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제446호> 조병화 시인의 비망록 중에서

무엇이든 유한나............... 조회 수 607 추천 수 0 2003.06.12 13:42:44
.........
2003년 06월 12일  

내일/조병화

너의 육체는 나의 우주
너의 심장은 나의 보석
너의 눈망울은 나의 별
아롱아롱
어두워 가는 인간의 밤
너의 침묵은
나와 우리의 이야기
생병이 남아 있기에 지니는
이 갈망
벼랑에서
램프를 켠다
생명은 어느 누구의 것도 아닌 거
잠시 빌려쓰다 돌려주고 가는 거
가쁜 건 애착이다
너의 육체는 나의 초원
너의 입김은 나의 둥우리.

이 작품은 나의 시집 <별의 시장>에 수록되어 있는 <내일>이라는 제목의 작품이다.
꿈을 이야기하고 있는 거다.
이 무거운 현실을 이겨내기 위해서 내일에 대한 꿈을 붙들고 있는 거다.
<벼랑에서/램프를 켜면서>

고독하다는 건/아직도 나에게 소망이 남아 있다는 거다/
소망이 남아 있다는 건/아직도 나에게 삶이 남아 있다는 거다/
삶이 남아 있다는 건/아직도 나에게 그리움이 남아 있다는 거다/
이렇게 저렇게 생각을 해보아도/어린 시절의 마당보다 좁은/ 이 세상/
인간의 자리/부질없는 자리/가리울 것 없는/회오리 들판/
아, 고독하다는 건/ 아직도 나에게 소망이 남아 있다는 거요/
소망이 남아 있다는 건/아직도 나에게 삶이 남아 있다는 거요/
삶이 남아 있다는 건/아직도 나에게 그리움이 남아 있다는 거요/
그리움이 남아 있다는 건/ 보이지 않은 곳에/ 아직도 널 가지고 있다는 거다.

이 작품은 나의 시집 <밤의 이야기> 속에 수록되어 있는 <제20장> 이다.
이것 역시 꿈을 이야기하고 있는 거다.
아직도 <너>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늘의 이 무거운 현실을 견디어 내고 있다는 이야기이다.
역경은 역경대로 순경은 순경대로 꿈이 있어야 산다.
살맛이 난다.
살 보람이 있다.<중략>


