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친구란?

묵상나눔 Navi Choi............... 조회 수 18 추천 수 0 2023.11.09 09:48:21
.........
친구란?
욥기 6:1~30
마침내 침묵하던 욥이 입을 열었습니다. 욥은 자신의 고난이 자기 잘못 때문이라는 생각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전능하신 분께서 나를 과녁으로 삼고 화살을 쏘시니, 내 영혼이 그 독을 빤다. 하나님이 나를 몰아치셔서 나를 두렵게 하신다”(6:4). 욥은 너무 괴로워서 말이 거칠어졌고 짐승처럼 울부짖었습니다. 누구도 자신의 마음을 헤아려 주지 않았습니다. 평생의 반려자인 아내도 ‘하나님을 저주하고 죽으라’는 악담을 하였고, 먼 데서 온 친구들마저 딴소리만 하였습니다. 없는 죄를 찾아내어 회개하는 일도 가능하지 않았습니다.
우리 말에 본문과 어울리는 아주 적절한 표현이 있습니다. ‘때리는 시어머니보다 말리는 시누이가 더 밉다’는 말입니다. 욥이 알 수 없는 이유로 고통을 겪고 있을 때 위로하기 위하여 먼 길을 찾아온 친구의 말이 도리어 욥의 고통을 가중시켰습니다. 세 친구 가운데에 먼저 입을 연 데만 사람 엘리바스의 충고는 위로의 말이기보다 힐난에 가깝습니다. 그는 “하나님은 찌르기도 하시지만 싸매어 주기도 하시며, 상하게도 하시지만 손수 낫게도 해주신다”(5:18)며 하나님께 사정을 아뢰라고 조언하였습니다. 지극히 합당한 말이지만 이 말이 욥에게는 채찍처럼 들렸습니다. 말에는 치료의 힘도 있지만 고통을 더하는 능력도 있습니다. 이치에 어긋나는 말을 해서가 아니라 경우에 합당한 말을 하여야 합니다. 말을 가려 할 줄 알아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욥은 친구들에 대하여 실망하였습니다. “바른 말은 힘이 있는 법이다. 그런데 너희는 정말 무엇을 책망하는 것이냐? 너희는 남의 말 꼬투리나 잡으려는 것이 아니냐? 절망에 빠진 사람의 말이란, 바람과 같을 뿐이 아니냐?”(6:25~26) 욥은 친구들에 대하여 서운하고 섭섭합니다. 친구들은 위로하기 위하여 왔지만 사실은 고통을 더하였습니다. 친구들의 한마디 한마디 말이 욥의 폐부를 찌릅니다. 그렇다고 친구들의 말이 틀렸다거나 지나치다고 할 수도 없습니다. 다만 인생이 고통이 갖는 무게감은 생각 이상이며 그 처지는 다양하고 복잡합니다. 단순한 상식만으로 판단할 수 없는 일들이 많습니다. 욥의 저항은 하나님을 향한 것이 아니라 엘리바스와 친구들의 지극히 합당한 말에 대한 거부감입니다. 좋은 친구라면 친구를 이해하는 일이 먼저여야 마땅합니다. 말꼬투리를 찾아 책잡기보다는 친구의 편을 들어주며 두둔하거나 대변할 수 있어야 합니다. 친구를 곤경에 처할 목적이 아니라면 당연히 그래야 합니다. 그렇지 않아도 울고 싶은 마음이었던 욥의 뺨을 친구들이 가격한 꼴입니다.
역경을 만나야 누가 진정한 친구인지 알 수 있습니다. 욥의 경우를 보더라도 그렇습니다. 성공의 때에 만난 친구를 역경의 때에야 그 진정성을 알 수 있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친구란 두 개의 몸에 깃든 한 영혼’이라고 하였습니다. 시인 윤보영은 <친구란>에서 “신던 신발처럼 편안한 것/때로는 새로 산 신발처럼/견딜만큼 아픔도 있어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우동 한 그릇을 같이 먹어도/배가 부른 것”이라고요. 좋은 친구가 그리운 때입니다. 가르치려고만 하는 친구 말고…, 바른 소리만 하는 친구 말고…, 비 오는 날 우산 씌워주는 친구 말고… 내일은 친구에게 전화라도 한번 걸어야겠습니다.
