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통섭

묵상나눔 Navi Choi............... 조회 수 11 추천 수 0 2023.12.17 07:15:24
.........
통섭
욥기 38:39~39:30
인간은 세상 이체에 대하여 아는 것 보다 모르는 게 더 많습니다. 혹 어떤 분야에 대하여서는 깊은 지식을 갖고 있더라도 다른 분야에 대하여서는 전혀 생소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천문지리를 꿰뚫는 석학이라도 사람의 심리를 헤아리는 일에는 젬병일 수 있고, 신학은 두루 섭렵하면서도 인간의 본질에 대하여서는 무지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학문의 벽을 허물고 인접 학문과의 통섭하기를 권하고 있습니다. 20세기의 끄트머리에 지식사회의 화두로 떠오른 ‘학문의 통섭’이야말로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대통합을 통해 새로운 문명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자연과학과 인문학이 구분되지 않았으나 르네상스 이후 분화되었습니다. 인문학을 하는 이는 초보적인 자연과학의 지식도 없고, 자연과학자는 대중적인 문학조차 외면합니다. 이런 분위기에서 인간의 기술과 지식은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무엇이나 가능한 세상, 모든것을 할 수 있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과학자들은 과학기술로 유토피아를 구현하려고 하고, 법 전문가들은 법 기술자가 되어 세상을 함부로 다스리려고 합니다. 유발 하라리의 표현을 빌리자면 호모 사피에스가 드디어 호모 데오스가 된 셈입니다. 자연과학을 비롯한 지식은 인간을 창조자의 반열에 올려놓았습니다. 하지만 신적 지혜가 없습니다.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시대에 아무것도 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마치 아이의 손에 쥐어준 원자폭탄의 뇌관처럼 위태롭기 그지 없습니다. 둘 중 하나입니다.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시대에 아무것도 못하거나, 아니면 이 시점이 인류의 종말일 수 있습니다. 인접 학문과의 통섭은 균형 잡힌 가치관을 통하여 사람다운 삶을 추구합니다.
규범적 지혜는 이분법의 세계관에 함몰되어 있습니다. 지혜와 무지가 대립하고, 선과 악이 부딪칩니다. 정결과 부정, 순종과 거역이 마주하므로 좋은 것과 나쁜 것을 분명하게 가름합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39장에 등장하는 생물들 가운데는 모세의 율법에서 부정하게 취급하여 먹지 못하게 언급한 짐승들이 있습니다. 타조(레 11:16, 애 4:3)는 들개만도 못한 잔인한 짐승이며, 메뚜기(신 28:38,42)는 파괴와 동의어일 정도로 피해를 입힙니다. 매(레 11:16)와 독수리(레 11:13, 미 1:16)는 사체를 먹습니다. 성찰적 지혜는 이 짐승들이 ‘나쁜 짐승인가?’ 묻습니다. 정결과 부정을 나누는 기준으로 선과 악을 구분할 수는 없다는 점을 성찰적 지혜가 가르칩니다. 이를 수용한다면 유대인과 이방인을 구분하는 일도 헛된 일이며, 세상을 신앙과 불신앙으로 구분하려는 시도도 성찰적 지혜를 배반하는 셈입니다.
‘좋다’, 또는 ‘나쁘다’를 함부로 예단하는 일은 조심해야 합니다. 사람의 눈에 하찮게 보이는 짐승들도 나름대로 자기 삶을 이어갑니다. 사람이 개입해서 도와주지 않아도 절로 살아갑니다. 그들이 생존하는 광야에도 하나님의 질서가 있습니다. 모든 피조계는 저마다의 자유와 자율성이 작동합니다. 하나님은 그 모든 것을 주관하십니다. 광야는 결코 버려진 땅이 아닙니다. 교회 밖 세상 역시 이런 시선으로 보면 희망이 있습니다. 욥이 알아야 할 게 바로 이것입니다. 욥은 그동안 자기 문제에만 몰입하였습니다.
