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바른말, 착한 말

묵상나눔 Navi Choi............... 조회 수 20 추천 수 0 2023.11.07 20:37:29
.........
바른말, 착한 말
욥기 4:1~21
말로 사는 사람이 있고 몸으로 사는 사람이 있습니다. 교사나 목사나 정치인이나 언론인 등은 말로 사는 사람입니다. 말을 조심해야 할 사람들입니다. 총으로 맞아 죽은 사람보다 말의 화살에 상처받은 사람이 더 많기 때문입니다. 총상의 치료보다 말로 입힌 상처의 치유가 훨씬 어렵습니다. 말씀을 중히 여기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새겨들어야겠습니다.
평화도 없고, 안정도 없고, 안식마저 사라져 두려움에 무방비로 노출된 욥을 위로하러 온 친구 가운데에 데만 사람 엘리바스가 있습니다. 데만은 에돔의 수도 페트라 동쪽의 도시입니다. 예레미야가 전하는 말에 의하면 데만에는 지혜자가 모여 사는 마을이 있었습니다. “나 만군의 주가 말한다. 이제 데만에 더 이상 지혜가 없느냐? 명철한 사람들에게서 좋은 생각이 다 사라져 버렸느냐? 그들의 슬기가 끝이 났느냐?”(렘 49:7) 욥기의 배경 시대를 보통 아브라함 이전의 족장시대로 보는 견해가 다수라는 점에서 고대 그리스 철학이 신화 중심의 세계관에서 인간 이성 중심의 세계로 나오는 시점인 기원전 6세기 밀레토스학파의 탈레스나 아낙시만드로스나 아낙시메데스보다 적게 잡아도 1200년이나 앞섰다는 점에서 대단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욥기>가 기록된 시기에 대하여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 지혜문학이 왕성하던 솔로몬 시대로 보더라도 서양 철학보다 앞선 일입니다. 눈에 보이는 실리를 추구하는 시대에 지혜를 구하는 이들이 모여 마을을 이루고 살았다는 사실이 놀랍습니다. 욕망과 권력이 난무하는 오늘 같은 시대에 지혜를 추구하는 삶이 절실합니다. 그래서였을까요? 예언자 하박국은 하나님을 지혜자의 마을 ‘데만에서 오시는 분’으로 묘사하기도 하였습니다(합 3:3). 인간세계에 오시는 하나님은 ‘지혜자’로 오십니다. 지혜를 멸시하는 일은 하나님을 대적하는 행위입니다. “지혜를 버리지 말아라. 그것이 너를 지켜 줄 것이다. 지혜를 사랑하여라. 그것이 너를 보호하여 줄 것이다”(잠 4:6).
엘리바스가 말합니다. “잘 생각해 보아라. 죄 없는 사람이 망한 일이 있더냐? 정직한 사람이 멸망한 일이 있더냐?”(4:7) 그의 말은 이성적이고 논리적입니다. 착한 행실에는 복이 따르고, 악한 행실에는 벌이 임한다는 논리입니다. 지금 욥이 당하는 고통에는 이유가 있다는 뜻입니다. 엘리바스의 말은 참말입니다. 그런데 참말에 감동이 보이지 않습니다. 오늘날 말로 삶을 잇는 사람들이 조심할 일입니다. 말은 바로 하는 데 공감하기에는 거리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말하는 이의 행동이 자기 말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말이 너무 정답 같기 때문입니다. 삶이란 정답 찾기가 아니라 해답을 찾는 과정입니다. 게다가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 일 없다’는 식의 엘리바스의 논리가 바로 사탄의 논리(1:9~11, 2:4~5)와 잇닿아 있습니다. 누구라도 사탄의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바른말이 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엘리바스가 모르는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욥의 고난에는 이유가 없다는 점입니다. 세상에는 자기 잘못이 아닌 일로 화를 당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우크라이나 시민이나 가자 지구의 어린이들이 자기 잘못으로 생명을 잃었습니까? 세월호의 학생들과 이태원의 청년들이 제 잘못으로 화를 당했습니까? 엘리바스의 말이 틀리지는 않지만 맞는 말도 아닙니다. 말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말로 사는 분들은 조심해야 합니다.
