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두 화가의 복

묵상나눔 Navi Choi............... 조회 수 19 추천 수 0 2024.04.13 22:05:29
.........
두 화가의 복
신명기 28:1~14
화가 가운데 성공한 사람을 한 사람 꼽으라면 바로크의 대가 페테르 파울 루벤스(1577~1640)를 말할 수 있습니다. 그는 플랑드르의 안트베르펜에 작업실을 두고 로마가톨릭교회의 반동종교개혁 선봉에서 교회를 보호하고 역동성과 관능미가 어우러진 환상적인 작품을 그렸습니다. 그의 부친 장 루벤스는 안트베르펜의 법률가였습니다. 신실한 칼뱅주의자이기도 한 아버지는 에스파냐의 알바 공작 때에 핍박을 피해 독일 쾰른으로 피난갔다가 거기서 죽었습니다. 루벤스는 3살 되던 해에 어머니와 안트베르펜으로 돌아와 로마가톨릭교회가 운영하는 학교에 다니며 훗날 그의 미술 세계의 근간이 되는 라틴어와 고전 문학 등 인문학을 배웠습니다. 14살 때부터 미술 수업을 받기 시작하였는데 르네상스 화가인 라파엘로(1483~1520)와 북유럽 르네상스 화가인 한스 홀바인(1497~1543), 그리고 판화가 마르칸토니오 레이몬디(1480~1534)의 작품을 모작하면서 공부하였습니다.
23살이 되던 해에 미술의 고향 이탈리아를 여행하며 다빈치와 미켈란젤로뿐만 아니라 티치아노(1490~1576)와 틴토레토(1518~1594), 카라바조(1571~1610)의 미술에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그는 만토바의 공작 빈첸초 1세(1562~1612)의 총애를 받으며 피렌체와 로마를 방문하기도 하였고 1603년에는 빈첸초 1세의 외교 사절로 에스파냐를 방문하기도 하였습니다. 1608년까지 로마에 머물면서 그는 로마에서 가장 유명한 화가 가운데 한 사람으로 성장하였습니다. 1608년 어머니가 위중하다는 소식을 듣고 안트베르펜으로 돌아온 후 미술에 전념하였습니다. 안트베르펜 성모 마리아 대성당의 제단화인 그의 작품 <십자가에 달리시는 그리스도>(1610)와 <십자가에서 내리는 그리스도>(1611~1614)는 훗날 영국 소설가 위다의 <플랜더스의 개>에 등장하기도 하였습니다. 메디치가의 프랑스 왕비 마리 드 메디시스( 1573~1642)의 요청으로 그녀의 남편 앙리 4세의 삶을 묘사하는 작품을 그리기도 하였습니다. 루벤스는 에스파냐의 펠리페 4세와 영국의 찰스 1세로부터 기사 칭호를 부여받은 영예로운 외교관이기도 하였습니다.
루벤스와 견줄만한 동시대의 네덜란드 화가로 바로크의 거장 렘브란트(1606~1669)가 있습니다. 그는 해외에서 활동한 경력은 없지만 예술 분야에서 네덜란드 황금시대를 불러온 화가로서 서양 미술사에서 가장 위대한 화가입니다. 그의 모친은 로마가톨릭교회 신자였으나 렘브란트는 개혁교회 신자였습니다. 당시 네덜란드에서 개혁교회 신자로서 화가의 길을 걷는 일은 밥벌이하기도 어려운 시대였습니다. 칼뱅주의 영향으로 교회는 성상을 제거하였고, 미술의 주 소비층인 교회가 미술 구매를 하지 않으므로 천재 화가의 비운은 현실이 되었습니다. 게다가 아내와 자녀들의 죽음이 이어졌고 파산에 이르기까지 경제가 궁핍하였습니다. 하지만 렘브란트의 예술혼은 어둠 속에서도 빛났습니다.
“당신들이 주 당신들의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면, 이 모든 복이 당신들에게 찾아와서 당신들을 따를 것입니다.”(28:2)
두 천재 화가의 삶이 판이함을 보며 주님의 말씀이 생경합니다.