주님, 저는 오늘 어떤 태도로 친구 옆에 서 있는지를 살핍니다. 저 역시 바른말 하기 좋아하였습니다. 친구가 당하는 아픔을 이해하려는 노력은 뒷전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제 태도를 바꾸겠습니다. 잘 안되더라도 이해와 관용을 관용의 실천을 노력하겠습니다.
2023. 11. 9 목
400060427_24081380154809947_4034903795263183322_n.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91 걷는독서 [걷는 독서] 죄 없이 죽은 자는 file 박노해 2023-12-05 18
12390 묵상나눔 이제 file Navi Choi 2023-12-05 15
12389 걷는독서 [걷는 독서] 아무리 어둠이 길고 깊어도 file 박노해 2023-12-04 17
12388 묵상나눔 어제 file Navi Choi 2023-12-04 12
12387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나 하나는 세계의 최소 단위이자 file 박노해 2023-12-03 12
12386 가족글방 섶-빈센트에게 교회란 무엇인가? file Navi Choi 2023-12-03 7
12385 묵상나눔 지식과 지혜 file Navi Choi 2023-12-03 5
12384 걷는독서 [걷는 독서] 햇살이 머물다 간 자리 file 박노해 2023-12-02 9
12383 묵상나눔 믿음의 세계 file Navi Choi 2023-12-02 9
12382 걷는독서 [걷는독서] 그럼에도 file 박노해 2023-12-01 11
12381 묵상나눔 사람은 구더기가 아닙니다 file Navi Choi 2023-12-01 14
12380 걷는독서 [걷는 독서] 세상도 역사도 인생도 file 박노해 2023-11-30 20
12379 묵상나눔 빛이 싫은 사람들 file Navi Choi 2023-11-30 22
12378 가족글방 [주보시] 임마누엘 쿠바인 2023-11-30 21
12377 가족글방 [주보시] 파루시아(Parousia) 쿠바인 2023-11-30 11
12376 광고알림 기독교인 결혼 배우자 만남 프로필 미팅 등록 안내, 기독교인 결혼 배우자 만남의 행복크리스찬 2023-11-30 5
12375 걷는독서 [걷는 독서] 어쩜 어디서든 file 박노해 2023-11-29 13
12374 묵상나눔 좁혀질 수 없는 생각 file Navi Choi 2023-11-29 10
12373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내 인생에 단 하나의 file 박노해 2023-11-28 17
12372 묵상나눔 무지 file Navi Choi 2023-11-28 14
12371 가족글방 서구를 몰락시킨 세 가지 Wave file 최광희 2023-11-28 15
12370 걷는독서 [걷는 독서] 하루하루 더 나아진 내가 되는 만큼 file 박노해 2023-11-27 14
12369 묵상나눔 신앙이 힘이 되지 않을 때 file Navi Choi 2023-11-27 14
12368 걷는독서 [걷는 독서] 옳은 일이라면 file 박노해 2023-11-26 16
12367 가족글방 빈센트에게 교회란 무엇인가? file Navi Choi 2023-11-26 12
12366 묵상나눔 악인에게 관대하신(?) 하나님 file Navi Choi 2023-11-26 14
12365 걷는독서 [걷는 독서] 많은 길을 걸으며 file 박노해 2023-11-25 15
12364 묵상나눔 교리의 사람 file Navi Choi 2023-11-25 8
12363 걷는독서 [걷는 독서] 겨울의 길목에서 file 박노해 2023-11-24 13
12362 묵상나눔 욥의 하나님 인식 file Navi Choi 2023-11-24 18
12361 걷는독서 [걷는 독서] 현실의 중력과 압력 속에서 file 박노해 2023-11-23 20
12360 묵상나눔 발상의 전환 file Navi Choi 2023-11-23 28
12359 걷는독서 [걷는 독서] 원하는 대로 보는 것이 아닌 file 박노해 2023-11-22 34
12358 묵상나눔 맥락 file [1] Navi Choi 2023-11-22 26
12357 묵상나눔 [걷는 독서] 말 없는 격려 file 박노해 2023-11-21 34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