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믿음의 선진

묵상나눔 Navi Choi............... 조회 수 46 추천 수 0 2023.12.31 07:29:40
.........
믿음의 선진
시편 99:1~9
12월 기준으로 42년 만에 서울에 많은 눈이 내렸다는 어제, 북향 청년으로 구성된 작은 모임 디아스포라미션팀에서 《장기려 평전》을 쓴 지강유철 선생을 모시고 ‘장기려, 일치와 화해의 몸짓, 그 한길’을 들었습니다. 우리 시대에 ‘장기려’라는 반듯하고 의로운 위인이 존재하였다는 사실이 얼마나 고마운지를 새삼 느끼는 시간이었습니다. 차분히 이야기하는 지강 선생에게서 가끔 자신과 장기려가 하나 된 듯, 가슴 속 내면에서 치솟는 뜨거운 감정을 삼키는 모습도 보았는데 강의를 마친 후 참석자들 역시 장기려와 하나 된 듯, 모두 얼굴이 상기되어 있음을 보았습니다. 앞 시대를 산 한 위인의 삶이 다음 시대를 살아갈 이들에게 주는 응원과 격려가 여간 고마운 게 아니었습니다. 평소에 김일성과 공산당을 위하여서는 기도하지 않았던 장기려가 1983년 10월 9일에 있었던 아웅산 테러 사건으로 부총리와 장관 등 17명이 사망한 일을 겪으면서 그들을 용서하고 기도하지 못한 일을 크게 뉘우치고 민족의 일치와 화해를 위해 더욱 간절한 마음으로 임했다는 이야기를 들으며 민족의 갈등이 증폭되고 평화가 요원해지는 이 시점에 그리스도인이 가져야 할 자세가 무엇인지를 가늠하였습니다. 장기려의 마음으로, 장기려의 행동으로, 장기려를 넘어서 사는 길을 배우는 시간이었습니다. 펑펑 내리는 눈은 장기려를 배운 이들에게 내리는 은총같았습니다. 이스라엘에는 모세와 아론과 사무엘이 있었습니다. “그의 제사장 가운데는 모세와 아론이 있으며, 그 이름을 부르는 사람 가운데는 사무엘이 있으니, 그들이 주님께 부르짖을 때마다, 그분은 응답하여 주셨다.”(99:6) 이스라엘 역사에 이런 위인이 있었다는 사실은 그 마음을 품고 살아가는 이들에게 더 없는 격려와 응원이었습니다. 그들은 욕망에 복무하지 않았습니다. 거룩을 추구하며 세속에 맞섰습니다.
시편 99편은 주님의 왕되심을 노래하는 시편 93, 95~98편의 결론에 해당합니다. 특히 시편 89:38에서 “주님은, 주님께서 기름을 부어서 세우신 왕에게 노하셨습니다. 그를 물리치시고 내버리셨습니다”며 다윗 언약의 실패와 다윗 왕조의 붕괴를 기정사실로 인정한 말씀에 대한 모세 관점의 해명처럼 보입니다. 레위기의 주제인 ‘거룩’이 세 번이나 반복(3,5,9)되며 강조되는 이유도 모세 관점의 신정신학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사무엘 역시 이스라엘 백성이 이웃 나라들처럼 왕을 강력히 요구할 때 하나님으로부터 “이는 그들이 너를 버림이 아니요 나를 버려 자기들의 왕이 되지 못하게 함이니라”(삼상 8:7) 말씀을 들은 당사자입니다. 모세와 아론과 사무엘은 성전과 왕정 등 제도가 있기 전에 이미 하나님의 통치를 실현하였던 당사자들입니다. 하나님은 인간 왕정의 존재 유무와 상관없이 언제나 이스라엘의 왕이십니다.
“주 우리 하나님, 주님께서 그들에게 응답해 주셨습니다. 그들이 한 대로 갚기는 하셨지만, 주님은 또한, 그들을 용서해 주신 하나님이십니다.”(99:8) 하나님은 악행을 반복하는 이에게 죗값을 물으시므로 자신의 거룩함을 드러내십니다. 용서하시는 하나님은 허물을 못 본 체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를 포기하지 않으시는 호의입니다. 어느 인생도 주님의 은혜가 필요치 않은 완벽한 인생은 없습니다.
