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친구란?

묵상나눔 Navi Choi............... 조회 수 18 추천 수 0 2023.11.09 09:48:21
.........
친구란?
욥기 6:1~30
마침내 침묵하던 욥이 입을 열었습니다. 욥은 자신의 고난이 자기 잘못 때문이라는 생각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전능하신 분께서 나를 과녁으로 삼고 화살을 쏘시니, 내 영혼이 그 독을 빤다. 하나님이 나를 몰아치셔서 나를 두렵게 하신다”(6:4). 욥은 너무 괴로워서 말이 거칠어졌고 짐승처럼 울부짖었습니다. 누구도 자신의 마음을 헤아려 주지 않았습니다. 평생의 반려자인 아내도 ‘하나님을 저주하고 죽으라’는 악담을 하였고, 먼 데서 온 친구들마저 딴소리만 하였습니다. 없는 죄를 찾아내어 회개하는 일도 가능하지 않았습니다.
우리 말에 본문과 어울리는 아주 적절한 표현이 있습니다. ‘때리는 시어머니보다 말리는 시누이가 더 밉다’는 말입니다. 욥이 알 수 없는 이유로 고통을 겪고 있을 때 위로하기 위하여 먼 길을 찾아온 친구의 말이 도리어 욥의 고통을 가중시켰습니다. 세 친구 가운데에 먼저 입을 연 데만 사람 엘리바스의 충고는 위로의 말이기보다 힐난에 가깝습니다. 그는 “하나님은 찌르기도 하시지만 싸매어 주기도 하시며, 상하게도 하시지만 손수 낫게도 해주신다”(5:18)며 하나님께 사정을 아뢰라고 조언하였습니다. 지극히 합당한 말이지만 이 말이 욥에게는 채찍처럼 들렸습니다. 말에는 치료의 힘도 있지만 고통을 더하는 능력도 있습니다. 이치에 어긋나는 말을 해서가 아니라 경우에 합당한 말을 하여야 합니다. 말을 가려 할 줄 알아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욥은 친구들에 대하여 실망하였습니다. “바른 말은 힘이 있는 법이다. 그런데 너희는 정말 무엇을 책망하는 것이냐? 너희는 남의 말 꼬투리나 잡으려는 것이 아니냐? 절망에 빠진 사람의 말이란, 바람과 같을 뿐이 아니냐?”(6:25~26) 욥은 친구들에 대하여 서운하고 섭섭합니다. 친구들은 위로하기 위하여 왔지만 사실은 고통을 더하였습니다. 친구들의 한마디 한마디 말이 욥의 폐부를 찌릅니다. 그렇다고 친구들의 말이 틀렸다거나 지나치다고 할 수도 없습니다. 다만 인생이 고통이 갖는 무게감은 생각 이상이며 그 처지는 다양하고 복잡합니다. 단순한 상식만으로 판단할 수 없는 일들이 많습니다. 욥의 저항은 하나님을 향한 것이 아니라 엘리바스와 친구들의 지극히 합당한 말에 대한 거부감입니다. 좋은 친구라면 친구를 이해하는 일이 먼저여야 마땅합니다. 말꼬투리를 찾아 책잡기보다는 친구의 편을 들어주며 두둔하거나 대변할 수 있어야 합니다. 친구를 곤경에 처할 목적이 아니라면 당연히 그래야 합니다. 그렇지 않아도 울고 싶은 마음이었던 욥의 뺨을 친구들이 가격한 꼴입니다.
역경을 만나야 누가 진정한 친구인지 알 수 있습니다. 욥의 경우를 보더라도 그렇습니다. 성공의 때에 만난 친구를 역경의 때에야 그 진정성을 알 수 있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친구란 두 개의 몸에 깃든 한 영혼’이라고 하였습니다. 시인 윤보영은 <친구란>에서 “신던 신발처럼 편안한 것/때로는 새로 산 신발처럼/견딜만큼 아픔도 있어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우동 한 그릇을 같이 먹어도/배가 부른 것”이라고요. 좋은 친구가 그리운 때입니다. 가르치려고만 하는 친구 말고…, 바른 소리만 하는 친구 말고…, 비 오는 날 우산 씌워주는 친구 말고… 내일은 친구에게 전화라도 한번 걸어야겠습니다.
