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바다

묵상나눔 Navi Choi............... 조회 수 8 추천 수 0 2024.04.29 21:21:06
.........

바다

시편 104:1~18
주전 6세기 이전의 고대 그리스는 신화가 아니면 아무것도 설명할 수 없는 시대였습니다. 당시 그리스인들은 인간 만사를 신화와 전설로 설명하였습니다. 신들은 인간의 모습을 하고 인간처럼 욕망하는 존재였습니다. 이런 세상에서 신화와 종교 외의 것으로 인생을 설명하려는 이들이 등장하였습니다. 이들을 ‘철학자’라고 합니다. 신화와 종교에서 벗어나서 자연을 의식하고 이성의 기능을 통하여 인간이 어떤 존재인지를 찾고자 노력하였습니다. 그들은 우주의 기원과 인간 역사의 원리에 대하여 생각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를 ‘아르케’라고 하는데 밀레토스에 살던 탈레스(주전 624~ 주전 546)가 만물의 근원을 ‘물’이라고 규정하였습니다. 육지가 물 위에 떠있다는 당시 세계관에 기반하였으나 철학적 사유에 의하여 보편자로서 아르케, 즉 만물의 원리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이때부터 경험 너머의 궁극적 본성에 대하여 탐구하는 일이 시작되었습니다. 비이론적이며 비체계적이고 비합리적인 신화의 세계를 객관화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래서 탈레스를 철학의 아버지라고 부릅니다.
성경에서 물은 양면성을 가진 물질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물은 생명의 원천입니다. 물이 있어 가축들이 자라고 식물은 열매를 맺고 사람에게는 기름과 포도주를 제공하여 즐거움을 누리게 합니다. 만일 물이 없다면 인생은 곤고하고 괴로울 것이 뻔합니다.
“주님은, 골짜기마다 샘물이 솟아나게 하시어, 산과 산 사이로 흐르게 하시니, 들짐승이 모두 마시고, 목마른 들나귀들이 갈증을 풉니다. 하늘의 새들도 샘 곁에 깃들며, 우거진 나뭇잎 사이에서 지저귑니다. 누각 높은 곳에서 산에 물을 대주시니, 이 땅은 주님께서 내신 열매로 만족합니다.”(104:10~13)
물에 대한 성경의 언급은 부정적인 면도 있습니다. 태초에 하나님의 영은 물 위에 움직이셨습니다(창 1:2). 당시 세상은 뭍이 물에 갇혀있는 상태였습니다. 하나님은 창조의 셋째 날에 물에 잠긴 육지를 드러내시고 이를 ‘땅’이라고 하셨고, 모인 물을 ‘바다’라고 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 행위를 매우 흡족해하셨습니다. 그리고 땅에 생명을 허락하셨고, 여섯째 날에는 가축과 짐승, 그리고 창조 세계를 관리하고 다스리는 사람을 지으셨습니다(창 1:9~31). 그런 의미에서 하나님의 창조 사역 자체가 구원 사역임을 알 수 있습니다. 누구든 물에 갇혀있는 상태에서는 자유를 누리지 못합니다. 성경에는 하나님의 구원 역사를 막거나 방해하는 장애물로 등장하는 것이 물, 또는 바다입니다. 노아의 홍수가 그렇고, 홍해가 그렇고, 요단강이 그렇고, 요나를 삼킨 바다가 그렇고, 거라사 군대귀신이 몰살한 바다도 그렇습니다. 바다는 리워야단과 용과 같은 하나님을 대적하는 괴물의 서식지입니다. 구원받은 백성에게 두려움과 혼돈의 장소입니다.
“주님은 경계를 정하여 놓고 물이 거기를 넘지 못하게 하시며, 물이 되돌아와서 땅을 덮지 못하게 하십니다.”(104:9)
그리스도인에게 바다는 극복의 대상입니다. 주님은 가나의 혼인 잔치에서 물을 포도주로 만드셨습니다(요 2:1~10). 그런데 이날이 사흘째 되는 날(요 2:1)이라고 명기하였는데 이는 창조의 셋째 날을 상기시킵니다. 광풍 이는 바다는 주님을 태운 배의 안정을 깨지 못했고(막 4:39), 베드로에게 바다는 실패의 자리입니다(요 21:6).
주님, 지금도 바다는 거칩니다. 자주 절망하고 넘어집니다. 혼돈과 공포와 무질서의 세계를 평정하여 주십시오. 바다에 침몰하지 않고 바다를 극복할 수 있도록 조화와 평화의 창조 원리를 따를 용기를 주십시오.
