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고통, 앎과 삶의 괴리

묵상나눔 Navi Choi............... 조회 수 12 추천 수 0 2023.11.10 16:45:20
.........
고통, 앎과 삶의 괴리
욥기 7:1~21
인생사가 생각처럼 단순하지만은 않습니다. 착하게 살면 복을 받고, 악하게 살면 벌을 받는다는 게 일반적인 삶의 원리입니다. 이것을 지혜문학에서는 규범적 지혜라고 말하고 저는 그저 삶의 제1원리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우리가 이미 경험하여 아는 대로 착하게 사는 사람이 복을 받지 못하는 일이 왕왕 있습니다. 아니 악하게 사는 사람일수록 성공합니다. 남의 것을 훔치고 속이는 일을 아무렇지도 않게 하는 이들이 더 잘삽니다. 정직한 의인들이 권력을 얻는 것이 아니라 이악스럽고 악착같은 이들이 권력을 붙잡습니다. 원칙을 지키는 이들이 바보 취급을 당하고 규칙을 위반하는 자들이 득세합니다. 정치만 그런 게 아니라 세상천지가 다 그렇습니다. 교회도 다르지 않습니다. 이는 하나님이 세상을 만드시고 ‘좋았다’ 하신 반응에 반하고 부정하는 일들입니다. 왜 세상에는 이런 일들이 그치지를 않는 걸까요? 하나님이 계시다면, 하나님이 정의로운 분이라면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 걸까요? 하나님이 실수하신 걸까요? ‘도덕적 인간이 만든 비도덕적 사회’라는 라인홀드 니부어(1892~1971)의 생각을 어떻게 이해하여야 할까요?
제가 갖고 있는 생각은 이렇습니다. 하나님은 세상에 하나의 원리, 규범적 지혜의 원칙만 허락하신 것이 아닙니다. 이 원칙이 세상의 가장 기본이 되는 원리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다가 아닙니다. 인생사와 세상사에는 규범적 지혜의 원리가 지켜지지 않을 때가 무수히 많습니다. 삶의 제1원리가 무너지는 현상도 하나의 원리로서 저는 그것을 삶의 제2원리라고 부릅니다. 지혜문학에서는 성찰적 지혜라고 말합니다. 이것 역시 하나님께서 세상을 다스리고 섭리하시는 방법입니다. 하나님은 세상에 하나의 원리만 주셔서 사람을 기계화하거나 역사를 일방이 되게 하지 않으십니다. 삶의 제2원리를 허용하시므로 인생은 자기 한계를 깨달아 신앙의 사람이 되게 합니다. 사유와 성찰이 깊어지게 하여 철학적 존재가 되게 합니다. 패배자의 아픔을 이해하는 관용의 마음과 상처 입은 약자에 대하여 긍휼의 마음을 갖게 되며 선한 의지를 작동하여 정의를 추구하게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삶의 제2원리 역시 하나님의 통치 수단입니다.
하지만 이런 원리를 알고 있다는 것과 그 앎을 몸으로 살아낸다는 것 사이에는 괴리가 있습니다. 그 간극이 크면 클수록 고통이 크고 갈등이 깊습니다. 욥의 고통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안다고 해서 고통이 경감되지 않습니다. 그는 친구들에게 인생의 허망함을 말합니다. “인생이 땅 위에서 산다는 것이, 고된 종살이와 다른 것이 무엇이냐? 그의 평생이 품꾼의 나날과 같지 않으냐?”(7:1) 하나님을 향해서도 탄식합니다. “내가 바다 괴물이라도 됩니까? 내가 깊은 곳에 사는 괴물이라도 됩니까? 어찌하여 주님께서는 나를 감시하십니까?”(7:12), “나는 이제 사는 것이 지겹습니다. 영원히 살 것도 아닌데, 제발, 나를 혼자 있게 내버려 두십시오. 내 나날이 허무할 따름입니다”(7:15). 욥의 탄식과 독백은 앎과 삶의 괴리가 큰 자의 어쩔 수 없는 고백입니다. 삶의 제1원리와 제2원리 사이를 사는 모든 인생의 문제인 셈입니다.
