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하루 중 가장 많이 집중한 그 무엇이 그 사람의 앞날을 결정합니다.

물맷돌............... 조회 수 105 추천 수 0 2023.06.19 21:36:08
.........

t26-1.jpg[아침편지3388] 2023년 5월 30일 화요일

 
하루 중 가장 많이 집중한 그 무엇이 그 사람의 앞날을 결정합니다.
 
샬롬! 지난밤 편히 쉬셨는지요? 5월 30일 화요일 아침입니다. 오늘 하루도 행복하고 아름다운 날이 되시길 기원합니다. ‘발이 알려주는 건강 적신호 8가지’ 중, 그 여섯 번째는 ‘발뒤꿈치가 아프다면’입니다. 이런 경우, 발바닥의 근막염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근막염은 뒤꿈치 뼈에 연결되어 있는 인대에 염증이 생기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보통 아침에 일어나 첫 발을 내디딜 때 가장 심한 통증이 느껴진다고 합니다. 이 외에도, 관절염과 과도한 운동, 그리고 잘 맞지 않는 신발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하네요.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분들이 알코올로 인하여 가정을 상실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분들의 문제는 ‘가정상실’이 아닙니다. 진짜 문제는 ‘자신을 잃어버리는 것’입니다. 그들은 끊임없이 ‘잃는 것’에만 초점을 맞춥니다. ‘가족을 잃은 상실감’에 모든 정신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부정적인 감정에 몰두하면, 우리 몸에서는 격렬한 스트레스 반응이 일어나고, 뇌에서는 ‘비상사태’를 알리는 사이렌이 요란하게 울려댑니다.
 
뇌의 기능 중, 심사숙고해서 ‘장기적인 관점’을 갖게 하는 고차원적인 부분은 꺼지고, 순간적이고 ‘단기적인 선택’을 하게 만드는 부분이 활성화됩니다. 그럴 경우, 점점 더 안절부절못하게 되고, 조바심이 나고, 이성보다는 감정에 의지해서 섣부른 판단을 하게 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게 무엇을 의미하겠습니까? ‘술 마시기 좋은 상태’가 된다는 뜻입니다. 다시 술에 손을 대면서 나 자신을 잃으면, 가족과의 거리는 딱 그만큼 더 멀어질 뿐입니다.
 
가족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싶다면 ‘상실’이 아니라 ‘재건’에 집중해야 합니다. 저는 말할 기회가 있을 때마다 ‘사람은 자신이 집중하는 것만을 얻는다.’는 말을 자주 합니다. 잠자는 시간까지 포함해서, 하루 24시간 중 가장 많이 집중한 그 무엇이 그 사람의 앞날을 결정합니다. 고로, 상실(喪失)에 집중하면 자연히 잃어버리게 마련입니다. 그 반대로, 재건에 신경을 써야 자신을 바로 세울 수 있습니다. 요컨대, 자신이 온전해져야 가족도 돌아옵니다.
 
그러니, 지금은 가족에 대한 생각은 잠시 내려놓아야 합니다. 그 대신에, 자신의 삶을 일으켜 세울 방법에 날카롭게 집중하시길 바랍니다. 순간순간 상실의 고통이 수면 위로 올라올 때마다, ‘내가 지금 무엇에 집중해야지?’라고 스스로에게 물어봐야 합니다. 진실로 상대방이 돌아오기를 간절히 원한다면, 내가 먼저 본래의 자신에게로 돌아가는 모습을 보여줘야 합니다.(출처; 어리고 멀쩡한 중독자들, 키슬(한국여성), 출판; 월간 좋은생각)
 
어저께 유튜브를 보다가 우연히 ‘파리지옥’이라는 식물이 벌레를 잡아먹는 광경을 보게 되었습니다. 송충이 모양의 벌레가 파리지옥으로 들어왔습니다. 파리지옥은 가시톱니가 나란히 달린 주머니를 냉큼 오므렸습니다. 그런데, 신기한 것은 벌레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그 주머니를 벌려주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벌레는 나오려다가 다시 들어갔습니다. 조금 있다가 파리지옥은 다시 한 번 그 주머니를 벌렸습니다. 제 생각에는, 빠져든 벌레가 나갈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듯싶었습니다. 하지만, 벌레는 나오려다가 다시 안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러자, 파리지옥은 다시는 그 주머니를 벌리지 않았습니다. 그러니까, 그 벌레에게는 죽음에서 탈출할 수 있는 두 번의 기회가 있었는데, 머뭇거리다가 결국은 그 기회를 놓치고 만 것입니다.(물맷돌)
 
