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우리는 모두 과정에 있습니다

묵상나눔 Navi Choi............... 조회 수 32 추천 수 0 2023.12.25 10:07:30
.........
우리는 모두 과정에 있습니다
빌립보서 3:12~21
서양 역사에서 미술이 종교의 종노릇이나 하면서 명맥 유지하기를 천년이나 하던 때가 있었습니다. 이때 철학은 신학의 시녀 노릇을 하였고 교권은 세속권을 포함하였습니다. 이를 흔히 중세라고 하는데 이때 미술은 역동성도, 창작성도, 개성도 매우 미미하였습니다. 문맹률이 높던 시절이라 교회의 요청대로 교리적 가르침과 성경 이야기를 시각화하는 일이 고작이었습니다. 미술이 오랜 미몽에서 깨어날 수 있었던 것은 르네상스 때입니다. 인간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거나 가볍게 여겨온 중세와 교회의 권위에 균열이 생기면서 인간을 긍정의 눈으로 보고 개성을 강조하는 풍토가 생기기 시작하였습니다. 마땅히 교회가 해야 할 일이지만 교회는 인간을 음지에 가두고 싶어하였으니 본질을 배반하여 존재하는 종교성이 슬픕니다. 조화와 통일을 앞세운 르네상스는 세상에 불타올랐습니다. 다빈치와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같은 천재 예술가의 활동은 들불처럼 막힘이 없었습니다. 이때 비로소 미술은 예술이 되었고, 예술가는 창작자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영원할 것 같았던 르네상스도 저물기 시작하였습니다. 이어 등장한 미술사의 흐름이 바로크입니다. 바로크는 16세기 종교개혁으로 교인과 재산과 땅의 절반가량을 잃은 로마기톨릭교회의 반동종교개혁의 일환으로 시작하였습니다. 카라바조1571~1619는 로마가톨릭교회가 고대하던 화가였습니다. 빛과 명암의 극명한 대비를 통하여 연극의 정지된 화면처럼 묘사하여 사실감을 고조하였습니다. 베드로를 머리로 여기는 로마가톨릭교회는 카라바조에게 바울을 그리라고 요구하였고, 카라바조는 이에 성실히 부응하였습니다. 이는 루터와 칼뱅 등 종교개혁 진영에서 바울의 이신칭의 교리를 강조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이때 ‘카라바지스티’라 이름하는 카라바조의 추종자들이 생겨났습니다. 천재적인 예술가를 흠모하며 그를 모방하려는 경향은 자연스럽습니다.
종교개혁 성향이 강한 네덜란드에서 활동한 바로크의 거장 렘브란트는 자연스럽게 바울을 그렸습니다. 함께 작품 활동하며 예술적 영감을 주고받은 얀 리벤스1607~1674도 바울을 그렸습니다. 리벤스의 <사도 바울>1627~1629은 렘브란트의 작품과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구도와 화풍과 도상, 그리고 빛의 흐름이 유사합니다. 다만 렘브란트의 작품에 비하여 바울의 눈이 흐려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눈이 짓무를 정도로 어두운 감옥에서 쓴 편지들은 훗날 정경이 되어 인류 구원의 복음이 되었습니다. 리벤스의 상상력과 묘사력이 놀랍습니다.
“나는 이것을 이미 얻은 것도 아니며, 이미 목표점에 다다른 것도 아닙니다. 그리스도 [예수]께서 나를 사로잡으셨으므로, 나는 그것을 붙들려고 좇아가고 있습니다.”(3:12) 바울은 빌립보 교인들에게 자신을 본받으라고 말합니다(17). 그러면서 자신은 아직 완성에 이르지 못했다고 말합니다. 보통 사람이라면 자신의 미완성 상태를 감추고 완성에 이른 것처럼 과장하기 마련입니다. “형제자매 여러분, 나는 아직 그것을 붙들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내가 하는 일은 오직 한 가지입니다. 뒤에 있는 것은 잊어버리고, 앞에 있는 것을 향하여 몸을 내밀면서,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께서 위로부터 부르신 그 부르심의 상을 받으려고, 목표점을 바라보고 달려가고 있습니다.”(3:13~14) 살아있는 모든 인생은 완성에 이르지 못합니다. 과정에 있을 뿐입니다. 과정이 완성은 아니지만 시작 이전의 상태도 아닙니다.
