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워낭소리

경포호수가에서 피러한............... 조회 수 3213 추천 수 0 2009.03.04 08:26:34
.........
출처 :  
<STYLE></STYLE>

워낭소리 어느 날 우연(偶然)히 나는 짧은 동영상을 보게 되었는데, 자신도 모르게 가슴에 무언가가 짓누르고 있었다. 나중에 가서야 그 영상이 독립(獨立)영화 ‘워낭소리’예고편임을 알게 되었다. 이 영화는 경북 봉화 산골에서 노인 부부가 30년 동안 키웠던 일소의 마지막 몇 년을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만든 것인데, 이미 100만 명을 돌파했다고 하니 독립영화 치고는 엄청난 성공(成功)을 거둔 영화라 할 수 있다. 나는 ‘워낭소리’를 보면서 자연스럽게 내 자신과 소를 비교(比較)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할아버지의 진실함과 소의 성실함에 감탄(感歎)하면서 내 자신은 한없이 작게만 느껴졌다. 내가 왜 그런 생각을 하게 되었을까. 아직까지 양심이 조금이라도 남아있는지, 가슴 깊숙한 곳에서 이런 소리가 들려왔다. ‘소(牛)만도 못한 인간아!’ 부정하고 싶지 않았다. 아니 그 마음의 소리가 오히려 내 마음을 가볍게 만들어 주기까지 했다. 나는 먼저 30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변함없는 소에 대한 할아버지의 가족 같은 사랑 앞에 무릎을 꿇으며 내 가슴을 치게 했다. 아니 어쩜 사람과 동물 사이에 사람 같은 우정(友情)과 그러한 사랑이 가능했단 말인가. 할아버지는 소를 생각해서 자기 논에는 농약을 치지 않았고, 일할 때에도 혹시나 약에 오염된 풀을 뜯어먹을까봐 소입에 망까지 씌워 놓았다. 언제나 할머니보다 늙은 소를 더 사랑했기에 할머니는 항상 불만을 터뜨렸지만, 여전히 할아버지는 소가 항상 최(最)우선이었다. 무뚝뚝한 노인이지만 소를 자랑할 때만은 활짝 웃으시며 말씀하시는데, 소는 그 말을 알아듣는 듯 눈물을 흘린다. 소도 역시나 주인을 생각하는 마음은 사람보다 더 속이 깊다. 무식한 사람일수록 정(情)에 약하고, 장애가 있는 사람일수록 특별한 사물에 대한 애착이 더 강하듯, 그들은 전생에 무슨 부부(夫婦)인 것처럼 서로에 대한 마음은 사람끼리의 사랑보다 더 진솔했고, 둘 사이에 어떤 고난이 와도 이겨나갈 수 있는 우직(愚直)함은 세상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가장 큰 능력이었다. 이제 보니 소는 할아버지 자신이었다. 아니 자신보다 더 사랑하고 소중(所重)히 여겼다. 그에게는 소가 전부였기에 소와 함께했던 시간에 기적(奇蹟)같은 일이 그리도 많이 일어났던 모양이다. 영화를 보면서 나는 자신에게 수없이 이런 질문(質問)을 했다. 나에게도 그렇게 오랜 세월동안 유지해 온 참다운 우정이 있는가. 내 인생 전부라 여기며 모든 애정(愛情)을 쏟을 수 있는 일과 사람이 있는가. 아니다. 나는 신(神)을 섬기는 일조차도 밥벌이를 위한 일이 될 때가 많았고,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오로지 내 유익과 결부시켜 자신을 위한 도구(道具)로 쓸 때가 더 많았다. 어떤 일이든 오래 인내하기 보다는 조금만 어려워도 환경(環境)을 탓하며 사람을 원망하며 진실(眞實)에서 멀어져갔던 자신이 아니었던가. 물론 나는 이 모든 원인이 사랑과 신뢰의 결핍(缺乏)에서 왔음을 잘 알고 있다. 이 시대의 종말은 자원부족이나 환경파괴라는 외적(外的)인 요소로 오는 것이 아니라, 사랑이 식어짐으로 스스로 해체된다는 것을 내 자신을 통해 보는 듯하다. 사랑이란 용납(容納)이다. 용납하지 못하기에 그런 우정도 없었다. 자신을 용서하고 상대를 용납하고 사건을 수용할 때 기적(奇蹟)은 지금도 그처럼 일어날 것으로 믿는다. 두 번째는 사명(使命)에 대한 생각이다. 할아버지는 귀가 어둡다. 