[그가 병중에 있을 때, 여호와께서 그를 돌보시고, 그 아픈 상처를 어루만지시며, 그의 건강을 회복시켜주실 것이다.(시41:3,현대인) 나는 ‘이 고통이 내게서 떠나게 해 달라’고 세 번이나 주께 기도했습니다. 그러나 주께서는 ‘내 은혜가 너에게 충분하다. 내 능력은 약한 데서 완전해진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므로 나는 ‘나의 약한 것을 더욱 기쁜 마음으로 자랑하여’ 그리스도의 능력이 나에게 머물러 있도록 하겠습니다.(고후12:8-9,현대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9689 한국인의 역동적인 특성은 어디서부터 온 걸까요? 물맷돌 2023-08-24 105
39688 부활과 생명 file 안광복 목사 2024-04-08 105
39687 살아있는 그리스도 되기 -헨리 나우웬의 묵상 글 나우웬 2016-10-23 106
39686 어린 시절의 풍요를 file 이주연 목사 2017-11-29 106
39685 사람을 아끼는 일은 인간이 실천할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미덕입니다. 물맷돌 2022-06-06 106
39684 우리나라에서 ‘금쪽같은 아이들’의 숫자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물맷돌 2022-07-09 106
39683 외롭고 불안한 새벽, 문자메시지를 받았습니다. 물맷돌 2022-08-14 106
39682 그 나이엔 사서 고생도 해보는 거요. 때론, 꽃길을 만날 수도 있어요! 물맷돌 2022-11-02 106
39681 우리는 쓸모없는 종입니다 file 서재경 목사 2024-01-02 106
39680 새해 첫 기적 file 안광복 목사 2024-01-30 106
39679 교회학교의 과제 file 조주희 목사 2024-02-28 106
39678 지도자라 칭함을 받지 말라 file 이주연 목사 2018-10-06 107
39677 지금이 방세 올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물맷돌 2022-07-15 107
39676 당신이라면 믿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맷돌 2022-09-04 107
39675 한국인들은 세상 그 누구보다 열심히 살고 있습니다! 물맷돌 2022-09-18 107
39674 모녀(母女)전쟁’이 끊이지 않습니다 물맷돌 2022-09-30 107
39673 목적과 목표 골목길묵상 2023-11-01 107
39672 끔찍한 역사의 반복 file 김종구 목사 2023-11-07 107
39671 안녕하세요. 안세영입니다! 물맷돌 2023-12-23 107
39670 생명의 역사 file 지성호 목사 2024-01-02 107
39669 난, 김치 하나면 돼! 물맷돌 2024-01-08 107
39668 들어주는 이를 당할 수는 없습니다 file 이주연 목사 2018-05-26 108
39667 언제 오시려나 file 이주연 목사 2018-07-10 108
39666 귀의 file 이주연 목사 2018-11-22 108
39665 사회생활을 하면서 가장 무서운 말이 뭔 줄 아십니까? 물맷돌 2022-03-21 108
39664 평소에 몸이 보내는 신호를 들을 수 있어야 합니다. 물맷돌 2022-03-21 108
39663 왜, 이역만리(異域萬里)에서 개죽음을 당해야 하느냐? 물맷돌 2022-07-15 108
39662 홀로 나아오라 김장환 목사 2024-05-05 108
39661 좋은 지도력을 발휘하려면 file 이주연 목사 2018-07-28 109
39660 받은 것 이상으로 더 많이 나누며 살겠습니다! 물맷돌 2022-01-24 109
39659 누군가를 미워하면, 인생에 그 감정만큼 구멍이 난다! 물맷돌 2022-03-07 109
39658 어머니는 힘든 일이 생겨도 웃으면서 일을 해결하곤 하셨습니다. 물맷돌 2022-09-11 109
39657 요즘, 저는 정말 살맛이 납니다! 물맥돌 2023-01-18 109
39656 인터뷰를 포기한 이유 풍성한 삶 2023-02-06 109
39655 도말하신 죄 풍성한 삶 2023-04-09 109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