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토사구팽

묵상나눔 Navi Choi............... 조회 수 8 추천 수 0 2024.04.23 21:09:25
.........
토사구팽
신명기 32:15~33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고난의 광야 길을 걷는 동안 그들에게 하나님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였습니다. 하나님 없는 이스라엘은 상상할 수 없습니다. 출애굽의 시작도 하나님이셨고 과정도 하나님이셨으며 완성도 하나님이십니다. 그런데 그들이 가나안에 이른 후에는 달라졌습니다. 삶이 윤택해지고 선택할 자유의 폭이 넓어졌습니다.
“이스라엘은 부자가 되더니, 반역자가 되었다. 먹거리가 넉넉해지고, 실컷 먹고 나더니, 자기들을 지으신 하나님을 저버리고, 자기들의 반석이신 구원자를 업신여겼다.”(32:15)
배가 부르고 평안해지니까 하나님이 거추장스러워지기 시작했습니다. 주권자를 버리는 행위는 자신의 출생을 부정하는 일입니다. 영락없는 감탄고토(甘呑苦吐)이고, 토사구팽(兔死狗烹)입니다. 토끼를 사냥한 후 쓸모없어진 사냥개를 주인이 삶아 먹는 이치와 다름없습니다. 문제는 과연 하나님이 쓸모없어진 사냥개 같은 존재인가 하는 점입니다. 하나님은 광야 여정에서도 절실한 분이셨지만 정착 생활에서도 없어서는 안 될 분입니다. 하나님은 위기의 때에만 잠깐 등장하는 구원투수가 아닙니다.
진짜 위기는 역경의 때에 오기보다 순풍의 때에 옵니다. 가난할 때보다 부요할 때 옵니다. 아무 힘도 없을 때보다 작은 힘이라도 갖추고 자랑하고 싶을 때 찾아옵니다. 그러므로 “서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넘어지지 않도록 조심하십시오.”(고전 10:12)는 바울의 가르침에 귀를 기울여야 합니다. 개인적으로도, 가정적으로도, 그리고 민족적으로도 그렇습니다. 가난을 극복하기 위하여 한마음이 되어 고군분투한 부부가 안락함이 찾아오면 균열이 생기기 십상이며, 신사참배를 거부하며 버텨온 교회가 해방 후 분열의 길을 치달린 것도 같은 이치입니다. 일제강점기 엄혹한 시절에 굶어 죽을 각오, 얼어 죽을 각오, 맞아 죽을 각오로 독립운동에 앞장섰던 애국지사들이 해방이 되자 권력을 차지하려고 고난을 함께 한 어제의 동지를 적으로 간주하는 일도 있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보자면 “고난을 당한 것이, 내게는 오히려 유익하게 되었습니다. 그 고난 때문에, 나는 주님의 율례를 배웠습니다.”(시 119:71)는 시편 기자의 고백이 절절합니다.
“내가 온갖 재앙을 그들에게 퍼붓고, 나의 화살을 모조리 그들에게 쏘겠다. 나는 그들을 굶겨서 죽이고, 불 같은 더위와 열병으로 죽이고, 짐승의 이빨에 찢겨서 먹히게 하고, 티끌 속을 기어 다니는 독사의 독을 그들에게 보내겠다. 바깥에서는 칼에 맞아 죽고, 방 안에서는 놀라서 죽으니, 총각과 처녀, 젖먹이와 노인, 모두가 다 같은 꼴을 당할 것이다.”(32:23~25)
주님의 분노가 하늘을 찌릅니다. 그러나 주님은 곧 평정심을 되찾으십니다. 천만다행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주님의 은혜만이 살길입니다.
“원수들이 자랑하는 것을 내가 차마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나 주가 내 백성을 징벌한 것인데도, 원수들은 마치 저희의 힘으로 내 백성을 패배시킨 것처럼 자랑할 터이니, 그 꼴이 보기가 싫어서 내가 내 백성을 전멸시키지는 않았다.”(32:27)
주님, 은혜가 아니면 설 수 없는 죄인임을 다시 자각합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주님의 은총만을 앙망합니다.
