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5] 퐁트브로 수도원

수도관상피정 유재경 교수............... 조회 수 32 추천 수 0 2023.09.20 19:27:05
.........
출처 : https://news.imaeil.com/page/view/2018122517591706898 

[유재경 교수의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⑤퐁트브로 수도원

 

특집부 weekly@msnet.co.kr

매일신문 입력 2018-12-28

중세 여성들의 천국을 꿈꿨던 퐁트브로 수도원(Royal Abbey of Fontevraud)

2018122620310996735_l.jpg

2018122519494304016_l.jpg

퐁트브로 수도원은 수도원 안의 작은 수도원으로 구성된 복합 수도원이다.여성을 위한 세 개의 공동체와 남성을 위한 하나의 공동체로 구성되어 있다.

 

건축은 "인간이 만든 인공적 환경의 총체"다. 수도원은 인공적 환경 속에서 천상적 삶을 추구하는 이들이 사는 공간이다. "영혼이 거주할 수 없는 건축, 그것은 박제이며 세트일 뿐이다"는 건축가 승효상의 말이 가슴을 울린다. 수도원 건축에는 수도사들의 이상이 담겨 있다. 수도원은 단지 수도사들의 생활공간이 아니라, 그들의 영혼을 담금질하는 예술적 공간이다. 수도원의 이상이 건축을 통해 명료하게 드러난 곳이 퐁트브로 수도원이다.

 

7월 중순 월요일 아침 프랑스의 하늘은 맑았다. 여전히 귓가에 맴도는 그레고리오 성가의 아름다운 선율, 수도사와 방문객들과 헤어짐의 아쉬움을 뒤로하고 솔렘 수도원을 떠나야 했다. 서둘러 수도원 차고에 도착했을 때, 자동차 왼쪽 뒷바퀴에 펑크가 나 있었다. 여행 도중, 그것도 낯선 땅에서 자동차 고장이라니, 무척 당황스러웠다. 도미니칸 수도사의 도움으로 간신히 타이어 교체가 끝나갈 무렵, 소식을 들은 솔렘의 수도사 두 분이 장비를 가득 들고 달려왔다. 수도원이 자급자족의 공간임을 느끼게 하는 순간이었다. 전화 한 통이면 모든 것이 해결되는 한국에 비하면 프랑스는 느리고 불편한 나라였다.

 

솔렘을 떠난 우리는 남서쪽으로 향했다. 독특한 제도로 페미니스트적 관심을 받고 있는 퐁트브로(Fontevraud) 수도원으로 가기 위해서였다. 길가에서 마주치는 마을마다 모든 것이 문화유적 같아 그냥 지나칠 수가 없었다. 자동차로 1시간 30분이면 충분한 거리인데, 몇 시간이 걸렸는지 알 수 없었다. 길 위의 나지막한 언덕, 나무들이 빽빽이 들어선 숲 속엔 옛 성들이 아름다운 자태를 드러내고 있었고, 길 아래로는 비취색 강물이 유영하고 있었다. 루아르(Loire) 강이었다. 우리는 어느덧 앙제를 지나 소뮈르를 향해 달리고 있었다.

 

퐁트브로 수도원 대예배당으로 성모 마리아에게 헌정된 The Grand Minster에 속해 있다.대예배당은 수녀와 수도사들이 함께 활동할 수 있도록 건축되어 있다.예배당 건축에 수도원 설립자 베르노의 정신이 담겨 있다.

퐁트브로 수도원 대예배당으로 성모 마리아에게 헌정된 The Grand Minster에 속해 있다.대예배당은 수녀와 수도사들이 함께 활동할 수 있도록 건축되어 있다.예배당 건축에 수도원 설립자 베르노의 정신이 담겨 있다.

 

2018122519494103158_l.jpg

프랑스의 젖줄인 루아르 강을 따라 형성된 계곡을 프랑스 사람들은 '프랑스의 정원' 또는 '프랑스의 요람'이라 부른다. 루아르 강은 프랑스 동남부 고원에서 시작하여 중남부 중앙 평원을 지나 낭트에서 바다와 만난다. 무려 1020km이나 되는 강을 따라 형성된 계곡 너머엔 숲과 평원이 끝없이 펼쳐지고 있다. 루아르 강의 풍부한 물은 대지를 넉넉히 적시고, 밀과 포도로 프랑스에 경제적 번영을 가져다주었다.