그럼에도 소의 턱 밑에 매어놓은 방울인 ‘워낭소리’는 얼른 알아들으시고 주무시다가도 일어나신다. 할머니가 무슨 불만을 터뜨려도 묵묵부답이건만, 소의 작은 움직임에는 대꾸를 하신다. 그들은 서로 바라만 보아도 대화(對話)가 통할 것 같은 우정이었다. 그것이 가능했던 것은 서로에 대한 의무(義務)를 충실하게 감당했기 때문이다. 할아버지는 소를 생각해서 사료를 주지 않고 직접 소죽을 쒀서 주기 위하여 아픈 다리를 끌면서 소꼴을 베러 나가시면서도 아픈 소를 생각하며 눈물을 훔치신다. 소 역시 주인(主人)의 마음을 아는지 제대로 서지도 못 하면서 노인이 고삐를 잡으면 산 같은 나뭇짐도 마다 않고 짊어 나른다. 노부부를 위해 마지막 까지 일만 하다 떠나간 소를 보고 할머니는 이렇게 말했다. ‘갈 거면 편히 갈 것이지 늙은이들 겨울 나라고 저렇게 많이 해놓고 갔나...’ 나는 소가 죽었을 때보다도 할머니의 이 독백이 오히려 내 눈물샘을 자극(刺戟)시켰다. 마지막까지도 아픈 몸으로 그렇게 많은 나무를 해 놓고 죽다니... 바로 이 대목이 무딘 내 자신이 그 소보다 못하다는 생각이 들게 했던 것이다. 소는 이성은 없지만 코뚜레로 제어(制御)받고, 워낭소리로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 주인을 부르고 그리고 악한 짐승을 쫒게 했던 것이다. 하물며 나는 무엇인가. 이성과 영성을 소유(所有)하고 있으면서도 무엇이 나를 제어하고 있는가. 과연 소리(Logos)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알고 또 인생의 주인을 부르고 있는가. 오히려 ‘워낭’에 감사는커녕 내 목에 매인 그것이 부담스러워, 할 수만 있으면 멀어지려는 내 자신은 분명 소만도 못하다는 생각이 당연한 일이 아니겠는가. 세 번째는 죽음에 대한 생각이다. 갈수록 할아버지 입에는 ‘아파’ ‘아파’라는 말을 달고 사신다. 할아버지나 소나 이제 너무 늙어 아플 수밖에 없었다. 어느 봄 날, 노인은 수의사에게 소가 올 해를 넘길 수 없을 거라는 사형선고를 듣게 된다. 그런데 정말로 어느 날 외양간에서 소가 일어나지 못했다. 할아버지는 가장 먼저 코뚜레를 풀어주고, 한 평생 달려있던 워낭도 재빠르게 풀어준다. ‘죽으면 좋은데 가 그래이...’ 둘 사이에 맺어진 인연을 잘라내며 흐르는 할아버지의 눈물엔 오랜 세월 동거 동락했던 친구가 죽은 듯 보는 이로 하여금 안타까움을 더해 준다. 그리고 영화는 그렇게 조용히 끝을 맺는다. 만약 그 영화가 픽션이었다면 감동은커녕 뭔가가 빠진 듯 더 허무(虛無)해 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죽는 것은 소뿐만 아니라 인생(人生)도 조용히 끝나기에, 다른 것을 덧칠하지 않아도 그 자체로 감동(感動)을 주기에 충분하다. 누구도 신의 부름 앞에선 어쩔 도리(道理)가 없다. 하지만 죽는다는 문제보다는 그 죽음 속에 진실(眞實)이 담겨 있다면 그 일은 두려운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감동을 줄 수 있다. 그 진실이란 죽기 전 그 사람의 삶 자체가 진실했다면 죽음 이후에 더 큰 풍성한 열매가 맺힌다는 것이다. 우리 멤버 중 어느 분의 장인 어르신이 하늘의 부름을 받을 때 마지막 유언처럼 했던 말은 어느 어르신이 그리 했듯이, ‘나는 행복하다...’ ‘그동안 고마웠다...’ 두 마디였다고 한다. 마지막 순간에 이런 고백을 할 수 있다면 그 사람은 성공적인 인생을 산 사람임에 틀림이 없을 것이다. 그것은 평생 진실(眞實)하게 살았다는 명백한 증거이기 때문이다. 주여, 신뢰, 가족애, 그리고 눈물이 인생에서 이리도 소중하다는 것을 이 무딘 종은 이 영화를 통해 다시 한 번 깨달게 되었습니다. 소와 할아버지가 그리도 서로에게 동반자였듯이, 저도 당신의 소가되어 마지막 그 순간에, ‘감사합니다!’ ‘정말 행복한 삶을 살았습니다!’ 이런 고백을 한 후 당신 품에 안기게 하소서. 2009년 3월 3일 (삼겹살데이) 강릉에서 피러한(한억만)드립니다.
사진작가?투가리님 해와달사이트(우기자님) 이요셉님

