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돌판에 새긴 말씀

묵상나눔 Navi Choi............... 조회 수 41 추천 수 0 2024.01.13 20:35:08
.........
돌판에 새긴 말씀
신명기 5:22~33
처음 신학교 들어가 공부를 시작할 때만 해도 모세오경은 주전 15세기 모세에 의하여 기록되었다고 배웠습니다. 이를 부정하거나 의심하면 벼락을 맞거나 천국이 취소될 만큼 큰일 나는 줄 알았습니다. 한국교회 최초의 신학논쟁이 김재준(1901~1987)과 박형룡(1897~1978)에 의하여 매우 격렬하게 펼쳐졌고 김재준은 1953년 제38회 장로회 총회에서 목사직에서 파면되었음을 알기 때문입니다. 일본 아오야 마학원 신학부를 마친 후 미국 프린스톤신학교, 그리고 웨스턴신학교에서 구약학을 전공한 김재준은 <신학지남>(1934, 제73호)에 ‘이사야의 임마누엘 예언 연구’에서 축자영감설에 의문을 제기하였고, 일본 간사이학원 신학부 출신의 남대문교회 김영주 목사도 모세의 오경 저작을 의심하였습니다. 보수적인 한국교회는 이런 신학 행위를 용납하지 않았습니다. 자유주의 신학을 배척하고 그런 신학자를 축출하였습니다. 그런 교회가 1938년에 신사참배를 종교의식이 아니라 국가 의례로 수용하였다는 사실은 부끄럽고 슬픈 일입니다.
이즈음에 드는 의문이 있습니다. 유달리 한국교회는 신학 성향이 극명하게 보수와 진보로 갈린다는 점입니다. 둘 사이에 대화는커녕 대결만 일삼았습니다. 조화는 기대할 수도 없습니다. 서로 못 잡아먹어서 안달입니다. 상대를 무시하고 적대시합니다. 보수주의 신학자는 자유주의와 싸운 것을 자랑하고, 자유주의 신학자는 보수주의에 맞선 것을 뽐냅니다. 그렇게 지내기를 100년이나 되었습니다. 지금도 신학교에서 선생 것을 판박이처럼 베껴 공부한 교회 지도자들은 학문의 자율성과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신학도 학문의 범주에 있는 만큼 연구 방법에 따라 결과물이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면 신학은 훨씬 풍요로워지고, 오늘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와 갈등에 대하여 진지하고 진일보한 답을 내어놓을 수 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큽니다.
하나님은 십계명을 돌판에 새겨 주셨습니다. 하지만 읽을 때는 부드러운 마음으로 읽어야 합니다. <출애굽기>의 십계명과 <신명기>의 십계명은 미세한 차이가 있습니다. 만일 ‘어느 것이 참이냐’로 논쟁한다면 <출애굽기>나 <신명기> 중 하나는 가짜여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그렇게 칼로 무를 자르듯 할 수는 없습니다. 도리어 약간 다른 점이 있어서 십계명에 담겨있는 하나님의 뜻을 넓게 이해할 수 있고, 해석의 다양성과 적용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전에는 다음 같은 까칠한 생각도 들었습니다. 돌판에 새긴 십계명은 히브리어로 기록되었을까? 아니면 이집트어였을까? 그도 아니면 제3의 언어였을까? 주전 15~10세기에 히브리어가 과연 존재하였을까? 우리는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게 더 많습니다. 모르면서 아는 척하면 완고하고 경직되기 마련입니다. 성경을 열심히 읽고 그 의미를 바르게 알려고 노력해야 하지만 인간의 이성으로 하나님의 계시를 다 안다는 것은 인간이 하나님보다 위대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합니다. 성경을 모른다고 주눅들 필요는 없습니다. 모르면 모르는 대로 훗날을 기약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님, 성경을 평생 읽어왔지만 모르는 부분이 더 많습니다. 아는 척 나대지 않겠습니다. 다만 그 뜻을 부지런히 찾고, 더 부지런히 가르침에 순종하기를 원합니다.
2024. 1. 13 토
418551101_24508318628782762_6255298232832717730_n.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96 가족글방 [주사랑 꽃사랑] 교회 안에서의 삶은... file [1] 김영배 2024-01-17 26
12495 걷는독서 [걷는 독서] 악을 모르는 선이 아니라 file 박노해 2024-01-16 25
12494 묵상나눔 연약함, 사랑의 이유 file Navi Choi 2024-01-16 26
1249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세상의 변화를 원한다면 file 박노해 2024-01-15 30
12492 묵상나눔 유산 file Navi Choi 2024-01-15 32
12491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나는 살아왔다 file 박노해 2024-01-14 44
12490 묵상나눔 쉐마 이스라엘 file Navi Choi 2024-01-14 50
12489 걷는독서 [걷는 독서] 진실한 대화란 file 박노해 2024-01-13 42
» 묵상나눔 돌판에 새긴 말씀 file Navi Choi 2024-01-13 41
12487 가족글방 먹는대로 살아간다 최주훈 목사 2024-01-13 79
12486 가족글방 기독교도 처음에는 평화의 종교였다 김홍한 목사 2024-01-13 50
12485 걷는독서 [걷는 독서] 거대한 힘을 갖게 되면 file 박노해 2024-01-12 37
12484 묵상나눔 십계명, 그 한 길 file Navi Choi 2024-01-12 42
1248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좋은 것은 주고픈 것 file 박노해 2024-01-11 43
12482 묵상나눔 중간에 선 자 file Navi Choi 2024-01-11 32
12481 걷는독서 [걷는 독서] 펜은 총과 같아 file 박노해 2024-01-10 22
12480 묵상나눔 영적 지방분권 file Navi Choi 2024-01-10 28
12479 걷는독서 [걷는 독서] 겨울을 뚫고 다시 피어날 file 박노해 2024-01-09 36
12478 걷는독서 [걷는 독서] 하늘이 하는 일은 더디어 보여도 file 박노해 2024-01-09 39
12477 걷는독서 [걷는 독서] 갈라지고 날카로운 세상에 file 박노해 2024-01-09 33
12476 묵상나눔 두 주인 사이에서 file Navi Choi 2024-01-09 41
12475 가족글방 하나님은 모든 이를 사랑하신다고? file 김홍한 목사 2024-01-09 37
12474 묵상나눔 규례와 법도 file Navi Choi 2024-01-08 27
1247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오래오래 그리워하며 file 박노해 2024-01-06 54
12472 묵상나눔 국가 건설 file Navi Choi 2024-01-06 35
12471 걷는독서 [걷는 독서] 불만에 불을 지르는 건 file 박노해 2024-01-05 78
12470 묵상나눔 진심 file [1] Navi Choi 2024-01-05 43
12469 걷는독서 [걷는 독서] 체념이 아닌 단념으로 file 박노해 2024-01-04 34
12468 묵상나눔 다투지 말아라 file Navi Choi 2024-01-04 30
12467 걷는독서 [걷는 독서] 자신의 자리에 file 박노해 2024-01-03 32
12466 묵상나눔 지도자론 file Navi Choi 2024-01-03 23
12465 걷는독서 [걷는 독서] 더 깊이 사유하고 file 박노해 2024-01-02 24
12464 묵상나눔 거룩한 목표일수록… file Navi Choi 2024-01-02 32
1246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첫 마음 file 박노해 2024-01-01 37
12462 묵상나눔 온고지신 file Navi Choi 2024-01-01 42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