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노크

묵상나눔 Navi Choi............... 조회 수 9 추천 수 0 2023.12.18 09:12:19
.........
노크
욥기 40:1~24
하나님은 욥과 그의 세 친구, 그리고 엘리후의 말을 다 듣고 난 후 말씀을 시작하셨습니다. 38장부터 42장은 욥의 질문에 대답하시는 하나님의 말씀이 질문 형식으로 기록되었습니다. 그런데 동일한 히브리어 문장이 네 번 연달아 등장합니다. “그때에 주님께서 욥에게 대답하셨다”(38:1), “주님께서 또 욥에게 말씀하셨다.”(40:1), “주님께서 폭풍 가운데서 다시 말씀하셨다.”(40:6), “욥이 주님께 대답하였다.”(42:1) 우리말 번역은 조금씩 다르지만 히브리어 성경은 동일합니다. 이로 보아 하나님은 욥에게 세 번에 걸쳐 말씀하시고, 마지막은 욥의 대답이지만 이 역시 하나님의 의도하심이 내포되어 있음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문장의 반복이 동일한 경우는 또 있습니다. 하나님은 폭풍 가운데서 말씀하셨습니다(40:6). 이는 38:1에 이은 두 번째 말씀입니다. 폭풍은 하나님 임재의 현상에 대한 표현입니다. 하나님께서 시내산에 강림하여 모세를 만날 때도 그랬습니다(출 24:16~17). 동일한 문장의 반복은 또 있습니다. “이제 허리를 동이고 대장부답게 일어서서, 내가 묻는 말에 대답하여라.”(40:7) 이는 38:3 말씀의 반복입니다. 이 말씀은 하나님의 공의에 의문을 던지는 욥이 수용해야 하는 하나님의 공정성과 신비함의 무게감을 뜻합니다. 질문의 시간이 지나고 이제 답변의 시간이 되었습니다. 사람은 제대로 된 질문도 못하는 숙맥인 경우가 있는가 하면, 질문만 대포처럼 쏘아대고 정작 답에는 무심한 경우도 있습니다. 자기 고통에 집착하느라 우주에 가득 찬 하나님의 신비를 보지 못한다면 얼마나 허무할까요? 그래서 하나님은 대장부가 되라고 욥을 채근하시는 것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하나님과 욥의 대화가 흥미롭습니다. “전능한 하나님과 다투는 욥아, 네가 나를 꾸짖을 셈이냐? 네가 나를 비난하니, 어디, 나에게 대답해 보아라.”(40:2) “저는 비천한 사람입니다. 제가 무엇이라고 감히 주님께 대답할 수 있겠습니까? 다만 손으로 입을 막을 뿐입니다. 이미 말을 너무 많이 했습니다. 더 할 말이 없습니다.”(40:4~5) 욥은 자신이 경솔하였음을 인정하며 곧 뉘우칩니다. 그동안 욥이 한 질문은 집요하였지만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중에 깨달음은 쉬 찾아왔습니다. 은혜란 이렇습니다. 그렇다고 욥의 질문 행위가 불신앙은 아닙니다. 하나님을 향하여 질문할 수 있는 유일한 피조물은 사람뿐입니다. 이는 하나님이 사람을 인격적으로 지엇음을 뜻합니다. 다만 욥은 자신의 억울함을 토로했을 뿐이고, 하나님을 이해하지 못했을 뿐이고, 하나님을 더 알고 싶었을 뿐입니다.
“베헤못을 보아라. 내가 너를 만든 것처럼, 그것도 내가 만들었다. 그것이 소처럼 풀을 뜯지만 허리에서 나오는 저 억센 힘과, 배에서 뻗쳐 나오는 저 놀라운 기운을 보아라.”(40:15~16) 베헤못은 하마와 유사하지만 하마는 아닙니다. 정확한 이해가 어렵지만 분명한 사실은 베헤못은 육상 동물 가운데에 가장 강력하다는 점입니다. 그런데 이런 동물을 하나님게서 만드셨습니다. 하나님은 베헤못이 착하다거나 정결하다고 표현하지 않으십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하나님의 통치는 온 세상 모든 영역에 미친다는 점을 설명하기 위함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사람에게 적대적인 베헤못 같은 존재도 하나님의 장중에 있습니다.