덧: 어제 오늘 비가 옵니다.
축축한 날에 타계하신 조병화 시인의 비망록을 읽었습니다.
김현승 시인과 함께 유별난 고독의 시인이었던 조병화시인...
1977년도에 발행한 책에서 그는 무거운 현실을 말하고 있습니다.
생각해 보면 그래도 그때가 지금보다는 꿈이 역동적으로 꿈틀거리던 시대 같았는데 말입니다.
이북에서 월남한 어느 할머니의 이야기로는 그래도 그때엔 무엇을 팔아도 다 팔렸다고 술회하는데 말입니다.
어려운 사람이 물건을 팔면 너도나도 팔아 주었던 인정있던 시대였다고 말하는 데 말입니 다.
어쩌면 지금은 꿈이란 말조차도 힘을 잃어가고 있는지 모릅니다.
꿈을 꿈이라 말하기도 힘이 빠지고 조금은 자신이 없어집니다.
사람들은 너무 영악해지고 정의가 없고 언제나 어느 때나 너와 나를 뒤집을 수 있는 섬뜩함을 지니고 삽니다.
강아지는 끌어안아도 이익 되지 않는 사람은 걷어차는 세상입니다.
이렇게 오염된 세상에 순결한 황토 흙 같은 순수한 인간미를 계속 일깨워 주는 것이 시인들의 사명일 것입니다.
어느 시인은 참혹한 고통 속에서 쓴 시가 아무에게나 읽히는 게 억울한지 "느그들 내 시 읽지 말라." 고 외치기도 합니다.
그러나 시인들은 슬퍼도 시를 쓰고 기뻐도 시를 쓰고 돈이 없어도 시를 쓰고 돈이 있어도 시를 쓰고 즐거워도 시를 쓰고 고독해도 시를 씁니다.
세상엔 경제 생활을 하는 사람도 필요하고 산소를 공급하는 숲 같은 시인도 필요합니다.
혹은 경제가 안정되어야 시도 쓰는 것 아니냐는 일반적인 견해를 가진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배가 부르면 어찌 파르르 떨리는 긴장감 있는 시가 나올까 싶습니다.
비오는 오전에 한 시대를 기꺼이 노래하다가 떠나 간, 흔들릴 만큼 흔들리고 고독할 만큼 고독했던, 조병화 시인이 말하고 싶어했던 <꿈>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나는 아직 인생에게 던질 마지막 승부수가 남아 있습니다.
그 푸릇한 후원자는 <꿈>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224 무엇이든 [칼럼니스트No.797] 활개치는 사이버머니 사기꾼들 [1] 이재일 2003-07-05 2983
2223 무엇이든 칼럼니스트 No. 797 활개치는 사이버머니 사기꾼들 이재일 2003-07-05 870
2222 방명록 방명록입니다 최용우 2003-07-04 1064
2221 방명록 방명록입니다 최용우 2003-07-04 873
2220 방명록 방명록입니다 고문정 2003-07-04 1280
2219 무엇이든 창가에 [2] 이인숙 2003-07-03 590
2218 방명록 방명록입니다 평동쨩 2003-07-03 887
2217 무엇이든 하나님 다음에 가장 중요한 것은 돈 최용우 2003-07-03 640
2216 무엇이든 설교자료 도우미........ 밝은 미소 2003-07-02 759
2215 무엇이든 깨달으면 은혜인데...그게 잘 안되지요? 이두희 2003-07-01 538
2214 무엇이든 할아버지 손~~~은 약손이다~~~~아!1. 어퓨굳맨 2003-06-30 747
2213 무엇이든 [상담자료] 상담 관련 사이트 [1] 최용우 2003-06-30 753
2212 방명록 방명록입니다 최용우 2003-06-30 834
2211 방명록 방명록입니다 최용우 2003-06-30 948
2210 무엇이든 신학과 교회에서 진화론을 몰아내자!(14) : '구원'의 자연과학적 의미(겔 37:2-6) 장대식 목사 2003-06-29 554
2209 방명록 방명록입니다 만두 2003-06-26 948
2208 무엇이든 여름 바닷가에로 초대 [1] 기쁨지기 2003-06-26 1860
2207 무엇이든 링컨 광고 [1] 한용일 2003-06-26 780
2206 무엇이든 행복의 비결을 가르쳐 주는 말 [1] 이인숙 2003-06-25 495
2205 방명록 방명록입니다 유승화 2003-06-25 884
2204 무엇이든 희진 사모님께 [2] 이인숙 2003-06-24 723
2203 무엇이든 [책] 가난 이인숙 2003-06-24 563
2202 무엇이든 [책] 부 이인숙 2003-06-24 501
2201 무엇이든 어디에 이인숙 2003-06-23 491
2200 무엇이든 밝은-메렁~! 이인숙 2003-06-23 491
2199 무엇이든 분노에 관하여 [1] 정혜진 2003-06-23 556
2198 무엇이든 산딸기 [3] 이인숙 2003-06-22 479
2197 무엇이든 도움. 이무혁 2003-06-22 631
2196 무엇이든 7월 모임을 위한 주제를 알려드려여 [6] 전미영 2003-06-21 531
2195 무엇이든 엄목사님과 정옥란사모님 이인숙 2003-06-20 685
2194 무엇이든 한학기를 마치고 [2] 이인숙 2003-06-19 558
2193 방명록 방명록입니다 최용우 2003-06-19 933
2192 무엇이든 목사딸의 비밀일기장~* - 눈물에 관한 변명 몇가지 목비 2003-06-19 774
2191 무엇이든 잔소리 보다느 칭찬을 피러한 2003-06-19 967
2190 무엇이든 약간 모자라듯 살아갑시다. 서임중 목사 2003-06-19 497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