주님, ‘주님의 말씀을 듣고 지키고 행하면 복이 임한다’는 말씀을 의심하지 않습니다만 현실에서 주님의 말씀을 실천하다가 고난에 처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현실의 축복 그 너머의 은총을 바라보는 믿음을 주십시오.
2024. 4. 13 토
436237137_25167602586187693_8509946064976964633_n.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06 걷는독서 [걷는 독서] 미래를 말하며 file 박노해 2024-04-09 9
12705 묵상나눔 하나님의 확증편향성 file Navi Choi 2024-04-09 4
12704 가족글방 [미술관옆 예배당] 대파 한단 값 file Navi Choi 2024-04-09 10
12703 걷는독서 [걷는 독서] 미래를 말하며 file 박노해 2024-04-08 7
12702 묵상나눔 이자놀이 file Navi Choi 2024-04-08 7
12701 걷는독서 [걷는 독서] 난 일생을 다해 여기까지 왔으니 file 박노해 2024-04-07 10
12700 묵상나눔 미움과 선의 사이 file Navi Choi 2024-04-07 10
12699 광고알림 기독교인 결혼 배우자 만남 온라인 프로필 미팅 등록 안내, 기독교인 크리스 이은혜 2024-04-06 145
12698 걷는독서 [걷는 독서] 언 땅을 뚫고 피어나는 새싹처럼 file 박노해 2024-04-06 10
12697 광고알림 복음과 민족을 생각하는 -북산역사학교 file Navi Choi 2024-04-06 10
12696 묵상나눔 정의의 실현과 약자 보호 file Navi Choi 2024-04-06 6
12695 걷는독서 [걷는 독서] 작은 씨앗 속에 file 박노해 2024-04-05 8
12694 묵상나눔 못 본 체하지 말라 file Navi Choi 2024-04-05 14
1269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악은 선과 정의보다 file 박노해 2024-04-04 10
12692 묵상나눔 장자 상속 file Navi Choi 2024-04-04 13
12691 걷는독서 [걷는 독서] 세상의 한가운데서 file 박노해 2024-04-03 12
12690 묵상나눔 법과 원칙 file Navi Choi 2024-04-03 12
12689 걷는독서 [걷는 독서] 이런 시대에 시를 쓰는 건 file 박노해 2024-04-02 12
12688 묵상나눔 도피성 file Navi Choi 2024-04-02 14
12687 걷는독서 [걷는 독서] 길 잃은 날엔 file 박노해 2024-04-01 9
12686 묵상나눔 예언자 file Navi Choi 2024-04-01 6
12685 걷는독서 [걷는 독서] 울음이야말로 복음이다 file 박노해 2024-03-31 13
12684 묵상나눔 여인들 file Navi Choi 2024-03-31 11
12683 광고알림 기독교인 결혼 배우자 만남 온라인 프로필 미팅 등록 안내, 기독교인 행복크리스찬 2024-03-31 9
12682 가족글방 [주보시] 그가 죽으셨습니다 쿠바인 2024-03-30 12
12681 걷는독서 [걷는 독서] 겨우내 움츠렸던 file 박노해 2024-03-30 14
12680 묵상나눔 버림받으시다 file Navi Choi 2024-03-30 7
12679 걷는독서 [걷는 독서] 인류의 가장 중요한 유산은 이야기다 file 박노해 2024-03-29 11
12678 묵상나눔 침묵 file Navi Choi 2024-03-29 9
12677 걷는독서 [걷는 독서] 단 한마디의 꽃같은 말을 피우기 위해 file 박노해 2024-03-28 11
12676 묵상나눔 무지한 군중 file Navi Choi 2024-03-28 8
12675 걷는독서 [걷는 독서] 순수한 사랑은 file 박노해 2024-03-27 10
12674 묵상나눔 무지한 군중 file Navi Choi 2024-03-27 7
1267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사건의 출처가 되고자 앞다투며 file 박노해 2024-03-26 12
12672 묵상나눔 배신 file Navi Choi 2024-03-26 10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