 

루아르 계곡을 따라 오를레앙과 블루아, 투르, 쉬농, 소뮈르, 앙제 등 역사적인 마을들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이곳에서 중세 유럽 건축은 르네상스를 맞이하였다. 무려 300개가 넘는 성들이 이 마을들을 중심으로 축조되었다. 특히, 샹보르 성과 앙부아즈 성, 빌랑드리 성, 슈농소 성은 건축학적으로 매우 빼어난 건축물이다. 베르사유 궁전의 모태가 된 샹보르 성에는 프랑스 왕가의 권위와 위엄이 서려 있다. 프랑수아 1세는 이 성을 건축하기 위해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포함하여 수많은 이탈리아 건축가들을 불러들였다. 140년이나 걸려 이 성을 건축했고, 무려 440개의 방을 만들었다고 하니 프랑스 왕가의 위세가 어느 정도였는지 짐작되었다. 16세기 중엽 왕실이 파리로 옮겨지기 전까지 루아르는 프랑스 권력의 중심지였다. 인걸은 간데 없지만 천년이 지난 지금도 이곳에는 중세 건축의 아름다움이 숨 쉬고 있었다.

 

투르 방향으로 루아르 강을 따라 올라가면 소뮈르가 나오고, 곧 뒤마의 소설 『몽소로 부인』의 배경이 되었던 몽소로 성을 만나게 된다. 여기서 언덕을 넘어 왼쪽으로 돌아가면 작은 마을이 나오는데, 그 오른쪽에 한 때 유럽에서 가장 크고 부유했던 퐁트브로 수도원이 앉아 있다.

 

"Font Evraud"로 알려진 '우물'에서 유래한 퐁트브로(Fontevraud)는 1101년 프랑스 북서부 아르브리셀 출신의 로베르(Robert of Arbrissel)에 의해 설립되었다. 교회 개혁가였던 로베르는 숲 속에서의 독신 수도생활과 라 로에(La Roe)에 수도원을 세웠던 경험이 있었다. 그의 훌륭한 인품과 신앙은 항상 많은 제자와 후원자를 불러 모았다. 수도원 건축을 위해 푸아티에(Poitiers) 주교의 지지는 물론 지역의 귀족과 많은 후원자들이 포도밭과, 방앗간, 심지어 영주의 권리증까지 내놓았다.

 

퐁트브로 수도원은 남녀 수도사들이 함께 생활하는 공동체였다. 1115년부터 36명의 수도원장을 배출했는데, 모두가 여성이었다. 퐁트브로의 수도사들은 기본적으로 베네딕트 규칙에 따라 생활했지만, '왕립 수도원'(Royal Abbey)으로 존재했다. 수도원은 초기부터 번영했다. 12세기 말에는 프랑스 서부에만 123개의 자매 수도원을 두었고, 영국과 스페인에도 5개의 수도원이 있었다. 13세기에는 500명 이상의 수녀와 100명의 수도사들이 이곳에서 영적 삶을 살았다. 13-14세기에 수도원은 위기를 겪었지만 평화가 유지되었다. 15세기 있었던 마리아(Marie of Brittany)의 수도원 개혁과 더불어 퐁트브로는 프랑스 혁명 때까지 프랑스 중원의 왕자로 군림했다. 프랑스 혁명으로 수도원은 문을 닫았지만, 아직도 많은 건축물이 건재해 있다.

 

2018122519494473672_l.jpg

The Grand Minster에 속한 회랑. 수도사들이 걷고 묵상하는 공간이다.대회랑은 수도사들의 만남의 공간이다. 여기는 마리아에게 헌정되었기 때문에 수녀들이 하나님을 관상하고 걷기도 하는 공간이다.