주님, 저희에게 좋은 믿음의 선진들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밝히 헤아려 그 모범을 따르고 싶습니다. 용서하시는 하나님의 뜻을 헤아려 이를 설천하고 살 능력 주시기를 간청합니다.
2023. 12. 31 주일
415533074_24424775407137085_4974145802257252976_n.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14 걷는독서 [걷는 기도] 어떤 높이에서 file 박노해 2024-01-23 28
12513 무엇이든 성공한 사람들은 집에 오자 100% 이것 한다 file Jo Han 2024-01-23 38
12512 묵상나눔 ‘그러므로’와 ‘그러나’ file Navi Choi 2024-01-23 35
12511 걷는독서 [걷는 독서] 이 시린 겨울이 있기에 file 박노해 2024-01-22 35
12510 가족글방 [미술관옆 예배당] 조롱당하는 졸라 file Navi Choi 2024-01-22 33
12509 묵상나눔 역사의 교훈 file Navi Choi 2024-01-22 38
12508 걷는독서 [걷는 기도] 끝맺지 못한 어떤 일은 file 박노해 2024-01-21 29
12507 묵상나눔 지도자 file Navi Choi 2024-01-21 28
12506 걷는독서 [걷는 기도] 가장 좋은 카메라는 file 박노해 2024-01-20 35
12505 묵상나눔 땅을 빼앗기지 않으려면… file Navi Choi 2024-01-20 29
12504 걷는독서 [걷는 독서] 좋은 일을 한다고 해서 file 박노해 2024-01-19 43
12503 묵상나눔 망각과 기억 file Navi Choi 2024-01-19 37
12502 걷는독서 [걷는 독서] 누구나 자신이 뜻하지 않은 file 박노해 2024-01-18 24
12501 묵상나눔 희망 file Navi Choi 2024-01-18 23
12500 칼럼수필 서울의 봄’과 ‘그리스도의 봄 이의용 장로 2024-01-18 29
12499 걷는독서 [걷는 독서] 그저 단순한 것이 아니라 file 박노해 2024-01-17 31
12498 광고알림 (구정 축복) 전인치유학교 / 2024년 2월 12일 (월, 오전 10시-오후 5시) file 주님사랑 2024-01-17 26
12497 묵상나눔 올가미 file [1] Navi Choi 2024-01-17 27
12496 가족글방 [주사랑 꽃사랑] 교회 안에서의 삶은... file [1] 김영배 2024-01-17 26
12495 걷는독서 [걷는 독서] 악을 모르는 선이 아니라 file 박노해 2024-01-16 25
12494 묵상나눔 연약함, 사랑의 이유 file Navi Choi 2024-01-16 26
1249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세상의 변화를 원한다면 file 박노해 2024-01-15 30
12492 묵상나눔 유산 file Navi Choi 2024-01-15 32
12491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나는 살아왔다 file 박노해 2024-01-14 44
12490 묵상나눔 쉐마 이스라엘 file Navi Choi 2024-01-14 49
12489 걷는독서 [걷는 독서] 진실한 대화란 file 박노해 2024-01-13 42
12488 묵상나눔 돌판에 새긴 말씀 file Navi Choi 2024-01-13 41
12487 가족글방 먹는대로 살아간다 최주훈 목사 2024-01-13 79
12486 가족글방 기독교도 처음에는 평화의 종교였다 김홍한 목사 2024-01-13 50
12485 걷는독서 [걷는 독서] 거대한 힘을 갖게 되면 file 박노해 2024-01-12 37
12484 묵상나눔 십계명, 그 한 길 file Navi Choi 2024-01-12 41
1248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좋은 것은 주고픈 것 file 박노해 2024-01-11 43
12482 묵상나눔 중간에 선 자 file Navi Choi 2024-01-11 32
12481 걷는독서 [걷는 독서] 펜은 총과 같아 file 박노해 2024-01-10 22
12480 묵상나눔 영적 지방분권 file Navi Choi 2024-01-10 28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