주님, 모르면서도 아는 체하거나, 되지 못했으면서도 된 척하는 오만에 이르지 않도록 조심하겠습니다. 이미 저희 안에 거룩한 일을 시작하신 주님께서 완성에 이르는 일 역시 선히 이끄실 것을 믿습니다.
2023. 12. 25 성탄절
그림 : #얀_리벤스 <사도 바울> , 1627~1629, 캔버스에 유채, 119×108cm, 내셔널갤러리, 스톡홀롬
414133664_24388282104119749_6798209183300148722_n.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51 묵상나눔 file Navi Choi 2023-10-14 37
12250 걷는독서 [걷는 독서] 작아도 못나도 저마다 file 박노해 2023-10-13 34
12249 가족글방 장자는 대붕으로 살지 않고 뱁새나 두더지로 살겠다는 것이다 [1] 김홍한 목사 2023-10-13 57
12248 묵상나눔 악인의 끝 file [1] Navi Choi 2023-10-13 38
12247 걷는독서 [걷는 독서] 인생은 긴 호흡 file 박노해 2023-10-12 26
12246 묵상나눔 희망 file Navi Choi 2023-10-12 34
12245 걷는독서 [걷는 독서] 태풍 속을 걸어온 열매들이 file 박노해 2023-10-11 26
12244 묵상나눔 힘의 평화와 평화의 힘 file Navi Choi 2023-10-11 31
12243 가족글방 평화란? 김요한 목사 2023-10-11 32
12242 걷는독서 [걷는 독서] 인생 전체에 쓸모있는 file [1] 박노해 2023-10-10 25
12241 묵상나눔 이 또한 지나가리라 file Navi Choi 2023-10-10 25
12240 가족글방 왜 이스라엘은 타협을 모를까? 김홍한 목사 2023-10-10 31
12239 걷는독서 [걷는 독서] 지혜로운 말과 file 박노해 2023-10-09 22
12238 걷는독서 [걷는 독서] 슬픔도 아픔도 그림자처럼 동행하며 file 박노해 2023-10-09 20
12237 가족글방 고마리 file Navi Choi 2023-10-09 21
12236 묵상나눔 거룩의 공동화 현상 file Navi Choi 2023-10-09 22
12235 묵상나눔 슬픈 사명자 file Navi Choi 2023-10-09 25
12234 가족글방 섶-혈연의 강은 흐르는가? 멈추는가? file Navi Choi 2023-10-08 35
1223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천 년의 올리브나무가 이르기를 file 박노해 2023-10-07 35
12232 묵상나눔 말씀에 속지 말아야 file Navi Choi 2023-10-07 46
12231 걷는독서 [걷는 독서] 작지만 오롯한 file 박노해 2023-10-06 29
12230 묵상나눔 남쪽 사람의 북쪽 사역 Navi Choi 2023-10-06 36
12229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내 사랑은 오래 익어왔다 file 박노해 2023-10-05 36
12228 묵상나눔 남북공동성명 file Navi Choi 2023-10-05 32
12227 걷는독서 [걷는 독서] 성실하고 부드럽고 끈질긴 걸음으로 file 박노해 2023-10-04 26
12226 광고알림 미션 글로리 바이블 App이 이번 달에 출시될 예정 file 미션엔컴 2023-10-04 34
12225 광고알림 (106기) 전인치유학교 / 2023년 11월 6일(월, 오후 1시) ~ 7일(화, 오후 5시) 주님사랑 2023-10-04 18
12224 묵상나눔 싸우지 말아라 file Navi Choi 2023-10-04 31
12223 걷는독서 [걷는 독서] 구멍 나고 주름 깊은 file 박노해 2023-10-03 22
12222 광고알림 종교개혁 인문학 강좌 안내 file 김홍한 목사 2023-10-03 11
12221 묵상나눔 간신 Navi Choi 2023-10-03 14
12220 가족글방 0.01초 빨랐던 승리의 세레머니 file 조병수 목사 2023-10-03 9
12219 가족글방 행위의 중요성을 가볍게 여기는 그리스도인들 고재봉 목사 2023-10-03 13
12218 가족글방 샤베타이 제비 메시야 사건 김홍한 목사 2023-10-03 22
12217 가족글방 언론과 금력 김홍한 목사 2023-10-03 11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