주님, 저도 말로 살아왔습니다. 허튼 말로 남을 설득하였고, 내 말을 하나님 말씀이라고 우기기도 하였니다. 엘리바스처럼 하나님의 말씀을 전한다고 하면서 사탄의 논리를 대변하지 않았는지 반성합니다. 한번 한 말을 주워 담을 수는 없지만 앞으로는 더 신중하고 조심하겠습니다.
399361344_24073316615616301_2721262928177281934_n.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006 걷는독서 [걷는 독서] 치유의 첫 걸음은 병이 들었음을 인정하는 것 file 박노해 2023-07-13 18
12005 묵상나눔 내 탓입니다 file [3] Navi Choi 2023-07-13 43
12004 걷는독서 [걷는 독서] 마음에 빛이 없으면 file 박노해 2023-07-12 25
12003 묵상나눔 배신 file Navi Choi 2023-07-12 13
12002 무엇이든 현실...싱가포르>마카오>홍콩>일본>타이완>한국 file 그래프로 2023-07-12 16
12001 뉴스언론 방사능 악몽 이제 시작, 일본 가지 마” 의사의 경고 file 김익중 2023-07-12 13
12000 걷는독서 [걷는 독서] 인내는 그저 참는 것이 아니다 file 박노해 2023-07-11 8
11999 무엇이든 본 교회에서 목회하실 목사님을 아래와 같이 "청빙”합니다. 박흥신 2023-07-11 19
11998 가족글방 과학이라는 이름의 미신 file Navi Choi 2023-07-11 13
11997 묵상나눔 file Navi Choi 2023-07-11 14
11996 뉴스언론 방사능 악몽 이제 시작, "일본 가지 마” 의사의 경고 file 국민일보 2023-07-11 10
11995 걷는독서 [걷는 독서] 그의 현재를 만드는 건 그의 과거다 file 박노해 2023-07-10 13
11994 무엇이든 코끼리를 그리겠다는 아이가 소를 그렸습니다. file [1] 전우용 2023-07-10 18
11993 묵상나눔 눈물의 선지자 file Navi Choi 2023-07-10 23
11992 걷는독서 [걷는 독서] 영원의 하루 file 박노해 2023-07-09 16
11991 묵상나눔 추락 file Navi Choi 2023-07-09 24
11990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내 희망은 단순한 것 file 박노해 2023-07-08 10
11989 묵상나눔 출애굽의 무효화 file Navi Choi 2023-07-08 17
11988 걷는독서 [걷눈 독서] 행복해 보이기 위해 file 박노해 2023-07-07 13
11987 묵상나눔 너는 무엇을 보느냐? Navi Choi 2023-07-07 40
11986 걷는독서 [걷는 독서] 실패하고 추락할 때 file 박노해 2023-07-06 18
11985 묵상나눔 슬프도소이다 file Navi Choi 2023-07-06 28
11984 가족글방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투기를 반대한다. file 이상호 목사 2023-07-06 27
11983 무엇이든 인간이라는 동물은 file 조지오웰 2023-07-06 22
11982 걷는독서 [걷는 독서] 돈으로 살 수 없는 것이 많은 사회가 file 박노해 2023-07-05 13
11981 광고알림 (제104기) 전인치유학교 / 8월 7일(월 pm1)~8일(화 pm5) 주님사랑 2023-07-05 9
11980 묵상나눔 선행 file [2] Navi Choi 2023-07-05 21
11979 걷는독서 [걷는 독서] 선도 악도, 아름다움도 비루함도 file 박노해 2023-07-04 13
11978 가족글방 철든다는 것 김홍한 목사 2023-07-04 22
11977 묵상나눔 그러나, 그래서 , 그런데 file Navi Choi 2023-07-04 21
11976 걷는독서 [걷는 독서] 고통의 시기’에 ‘생각의 발전’이 이루어진다 file 박노해 2023-07-03 21
11975 무엇이든 책이 있는 풍경 file Navi Choi 2023-07-03 19
11974 묵상나눔 선한 일에 열심을 내는 이유 file Navi Choi 2023-07-03 25
1197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조급함과 분주함이 나를 재촉할 때면 file 박노해 2023-07-02 14
11972 가족글방 섶 -종말의 현재성 file Navi Choi 2023-07-02 14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