의 프로파간다이다. 밀레는 현실을 그렸고, 쥘 브르통은 이상을 그렸다. 무엇이 옳을까?

348428966_766685111837894_6156994658859930131_n.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936 걷는독서 [걷는 독서] 그 자신이 이미 안다 file 박노해 2023-06-19 16
11935 가족글방 섶- 도시의 빈틈 문명의 빈틈 file Navi Choi 2023-06-19 23
11934 묵상나눔 '돌'에서 '참'으로 file Navi Choi 2023-06-19 21
11933 광고알림 제1기 예수마음 제자반(JMDC) 강사과정 모집 file 김완섭 목사 2023-06-18 10
11932 걷는독서 [걷는 독서] 그토록 열망하고 살고 싶었으나 file 박노해 2023-06-18 11
11931 묵상나눔 유대주의를 넘어 file Navi Choi 2023-06-18 18
11930 걷는독서 [걷는 독서] 인간은 날마다 무언가를 심고 씨 뿌려간다 file 박노해 2023-06-17 15
11929 묵상나눔 선교 file [1] Navi Choi 2023-06-17 23
11928 광고알림 지저스웨이 강사 세미나 2기 모집 kcm 2023-06-17 23
11927 걷는독서 [걷는 독서] 만나지 않았으면 좋았을 사람 file 박노해 2023-06-16 25
11926 묵상나눔 차별 file Navi Choi 2023-06-16 28
11925 걷는독서 [걷는 독서] 아침 신비 file 박노해 2023-06-15 21
11924 묵상나눔 정답과 해답 file Navi Choi 2023-06-15 23
11923 광고알림 크리스챤 싱글 예배&파티&미팅&특강에 초대 이은혜 2023-06-14 17
11922 걷는독서 [걷는 독서] 대담하게 꿈을 꾸고 file 박노해 2023-06-14 18
11921 묵상나눔 질문 있습니다 file Navi Choi 2023-06-14 20
11920 걷는독서 [걷는 독서] 하루 피고, 하루 지고 file 박노해 2023-06-13 19
11919 묵상나눔 민족, 민족주의 file Navi Choi 2023-06-13 18
11918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내가 누구인지는 file 박노해 2023-06-12 19
11917 묵상나눔 쐐기 file Navi Choi 2023-06-12 13
11916 걷는독서 [걷는 독서] 평생에 진짜 친구 file 박노해 2023-06-11 23
11915 묵상나눔 자장면에도 순서가 있습니다 file Navi Choi 2023-06-11 21
11914 가족글방 섶- 예술로서의 목회 file Navi Choi 2023-06-10 16
1191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어떤 역사적 사건을 함께 겪었는지, file 박노해 2023-06-10 15
11912 묵상나눔 원칙 file Navi Choi 2023-06-10 23
11911 걷는독서 [걷는 독서] 젊음이라면 file 박노해 2023-06-09 18
11910 광고알림 제26회 기쁨의집 독서캠프 -아름다움을 회복하는 신앙 file 김현호 집사 2023-06-09 10
11909 광고알림 (제103기) 전인치유학교 / 7월 3일(월 pm1)~4일(화 pm5) 주님사랑 2023-06-09 11
11908 묵상나눔 왕자와 거지 file Navi Choi 2023-06-09 17
11907 걷는독서 [걷는 독서] 탁 트인 호감으로 file 박노해 2023-06-08 11
11906 묵상나눔 법의 한계와 기능 file Navi Choi 2023-06-08 13
11905 걷는독서 [걷는 독서] 인간이 기계가 되는 만큼 file 박노해 2023-06-07 11
11904 묵상나눔 햇볕 file Navi Choi 2023-06-07 25
11903 가족글방 겸손 file 김한원 목사 2023-06-07 22
11902 가족글방 한국교회와 복음 전도 김요한 목사 2023-06-06 15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