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비닐봉지 첫 금지국은 ‘방글라데시’

가족글방 남준기............... 조회 수 26 추천 수 0 2023.08.30 07:35:36
.........

비닐봉지 첫 금지국은 ‘방글라데시’

1980년대 우리나라에 비닐봉지가 처음 나왔을 때 모두들 정말 신기해했다.
“이거 봐! 물을 담아도 안 새네?”라며 산에서 야영을 할 때 물을 길어오는 용기로 썼던 기억이 생생하다.

비닐봉지는 전세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가볍고 싸고 물이 새지 않는 장점 때문에 비닐봉지가 없는 생활은 상상하기 힘들 정도가 됐다.
영어권에서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만들었다는 뜻으로 플라스틱백(plastic bag 플래스틱백), 폴리백(poly bag)이라고 한다.

최초의 비닐봉지는 1957년 미국에서 만들었다. 처음에는 샌드위치나 식빵, 채소, 과일 등을 담는 데 쓰였다.
본격적으로 비닐봉지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중반부터다. 비닐봉지를 값싸게 생산하는 공정이 개발됐기 때문이다.

폴리에틸렌(PE)에 많은 열을 가한 뒤, 녹은 수지를 관(튜브) 모양으로 성형한다. 모양이 갖춰진 뒤 냉각해서 질긴 봉지로 만든다.

지금도 그 디자인은 똑같다. 비닐봉지의 80%는 ‘민소매 러닝셔츠’ 디자인이다. 러닝셔츠 맨 아래만 붙이면 비닐봉지가 된다.
2000년대 이후 비닐봉지는 전세계적으로 5조개 정도 생산된다. 비닐봉지 9개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석유는 자동차 1km 주행에 필요한 정도다.

장점도 있다. 비닐봉지를 만들면 종이가방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와 물의 20~40%가 절약된다. 대기오염 정도도 적고 고형폐기물의 양도 더 적다.
그러나 문제는 폐기 단계에서 발생한다. 종이봉투는 쉽게 썩어서 분해되지만 비닐봉지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잘 분해되지 않는 비닐봉지는 버려진 뒤 하늘을 떠돌거나 나무에 걸려 깃발처럼 펄럭이기도 한다.
아일랜드 사람들은 나무 꼭대기에 걸린 비닐봉지를 ‘국기(國旗)’라고 부른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국화(國花)’라는 별명도 있다.

바다로 들어간 비닐봉지는 해파리 등 해양생물과 헷갈린다. 죽은 고래 뱃속에서 비닐봉지 80장이 나오기도 했다. 미국에서는 매년 약 25명의 돌 이전의 어린이가 비닐봉투로 인해 질식사한다는 보고도 있다.

1990년대 초반 인도의 라다크여성연합과 몇몇 시민단체들이 비닐봉지를 사용하지 말자는 캠페인을 시작했다. 1993년 덴마크는 세계 최초로 비닐봉지에 세금을 도입했다.

방글라데시는 비닐봉지가 관개시설과 하수구를 막아서 수인성 질병을 일으킨다는 걸 알고 2002년 세계에서 가장 먼저 비닐봉지 사용을 금지했다.

비닐봉지 사용을 전면 금지하거나 사용시 징역형을 받는 나라들도 있다.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 모로코 모리타니 케냐 카메룬 르완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방글라데시 미얀마 뉴질랜드 등이다.

대형마트 슈퍼마켓 등 부분적으로 사용을 금지하는 나라는 캐나다 미국 멕시코 브라질 차드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보츠와나 탄자니아 인도 중국 타이완 필리핀 한국 오스트레일리아 등이다.
세금이나 기타 비용을 물리는 나라는 영국 덴마크 인도네시아 등이다. 니제르는 금지를 고려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린피스의 ‘일회용의 유혹, 플라스틱 대한민국’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한국인은 1인당 연간 비닐봉지 460개를 사용한다. 연간 소비량으로 보면 46만9200톤, 235억개를 사용한다. 이는 펼치면 한반도의 70%를 덮을 만한 양이다.