“바꿀 수 없는 것을 평온하게 받아들이는 은혜와 바꿔야 할 것을 바꿀 수 있는 용기, 그리고 이 둘을 분별하는 지혜를 주십시오.”
라인홀드 니부어의 기도문입니다. 하나님,
세상은 여전히 희망 없는 삶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애는 써도 달라지지 않는 인생과 역사 앞에 절망할 뿐입니다. 주님, 육체를 지닌 인간이 불평하는 것까지 용납하여 주시기를 빕니다. 욥처럼 고통 가운데 있는 이들에게 위로와 평안을 허락하여 주십시오.
2023. 11. 10 금
400045016_24087465607534735_6081398028473171398_n.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91 걷는독서 [걷는 독서] 죄 없이 죽은 자는 file 박노해 2023-12-05 18
12390 묵상나눔 이제 file Navi Choi 2023-12-05 15
12389 걷는독서 [걷는 독서] 아무리 어둠이 길고 깊어도 file 박노해 2023-12-04 17
12388 묵상나눔 어제 file Navi Choi 2023-12-04 12
12387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나 하나는 세계의 최소 단위이자 file 박노해 2023-12-03 12
12386 가족글방 섶-빈센트에게 교회란 무엇인가? file Navi Choi 2023-12-03 7
12385 묵상나눔 지식과 지혜 file Navi Choi 2023-12-03 5
12384 걷는독서 [걷는 독서] 햇살이 머물다 간 자리 file 박노해 2023-12-02 9
12383 묵상나눔 믿음의 세계 file Navi Choi 2023-12-02 9
12382 걷는독서 [걷는독서] 그럼에도 file 박노해 2023-12-01 11
12381 묵상나눔 사람은 구더기가 아닙니다 file Navi Choi 2023-12-01 14
12380 걷는독서 [걷는 독서] 세상도 역사도 인생도 file 박노해 2023-11-30 20
12379 묵상나눔 빛이 싫은 사람들 file Navi Choi 2023-11-30 22
12378 가족글방 [주보시] 임마누엘 쿠바인 2023-11-30 21
12377 가족글방 [주보시] 파루시아(Parousia) 쿠바인 2023-11-30 11
12376 광고알림 기독교인 결혼 배우자 만남 프로필 미팅 등록 안내, 기독교인 결혼 배우자 만남의 행복크리스찬 2023-11-30 5
12375 걷는독서 [걷는 독서] 어쩜 어디서든 file 박노해 2023-11-29 13
12374 묵상나눔 좁혀질 수 없는 생각 file Navi Choi 2023-11-29 10
12373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내 인생에 단 하나의 file 박노해 2023-11-28 17
12372 묵상나눔 무지 file Navi Choi 2023-11-28 14
12371 가족글방 서구를 몰락시킨 세 가지 Wave file 최광희 2023-11-28 15
12370 걷는독서 [걷는 독서] 하루하루 더 나아진 내가 되는 만큼 file 박노해 2023-11-27 14
12369 묵상나눔 신앙이 힘이 되지 않을 때 file Navi Choi 2023-11-27 14
12368 걷는독서 [걷는 독서] 옳은 일이라면 file 박노해 2023-11-26 16
12367 가족글방 빈센트에게 교회란 무엇인가? file Navi Choi 2023-11-26 12
12366 묵상나눔 악인에게 관대하신(?) 하나님 file Navi Choi 2023-11-26 14
12365 걷는독서 [걷는 독서] 많은 길을 걸으며 file 박노해 2023-11-25 15
12364 묵상나눔 교리의 사람 file Navi Choi 2023-11-25 8
12363 걷는독서 [걷는 독서] 겨울의 길목에서 file 박노해 2023-11-24 13
12362 묵상나눔 욥의 하나님 인식 file Navi Choi 2023-11-24 18
12361 걷는독서 [걷는 독서] 현실의 중력과 압력 속에서 file 박노해 2023-11-23 20
12360 묵상나눔 발상의 전환 file Navi Choi 2023-11-23 28
12359 걷는독서 [걷는 독서] 원하는 대로 보는 것이 아닌 file 박노해 2023-11-22 34
12358 묵상나눔 맥락 file [1] Navi Choi 2023-11-22 26
12357 묵상나눔 [걷는 독서] 말 없는 격려 file 박노해 2023-11-21 34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