주님, 저는 오늘 어떤 태도로 친구 옆에 서 있는지를 살핍니다. 저 역시 바른말 하기 좋아하였습니다. 친구가 당하는 아픔을 이해하려는 노력은 뒷전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제 태도를 바꾸겠습니다. 잘 안되더라도 이해와 관용을 관용의 실천을 노력하겠습니다.
2023. 11. 9 목
400060427_24081380154809947_4034903795263183322_n.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006 걷는독서 [걷는 독서] 치유의 첫 걸음은 병이 들었음을 인정하는 것 file 박노해 2023-07-13 18
12005 묵상나눔 내 탓입니다 file [3] Navi Choi 2023-07-13 43
12004 걷는독서 [걷는 독서] 마음에 빛이 없으면 file 박노해 2023-07-12 25
12003 묵상나눔 배신 file Navi Choi 2023-07-12 13
12002 무엇이든 현실...싱가포르>마카오>홍콩>일본>타이완>한국 file 그래프로 2023-07-12 16
12001 뉴스언론 방사능 악몽 이제 시작, 일본 가지 마” 의사의 경고 file 김익중 2023-07-12 13
12000 걷는독서 [걷는 독서] 인내는 그저 참는 것이 아니다 file 박노해 2023-07-11 8
11999 무엇이든 본 교회에서 목회하실 목사님을 아래와 같이 "청빙”합니다. 박흥신 2023-07-11 19
11998 가족글방 과학이라는 이름의 미신 file Navi Choi 2023-07-11 13
11997 묵상나눔 file Navi Choi 2023-07-11 14
11996 뉴스언론 방사능 악몽 이제 시작, "일본 가지 마” 의사의 경고 file 국민일보 2023-07-11 10
11995 걷는독서 [걷는 독서] 그의 현재를 만드는 건 그의 과거다 file 박노해 2023-07-10 13
11994 무엇이든 코끼리를 그리겠다는 아이가 소를 그렸습니다. file [1] 전우용 2023-07-10 18
11993 묵상나눔 눈물의 선지자 file Navi Choi 2023-07-10 23
11992 걷는독서 [걷는 독서] 영원의 하루 file 박노해 2023-07-09 16
11991 묵상나눔 추락 file Navi Choi 2023-07-09 24
11990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내 희망은 단순한 것 file 박노해 2023-07-08 10
11989 묵상나눔 출애굽의 무효화 file Navi Choi 2023-07-08 17
11988 걷는독서 [걷눈 독서] 행복해 보이기 위해 file 박노해 2023-07-07 13
11987 묵상나눔 너는 무엇을 보느냐? Navi Choi 2023-07-07 40
11986 걷는독서 [걷는 독서] 실패하고 추락할 때 file 박노해 2023-07-06 18
11985 묵상나눔 슬프도소이다 file Navi Choi 2023-07-06 28
11984 가족글방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투기를 반대한다. file 이상호 목사 2023-07-06 27
11983 무엇이든 인간이라는 동물은 file 조지오웰 2023-07-06 22
11982 걷는독서 [걷는 독서] 돈으로 살 수 없는 것이 많은 사회가 file 박노해 2023-07-05 13
11981 광고알림 (제104기) 전인치유학교 / 8월 7일(월 pm1)~8일(화 pm5) 주님사랑 2023-07-05 9
11980 묵상나눔 선행 file [2] Navi Choi 2023-07-05 21
11979 걷는독서 [걷는 독서] 선도 악도, 아름다움도 비루함도 file 박노해 2023-07-04 13
11978 가족글방 철든다는 것 김홍한 목사 2023-07-04 22
11977 묵상나눔 그러나, 그래서 , 그런데 file Navi Choi 2023-07-04 21
11976 걷는독서 [걷는 독서] 고통의 시기’에 ‘생각의 발전’이 이루어진다 file 박노해 2023-07-03 21
11975 무엇이든 책이 있는 풍경 file Navi Choi 2023-07-03 19
11974 묵상나눔 선한 일에 열심을 내는 이유 file Navi Choi 2023-07-03 25
1197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조급함과 분주함이 나를 재촉할 때면 file 박노해 2023-07-02 14
11972 가족글방 섶 -종말의 현재성 file Navi Choi 2023-07-02 14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