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너는 못해도 나는 한다

묵상나눔 Navi Choi............... 조회 수 12 추천 수 0 2023.12.19 08:53:44
.........
너는 못해도 나는 한다"
욥기 41:1~34
<욥기>는 무고한 자의 고통을 주제로 하고 있습니다. 그는 자신에게 임한 고통을 근거로 하나님의 공의로우심을 의심합니다. 평소에 익숙하게 보아온 하나님의 모습이 아닙니다. 그는 자신의 삶에 간섭하는 하나님의 생소한 모습이 이 세계 전체에도 미치는가 의심하며 하나님의 공의로운 통치에 의문을 표시합니다. 하지만 욥은 하나님을 저주하고 죽는 패륜적 무신자가 되지 않았고 저항적 무신론자의 길을 걷지도 않습니다. 자신을 하나님의 대리자로 자처하며 욥에게 무조건 회개를 촉구하는 친구들의 백기투항 주문에 응하지도 않았습니다. 오히려 그동안 익숙하게 알았던 신학적 패턴과 다른 하나님의 통치 방식에 집요하리만큼 따져 묻고 항변하여 마침내 하나님의 대답을 이끌었습니다. 우리는 욥에게서 질문하지 않으면 답을 듣지 못한다는 평범한 진리를 배웁니다. 욥은 하나님을 의심하지만 우리는 욥의 신앙을 의심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나님은 하나님 신학을 꿰뚫는다고 자신하는 욥 친구들의 신학 밖에 존재하십니다. 도리어 무조건 주야장천 ‘하나님 옹호신학’을 주장하던 욥의 친구들은 책망을 넘어 단죄에 이릅니다.
욥이 시대뿐만 아니라 지금도 질문하는 신학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어른들의 전쟁에 아이들이 죽어가고, 강대국들의 욕심에 힘없는 나라 시민이 골탕을 먹습니다. 자본을 매개로 한 인간의 거대한 욕망이 사회 양극화를 영속하고 대기권의 기후 질서를 엉망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하여 미래 인류는 볼모가 되고 있습니다. 여전히 인종차별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이 존재합니다. 도시 속에 꿈틀거리는 욕망이 비인간화를 부채질합니다. 권력의 단맛을 본 늑대 무리가 세상을 자기 마음대로 쥐락펴락하고 싶어합니다. 지식과 정보는 보편화되는데 정의는 멀고 평화는 더 아득합니다. 하나님께 질문할 시점이 지나고 있습니다. 욥처럼 하나님의 공의로우심을 물어야 할 때입니다. 체제에 익숙하고 습관화된 인습적 신학의 틀로 하나님과 하나님의 섭리를 이해하려는 독선과 오만을 경계하여야 합니다. 하나님은 인류에게 질문하는 능력을 주셨습니다. 질문해야 할 때 꿀 먹은 벙어리처럼 침묵해서는 안 됩니다. 질문이 멈추면 대답도 중단됩니다.
“네가 낚시로 리워야단을 낚을 수 있으며, 끈으로 그 혀를 맬 수 있느냐?”(41:1) 하나님은 가공할 만한 리워야단의 위력을 예로 들며 욥에게 ‘할 수 없습니다’ 대답을 유도하십니다. 길들여 지지 않는 괴수, 정복할 수 없는 리워야단이 너무 강하고 무서워 그 앞에 욥은 무력을 경험할 뿐입니다. 자신에게 임한 고난 앞에 속수무책 당하기만 하는 욥의 모습입니다. 하나님을 대항하여 묻고 따지고 시시비비를 가리려는 욥의 자세를 따져 묻는 듯합니다. 하나님의 리워야단 담론의 핵심은 ‘나는 할 수 있다’에 있습니다. 욥이 할 수 없는 일을 하나님은 하십니다. 욥이 받는 고통과 인류가 당하는 재난과 부조리들을 하나님은 통제할 수 있습니다.
베헤못과 리워야단은 순치가 불가능한 괴수입니다. 오늘 이 땅에는 길들여지기를 거부하는 야수성의 인간들이 존재합니다. 우리 안에 있는 반역적 저항성일 수도 있습니다. 욥처럼 속수무책 당할 수밖에 없던 현상이지만 하나님은 하실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창조주권을 믿습니다.