2024년 4월 23일(화)437554893_25241359115478706_6560004452901133177_n.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76 묵상나눔 현상과 인식 file Navi Choi 2024-05-03 9
12775 가족글방 아가페 사랑나눔공동체 소망의기도 주안에있는 2024-05-03 10
12774 걷는독서 [걷는 독서] 시詩가 나에게로 다가오기를 file 박노해 2024-05-02 7
12773 묵상나눔 길라잡이와 X맨 file Navi Choi 2024-05-02 4
12772 가족글방 [봉도사의 아침 풍경] 내 이름은 노동자 [1] 이기봉 목사 2024-05-02 11
12771 걷는독서 [걷는 독서] 평온한 저녁을 위하여 file 최용우 2024-05-01 13
12770 묵상나눔 노동을 그린 화가들-노동을 설교하지 않는 목사들 file Navi Choi 2024-05-01 11
12769 묵상나눔 사명 file Navi Choi 2024-05-01 8
12768 걷는독서 [걷는 독서] 문제를 문제로 file 박노해 2024-04-30 10
12767 묵상나눔 창조 세계 살기 file Navi Choi 2024-04-30 7
12766 걷는독서 [걷는 독서] 조금 느리더라도 박노해 2024-04-29 9
12765 묵상나눔 바다 file Navi Choi 2024-04-29 8
12764 가족글방 [봉선생의 아침 풍경] 저런 저런 [1] 이기봉 목사 2024-04-29 11
12763 가족글방 [봉선생의 저녁 풍경] 김치찌개와 엄마 이기봉 목사 2024-04-28 9
12762 가족글방 [주보시] 주님을 압니다! 쿠바인 2024-04-28 10
12761 걷는독서 [걷는 독서] 삶은, 짊어진 무게만큼 file 박노해 2024-04-28 8
12760 묵상나눔 계시와 거룩-기독교와 종교는무엇이 다른가? Navi Choi 2024-04-28 8
12759 묵상나눔 인생 file Navi Choi 2024-04-28 12
12758 걷는독서 [걷는 독서] 수많은 길을 기웃기웃해도 file 박노해 2024-04-27 10
12757 묵상나눔 신의 인간관, 인간의 신관 file Navi Choi 2024-04-27 6
12756 걷는독서 생기 찬 사람에게는 file 박노해 2024-04-26 12
12755 묵상나눔 영원한 청년 file Navi Choi 2024-04-26 8
12754 광고알림 기독교인 결혼 배우자 만남 온라인 프로필 미팅 등록 안내, 기독교인 크리스챤 미혼청년싱글결혼 배우자 만남의 장 행복크리스찬 2024-04-26 4
1275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지나간 꽃시절 file 박노해 2024-04-25 12
12752 묵상나눔 생각하는 사람_생각 없는 그리스도인 file Navi Choi 2024-04-25 12
12751 묵상나눔 보물 file Navi Choi 2024-04-25 6
12750 걷는독서 [걷는 독서] 오늘 비록 앞이 안 보인다고 file 박노해 2024-04-24 14
12749 묵상나눔 모세의 길 file Navi Choi 2024-04-24 8
12748 무엇이든 아담과 게놈 file 김요한 목사 2024-04-24 17
12747 걷는독서 [걷는 독서] 좋은 책은 하나의 위대한 건축이다 file 박노해 2024-04-23 11
» 묵상나눔 토사구팽 file Navi Choi 2024-04-23 8
12745 가족글방 후배 목사들을 보면 마음이 무거울 때가 많다. 김홍한 목사 2024-04-23 14
12744 걷는독서 [걷는 독서] 시간이 짧아 초조하다 file 박노해 2024-04-22 14
12743 묵상나눔 애국가 file Navi Choi 2024-04-22 10
12742 무엇이든 이제 한국 교회는 개혁할 때 입니다./크리스챤신문 칼럼 김상호 목사 2024-04-22 13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