2010년 기준 유럽 주요국의 1인당 비닐봉투 사용량을 보면 핀란드는 4개로 우리나라의 1/100 수준이다.
기타 그리스 250개, 스페인 120개, 독일 70개, 아일랜드 20개 등이다.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는 전면금지국이다.

내일신문 남준기 기자 namu@naeil.com

368360480_10219526122983365_6551944508980656227_n.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2216 걷는독서 [걷는 독서] 저 작은 별 하나 빛나기 위해 file 박노해 2023-10-02 17
12215 묵상나눔 제발 고집 부리지 마십시오 file [1] Navi Choi 2023-10-02 25
12214 걷는독서 [걷는독서] 가을은 짧아서 file 박노해 2023-10-01 30
12213 가족글방 명동촌과 동명촌 file Navi Choi 2023-10-01 35
12212 묵상나눔 경쟁자와 원수와 적 file Navi Choi 2023-10-01 34
12211 걷는독서 [걷는 독서] 우리 인생은 file 박노해 2023-09-30 19
12210 묵상나눔 처음과 나중 file Navi Choi 2023-09-30 31
12209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나에게 또 하루가 주어졌다는 게 file 박노해 2023-09-29 26
12208 묵상나눔 힘에 의한 평화’라고요? file Navi Choi 2023-09-29 36
12207 걷는독서 [걷는 독서] 새파란 하늘에 눈동자를 씻고 file 박노해 2023-09-28 26
12206 가족글방 왜 하느님(하늘님)이라 못하고 '하나님'이라고 하게 되었는지... 김요한 목사 2023-09-28 50
12205 묵상나눔 상수와 변수 file Navi Choi 2023-09-28 35
12204 광고알림 기독교인 결혼 배우자 만남 프로필 미팅 등록 안내 행복크리스천 2023-09-28 23
1220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아무리 시대가 그래도, file 박노해 2023-09-27 30
12202 묵상나눔 국제관계 file Navi Choi 2023-09-27 30
12201 걷는독서 [걷는 독서] 고귀한 뜻을 품어 file 박노해 2023-09-26 39
12200 묵상나눔 신앙의 역설 file Navi Choi 2023-09-26 29
12199 걷는독서 [걷는독서] 행복은 file 박노해 2023-09-25 22
12198 묵상나눔 왕이 할 일, 백성이 할 일 file Navi Choi 2023-09-25 32
12197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내 영혼에 file 박노해 2023-09-24 32
12196 묵상나눔 빈손의 기도 file Navi Choi 2023-09-24 37
12195 가족글방 섶-룡정 영국더기 file Navi Choi 2023-09-23 46
12194 걷는독서 [걷는 독서] 진실로 선한 사람은 file 박노해 2023-09-23 45
12193 묵상나눔 교회는 희망인가? file Navi Choi 2023-09-23 111
12192 걷는독서 [걷는 독서] 경이로움은 file 박노해 2023-09-22 62
12191 묵상나눔 법치주의 유감 file [1] Navi Choi 2023-09-22 37
12190 걷는독서 [걷는 독서] 고생과 역경 속에서 지켜온 것만이 file 박노해 2023-09-21 17
12189 묵상나눔 목표와 목적 file Navi Choi 2023-09-21 16
12188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나의 부족함을 알고 file 박노해 2023-09-20 8
12187 묵상나눔 제자리 제정신 file Navi Choi 2023-09-20 16
12186 무엇이든 [걷는 독서] 지고도 이기는 싸움이 있고 file 박노해 2023-09-19 15
12185 묵상나눔 성직 file Navi Choi 2023-09-19 13
12184 걷는독서 [걷는 독서] 익숙해지거나 안주하지 말며 file 박노해 2023-09-18 15
12183 걷는독서 [걷는 독서] 무언가를 하기 전에 file Navi Choi 2023-09-18 14
12182 묵상나눔 노동자의 자리 file Navi Choi 2023-09-18 12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