주님, 악인도 주님의 주권 아래 있다는 사실을 믿습니다. 악인을 통제하고 의인의 역사를 펼쳐가시는 주님의 섭리를 믿습니다. 해명되지 않아 마음이 번잡할 때도 끊임없이 마음 문을 두드리시는 주님을 믿습니다.
2023년 12월 18일(월)
411160977_24341983605416266_6908161397222830116_n.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16 걷는독서 [걷는 독서] 저 작은 별 하나 빛나기 위해 file 박노해 2023-10-02 17
12215 묵상나눔 제발 고집 부리지 마십시오 file [1] Navi Choi 2023-10-02 25
12214 걷는독서 [걷는독서] 가을은 짧아서 file 박노해 2023-10-01 30
12213 가족글방 명동촌과 동명촌 file Navi Choi 2023-10-01 35
12212 묵상나눔 경쟁자와 원수와 적 file Navi Choi 2023-10-01 34
12211 걷는독서 [걷는 독서] 우리 인생은 file 박노해 2023-09-30 19
12210 묵상나눔 처음과 나중 file Navi Choi 2023-09-30 31
12209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나에게 또 하루가 주어졌다는 게 file 박노해 2023-09-29 26
12208 묵상나눔 힘에 의한 평화’라고요? file Navi Choi 2023-09-29 36
12207 걷는독서 [걷는 독서] 새파란 하늘에 눈동자를 씻고 file 박노해 2023-09-28 26
12206 가족글방 왜 하느님(하늘님)이라 못하고 '하나님'이라고 하게 되었는지... 김요한 목사 2023-09-28 50
12205 묵상나눔 상수와 변수 file Navi Choi 2023-09-28 35
12204 광고알림 기독교인 결혼 배우자 만남 프로필 미팅 등록 안내 행복크리스천 2023-09-28 23
1220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아무리 시대가 그래도, file 박노해 2023-09-27 30
12202 묵상나눔 국제관계 file Navi Choi 2023-09-27 30
12201 걷는독서 [걷는 독서] 고귀한 뜻을 품어 file 박노해 2023-09-26 39
12200 묵상나눔 신앙의 역설 file Navi Choi 2023-09-26 29
12199 걷는독서 [걷는독서] 행복은 file 박노해 2023-09-25 22
12198 묵상나눔 왕이 할 일, 백성이 할 일 file Navi Choi 2023-09-25 32
12197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내 영혼에 file 박노해 2023-09-24 32
12196 묵상나눔 빈손의 기도 file Navi Choi 2023-09-24 37
12195 가족글방 섶-룡정 영국더기 file Navi Choi 2023-09-23 46
12194 걷는독서 [걷는 독서] 진실로 선한 사람은 file 박노해 2023-09-23 45
12193 묵상나눔 교회는 희망인가? file Navi Choi 2023-09-23 111
12192 걷는독서 [걷는 독서] 경이로움은 file 박노해 2023-09-22 62
12191 묵상나눔 법치주의 유감 file [1] Navi Choi 2023-09-22 37
12190 걷는독서 [걷는 독서] 고생과 역경 속에서 지켜온 것만이 file 박노해 2023-09-21 17
12189 묵상나눔 목표와 목적 file Navi Choi 2023-09-21 16
12188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나의 부족함을 알고 file 박노해 2023-09-20 8
12187 묵상나눔 제자리 제정신 file Navi Choi 2023-09-20 16
12186 무엇이든 [걷는 독서] 지고도 이기는 싸움이 있고 file 박노해 2023-09-19 15
12185 묵상나눔 성직 file Navi Choi 2023-09-19 13
12184 걷는독서 [걷는 독서] 익숙해지거나 안주하지 말며 file 박노해 2023-09-18 15
12183 걷는독서 [걷는 독서] 무언가를 하기 전에 file Navi Choi 2023-09-18 14
12182 묵상나눔 노동자의 자리 file Navi Choi 2023-09-18 12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