 

퐁트브로는 작은 구릉지에 편안하게 안겨 있다. 정문을 지나면 수도원 건물이 한 눈에 들어온다. 동쪽을 향해 좁고 길게 지어진 예배당은 여성적 부드러움과 세련미를 갖추고 있었다. 예배당을 돌아 나오면 유럽에서 가장 큰 수도원이었음을 보여주듯 큰 규모의 회랑이 나온다. 회랑 동쪽과 남쪽으로는 챕터 하우스(chapter house)와 수도사들의 침실과 부엌이 차례로 서 있다.

 

퐁트브로는 수도원 안의 작은 수도원으로 구성된 복합 수도원이다. 로베르는 퐁트브로에 여성을 위한 세 개의 공동체와 남성을 위한 하나의 공동체를 두었다. 여성을 위한 공동체는 마리아와 막달라 마리아, 나사로에게 헌정되었고, 남성을 위한 공동체는 사도 요한에게 헌정되었다. 마리아 공동체는 처녀로서 하나님을 관조하며 흠 없는 삶을 사는 여인들이었다. 막달라 마리아 공동체는 어떤 여성이든 회개한 여인으로서 세상을 떠나 하나님께 봉사하는 공동체였다. 나사로 공동체는 환자와 한센병 환자들의 공동체였다. 그리고 사도 요한 공동체는 여성 수도 공동체를 위해 헌신하는 남성 성직자와 평신도로 구성되었다. 퐁트브로는 여성들의 낙원이었다. 수녀와 여성들은 회랑 안에서 관조적 삶을 즐겼고, 남성들은 여성들의 필요를 채우기 위한 봉사를 목적으로 헌신했다. 퐁트브로의 원장은 언제나 수녀였다. 수도원장은 영적인 어머니였을 뿐만 아니라 교회와 수도원, 광활한 토지를 관리하고 수도원 내의 모든 일을 결정하는 지도자였다. 슐람미스 샤하르는 『제4 신분: 중세 여성의 역사』에서 당시 여성을 기도하는 자, 싸우는 자, 일하는 자(성직자, 전사, 농민) 어느 계층에도 속하지 않는 "제4 신분"으로 묘사했다. 하지만 퐁트브로 수도원은 여성 중심의 독특한 권력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2018122519494620890_l.jpg

퐁트브로 수도원은 남녀 수도사들이 함께 생활하는 공동체이다.

 

퐁트브로의 설립자 로베르는 12세기의 페미니스트였든가? 그는 모든 여성을 예수님의 어머니처럼 존중하고 섬기고자 했던가? 아니다. 방랑 설교자요 순례자였던 그는 누구보다도 동방의 거룩한 장소에 대한 동경으로 가득차 있었다. 그는 루아르 강변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세계를 꿈꾸었다. 순결한 여성이나 결혼했던 여인은 물론 창녀나 환자 심지어 한센병 환자까지도 모든 여성들이 평화를 누릴 수 있는 공동체를 소망했다. 유럽 각국에 자매 수도원을 개척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그는 여성들의 어려움에 관심이 많았다. 하지만 그는 처음부터 여성과 남성이 함께 수도하는 공동체를 꿈꾸었다. 골드(Penny Gold)는 로베르에게 나타난 '남녀 성 역할의 중요성'을 지적하면서 그것이 인간의 본성 안에 있다고 했다. 이상적인 기독교 공동체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조화와 균형,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남녀의 역할에 대한 이해는 퐁트브로의 역사에서 "proximity anxiety"라는 표현으로 건축물 속에 녹아 있다. 수도원의 이상은 서로의 부족함을 채우면서 한 걸음씩 나아가는 데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로마네스크 건축의 완전미를 뽐내고 있는 에브로 탑(Evraud Tower)은 물론 교회와 회랑, 수도사의 침실 등 우리의 시선을 사로잡지 않는 곳이 없었다. 우리는 순례를 하듯 수도원을 여러 차례 돌고 또 돌았다. 회랑에 가까워졌을 때 사람들의 웅성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작은 무대 위에서 연극이 펼쳐지고 있었다. 남녀 배우 두 사람이 열연하는 모습은 참으로 아름다웠다. 삶의 아름다움은 조화 속에 있다. 천년의 세월 동안 이어온 절제와 조화의 아름다움이 퐁트브로 수도원 건축 속에 살아 숨 쉬고 있었다.