주님, 베헤못과 리워야단 같은 순치할 수 없는 악이 이 땅에 가득합니다. 욥처럼 알 수 없는 이유로 고난에 처한 이들의 신음이 가득합니다. 하나님의 창조 주권을 믿으며 기도합니다. 이 땅과 저희를 구원하여 주십시오.
2023년 12월 19일(화)
411157988_24350836891197604_4364872802197117015_n.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14 걷는독서 [걷는독서] 가을은 짧아서 file 박노해 2023-10-01 30
12213 가족글방 명동촌과 동명촌 file Navi Choi 2023-10-01 35
12212 묵상나눔 경쟁자와 원수와 적 file Navi Choi 2023-10-01 34
12211 걷는독서 [걷는 독서] 우리 인생은 file 박노해 2023-09-30 19
12210 묵상나눔 처음과 나중 file Navi Choi 2023-09-30 31
12209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나에게 또 하루가 주어졌다는 게 file 박노해 2023-09-29 26
12208 묵상나눔 힘에 의한 평화’라고요? file Navi Choi 2023-09-29 36
12207 걷는독서 [걷는 독서] 새파란 하늘에 눈동자를 씻고 file 박노해 2023-09-28 26
12206 가족글방 왜 하느님(하늘님)이라 못하고 '하나님'이라고 하게 되었는지... 김요한 목사 2023-09-28 50
12205 묵상나눔 상수와 변수 file Navi Choi 2023-09-28 35
12204 광고알림 기독교인 결혼 배우자 만남 프로필 미팅 등록 안내 행복크리스천 2023-09-28 23
1220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아무리 시대가 그래도, file 박노해 2023-09-27 30
12202 묵상나눔 국제관계 file Navi Choi 2023-09-27 30
12201 걷는독서 [걷는 독서] 고귀한 뜻을 품어 file 박노해 2023-09-26 39
12200 묵상나눔 신앙의 역설 file Navi Choi 2023-09-26 29
12199 걷는독서 [걷는독서] 행복은 file 박노해 2023-09-25 22
12198 묵상나눔 왕이 할 일, 백성이 할 일 file Navi Choi 2023-09-25 32
12197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내 영혼에 file 박노해 2023-09-24 32
12196 묵상나눔 빈손의 기도 file Navi Choi 2023-09-24 37
12195 가족글방 섶-룡정 영국더기 file Navi Choi 2023-09-23 46
12194 걷는독서 [걷는 독서] 진실로 선한 사람은 file 박노해 2023-09-23 45
12193 묵상나눔 교회는 희망인가? file Navi Choi 2023-09-23 111
12192 걷는독서 [걷는 독서] 경이로움은 file 박노해 2023-09-22 62
12191 묵상나눔 법치주의 유감 file [1] Navi Choi 2023-09-22 37
12190 걷는독서 [걷는 독서] 고생과 역경 속에서 지켜온 것만이 file 박노해 2023-09-21 17
12189 묵상나눔 목표와 목적 file Navi Choi 2023-09-21 16
12188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나의 부족함을 알고 file 박노해 2023-09-20 8
12187 묵상나눔 제자리 제정신 file Navi Choi 2023-09-20 16
12186 무엇이든 [걷는 독서] 지고도 이기는 싸움이 있고 file 박노해 2023-09-19 15
12185 묵상나눔 성직 file Navi Choi 2023-09-19 13
12184 걷는독서 [걷는 독서] 익숙해지거나 안주하지 말며 file 박노해 2023-09-18 15
12183 걷는독서 [걷는 독서] 무언가를 하기 전에 file Navi Choi 2023-09-18 14
12182 묵상나눔 노동자의 자리 file Navi Choi 2023-09-18 12
12181 묵상나눔 예술가 히람 file Navi Choi 2023-09-17 14
12180 가족글방 연변대학 정문 앞 -개좋은 카페 file Navi Choi 2023-09-17 16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