주님, 눈이 감겨 있으면 아무리 좋은 것도 볼 수 없습니다. 저의 눈을 열어주십시오. 하나님의 신묘막측한 세계를 겸허히 바라볼 줄 아는 자세를 갖추겠습니다.
2023년 12월 17일(주일)
409868116_24335112822770011_4133818160471562565_n.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16 걷는독서 [걷는 독서] 저 작은 별 하나 빛나기 위해 file 박노해 2023-10-02 17
12215 묵상나눔 제발 고집 부리지 마십시오 file [1] Navi Choi 2023-10-02 25
12214 걷는독서 [걷는독서] 가을은 짧아서 file 박노해 2023-10-01 30
12213 가족글방 명동촌과 동명촌 file Navi Choi 2023-10-01 35
12212 묵상나눔 경쟁자와 원수와 적 file Navi Choi 2023-10-01 34
12211 걷는독서 [걷는 독서] 우리 인생은 file 박노해 2023-09-30 19
12210 묵상나눔 처음과 나중 file Navi Choi 2023-09-30 31
12209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나에게 또 하루가 주어졌다는 게 file 박노해 2023-09-29 26
12208 묵상나눔 힘에 의한 평화’라고요? file Navi Choi 2023-09-29 36
12207 걷는독서 [걷는 독서] 새파란 하늘에 눈동자를 씻고 file 박노해 2023-09-28 26
12206 가족글방 왜 하느님(하늘님)이라 못하고 '하나님'이라고 하게 되었는지... 김요한 목사 2023-09-28 50
12205 묵상나눔 상수와 변수 file Navi Choi 2023-09-28 35
12204 광고알림 기독교인 결혼 배우자 만남 프로필 미팅 등록 안내 행복크리스천 2023-09-28 23
1220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아무리 시대가 그래도, file 박노해 2023-09-27 30
12202 묵상나눔 국제관계 file Navi Choi 2023-09-27 30
12201 걷는독서 [걷는 독서] 고귀한 뜻을 품어 file 박노해 2023-09-26 39
12200 묵상나눔 신앙의 역설 file Navi Choi 2023-09-26 29
12199 걷는독서 [걷는독서] 행복은 file 박노해 2023-09-25 22
12198 묵상나눔 왕이 할 일, 백성이 할 일 file Navi Choi 2023-09-25 32
12197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내 영혼에 file 박노해 2023-09-24 32
12196 묵상나눔 빈손의 기도 file Navi Choi 2023-09-24 37
12195 가족글방 섶-룡정 영국더기 file Navi Choi 2023-09-23 46
12194 걷는독서 [걷는 독서] 진실로 선한 사람은 file 박노해 2023-09-23 45
12193 묵상나눔 교회는 희망인가? file Navi Choi 2023-09-23 111
12192 걷는독서 [걷는 독서] 경이로움은 file 박노해 2023-09-22 62
12191 묵상나눔 법치주의 유감 file [1] Navi Choi 2023-09-22 37
12190 걷는독서 [걷는 독서] 고생과 역경 속에서 지켜온 것만이 file 박노해 2023-09-21 17
12189 묵상나눔 목표와 목적 file Navi Choi 2023-09-21 16
12188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나의 부족함을 알고 file 박노해 2023-09-20 8
12187 묵상나눔 제자리 제정신 file Navi Choi 2023-09-20 16
12186 무엇이든 [걷는 독서] 지고도 이기는 싸움이 있고 file 박노해 2023-09-19 15
12185 묵상나눔 성직 file Navi Choi 2023-09-19 13
12184 걷는독서 [걷는 독서] 익숙해지거나 안주하지 말며 file 박노해 2023-09-18 15
12183 걷는독서 [걷는 독서] 무언가를 하기 전에 file Navi Choi 2023-09-18 14
12182 묵상나눔 노동자의 자리 file Navi Choi 2023-09-18 12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