 

영남신학대학교 기독교 영성학 교수 유재경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95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12] 시토(Citeaux)수도원 file 유재경 교수 2023-10-19 67
3594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11] 떼제 공동체 file 유재경 교수 2023-10-13 76
3593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10] 클뤼니 수도원 file 유재경 교수 2023-10-10 47
3592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9] 라 투레트 수도원 file 유재경 교수 2023-10-06 40
3591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8] 그랑드 샤르트뢰즈 수도원 file 유재경 교수 2023-10-03 53
3590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7] 세낭크 수도원 file 유재경 교수 2023-10-01 48
3589 100가지,50가지 결혼하면.좋은점 51가지 , 나쁜점 49가지 검은비 2023-09-26 45
3588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6] 생 푸아수도원 file 유재경 교수 2023-09-24 53
»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5] 퐁트브로 수도원 file 유재경 교수 2023-09-20 32
3586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4] 솔렘수도원 file 유재경 교수 2023-09-15 24
3585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3] 몽생미셀수도원 file 유재경 교수 2023-09-08 31
3584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2] 벡수도원 file 유재경 교수 2023-09-07 28
3583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1] 퐁트넬 수도원 file 유재경 교수 2023-09-04 63
3582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2장, 우리 몸은 왜 아픈가? file 윤주만 목사 2023-08-31 48
3581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1장, 척추 뼈는 생명의 기둥이다 file 윤주만 목사 2023-06-14 90
3580 성경적재정원리 [바이블노믹스91끝] 경제인의 눈으로 본 구약 사건 file 김민홍 2023-05-09 77
3579 성경적재정원리 [바이블노믹스90] 핵심인재 = 야곱 김민홍 2023-04-29 83
3578 성경적재정원리 [바이블노믹스89] 창업터전(본사) = 벧엘 김민홍 2023-04-26 44
3577 성경적재정원리 [바이블노믹스88] 업무추진비 = 여호야긴왕의 용돈 김민홍 2023-04-23 58
3576 성경적재정원리 [바이블노믹스87] 국제무역 = 솔로몬 시대 김민홍 2023-04-17 62
3575 성경적재정원리 [바이블노믹스86] 인구센서스 = 다윗 조사 file 김민홍 2023-04-09 38
3574 성경적재정원리 [바이블노믹스85] 경제 사령탑 = 솔로몬 내각 조직 김민홍 2023-04-01 41
3573 성경적재정원리 [바이블노믹스84] 백기사 = 요나단 김민홍 2023-03-25 43
3572 성경적재정원리 하나님의 풍성한 재정 축복을 받는 길 Taegsue Kim 2023-03-22 116
3571 성경적재정원리 [바이블노믹스83] 현지화 경영 = 에돔 왕국 김민홍 2023-03-17 50
3570 성경적재정원리 [바이블노믹스82] 브랜드 네이밍 = 얍복강의 이스라엘 file 김민홍 2023-03-04 41
3569 성경적재정원리 [바이블노믹스81] 분배 = 다윗 낙오병 file 김민홍 2023-02-22 31
3568 성경적재정원리 [바이블노믹스80] 위미노믹스 김민홍 2023-02-19 26
3567 성경적재정원리 [바이블노믹스79] 과시소비 = 바알 숭배 김민홍 2023-02-17 36
3566 성경적재정원리 [바이블노믹스78] 보복소비 = 야곱아들과 세겜 남자들 김민홍 2023-02-14 39
3565 성경적재정원리 [바이블노믹스77] 불공정거래 = 디나와 세겜 김민홍 2023-02-08 15
3564 성경적재정원리 [바이블노믹스76] 리베이트(수수료) = 나발과 아비가일 김민홍 2023-02-06 34
3563 성경적재정원리 [바이블노믹스75] 분산투자(포트폴리오) = 야곱의 이분법 file 김민홍 2023-02-03 19
3562 성경적재정원리 [바이블노믹스74] 횡령과 배임 = 사울과 전리품 김민홍 2023-01-30 29
3561 성경적재정원리 [바이블노믹스73] 보상금 = 야곱의 선물 김민홍 2023-01-27 69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