2024년 4월 29일(월)
439999486_25290316743916276_8680690144729046037_n.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776 묵상나눔 현상과 인식 file Navi Choi 2024-05-03 9
12775 가족글방 아가페 사랑나눔공동체 소망의기도 주안에있는 2024-05-03 10
12774 걷는독서 [걷는 독서] 시詩가 나에게로 다가오기를 file 박노해 2024-05-02 7
12773 묵상나눔 길라잡이와 X맨 file Navi Choi 2024-05-02 4
12772 가족글방 [봉도사의 아침 풍경] 내 이름은 노동자 [1] 이기봉 목사 2024-05-02 11
12771 걷는독서 [걷는 독서] 평온한 저녁을 위하여 file 최용우 2024-05-01 13
12770 묵상나눔 노동을 그린 화가들-노동을 설교하지 않는 목사들 file Navi Choi 2024-05-01 11
12769 묵상나눔 사명 file Navi Choi 2024-05-01 8
12768 걷는독서 [걷는 독서] 문제를 문제로 file 박노해 2024-04-30 10
12767 묵상나눔 창조 세계 살기 file Navi Choi 2024-04-30 7
12766 걷는독서 [걷는 독서] 조금 느리더라도 박노해 2024-04-29 9
» 묵상나눔 바다 file Navi Choi 2024-04-29 8
12764 가족글방 [봉선생의 아침 풍경] 저런 저런 [1] 이기봉 목사 2024-04-29 11
12763 가족글방 [봉선생의 저녁 풍경] 김치찌개와 엄마 이기봉 목사 2024-04-28 9
12762 가족글방 [주보시] 주님을 압니다! 쿠바인 2024-04-28 10
12761 걷는독서 [걷는 독서] 삶은, 짊어진 무게만큼 file 박노해 2024-04-28 8
12760 묵상나눔 계시와 거룩-기독교와 종교는무엇이 다른가? Navi Choi 2024-04-28 8
12759 묵상나눔 인생 file Navi Choi 2024-04-28 12
12758 걷는독서 [걷는 독서] 수많은 길을 기웃기웃해도 file 박노해 2024-04-27 10
12757 묵상나눔 신의 인간관, 인간의 신관 file Navi Choi 2024-04-27 6
12756 걷는독서 생기 찬 사람에게는 file 박노해 2024-04-26 12
12755 묵상나눔 영원한 청년 file Navi Choi 2024-04-26 8
12754 광고알림 기독교인 결혼 배우자 만남 온라인 프로필 미팅 등록 안내, 기독교인 크리스챤 미혼청년싱글결혼 배우자 만남의 장 행복크리스찬 2024-04-26 4
12753 걷는독서 [걷는 독서] 지나간 꽃시절 file 박노해 2024-04-25 12
12752 묵상나눔 생각하는 사람_생각 없는 그리스도인 file Navi Choi 2024-04-25 12
12751 묵상나눔 보물 file Navi Choi 2024-04-25 6
12750 걷는독서 [걷는 독서] 오늘 비록 앞이 안 보인다고 file 박노해 2024-04-24 14
12749 묵상나눔 모세의 길 file Navi Choi 2024-04-24 8
12748 무엇이든 아담과 게놈 file 김요한 목사 2024-04-24 17
12747 걷는독서 [걷는 독서] 좋은 책은 하나의 위대한 건축이다 file 박노해 2024-04-23 11
12746 묵상나눔 토사구팽 file Navi Choi 2024-04-23 8
12745 가족글방 후배 목사들을 보면 마음이 무거울 때가 많다. 김홍한 목사 2024-04-23 14
12744 걷는독서 [걷는 독서] 시간이 짧아 초조하다 file 박노해 2024-04-22 14
12743 묵상나눔 애국가 file Navi Choi 2024-04-22 10
12742 무엇이든 이제 한국 교회는 개혁할 때 입니다./크리스챤신문 칼럼 김상호 목사 2024-04-22 13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