댓글 '3'

루디아황

2009.03.05 03:35:41

피러 한 목사님께서 글 올려 주시기를 목 타게 기다린답니다 마침 워낭소리를 읽으면서 많은 생각에 잠겨졌습니다 영화를 아직은 보지않았지만 목사님께서 느끼는것처럼 같은 마음이 밀려왔습니다 평생 할아버지와 소같은관계를 맺을 수 만 있다면 괸찮은 인생인것 같습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작은자 루디아황 드림

피러한

2009.03.07 21:11:09

루디아황님 오랜만입니다. 가끔 달아주시는 댓글을 통해 다른 각도에서 자신을 돌아보게 됩니다. 소와 할아버지, 그런 사이의 인간관계라면 분명 그와의 관계도 좋겠죠^*^ 좋은 날 되소서...

루디아황

2009.03.08 02:05:50

피러목사님! 드디어 LA에 워낭소리가 왔다기에 영화관에 가서 영화를 감상하였습니다 할아버지 마음과 소의 마음을 그리며 울기도하고 할머니의 툭툭 던지는 유머같은 투정에 웃기도 하면서 오랫만에 향수에 젖었었습니다 ..........목사님의 좋은글 기대하면서.....루디아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510 한국교회허와실 율법과 은혜(2) 요한 2010-08-06 3221
2509 목회독서교육 예배형태의 변천 이복술 2005-05-12 3220
2508 경포호수가에서 게으름 피러한 2004-08-09 3220
2507 생명환경자연 한살림 선언 한살림 2003-10-04 3219
2506 수필칼럼사설 [읽을꺼리37] 엿새 동안 힘써 일하라? 방선기 목사 2002-10-23 3219
2505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207] 각성 어거스틴 2010-07-22 3218
2504 경포호수가에서 조금만 더 기다리자 피러한 2005-10-23 3217
2503 경포호수가에서 생각만 해도 가슴이 뛰는 사람... 피러한 2004-05-09 3216
2502 한국교회허와실 성경에 근거한 21세기 정직회복운동 (1)3無와 제2의 종교개혁 연합공보 2004-12-14 3215
2501 정치건강취미 하도 나라 시끄러워서 못 살겠다길래 먼 일인가 알아봤더만.... 대한민국 2004-01-21 3215
2500 수도관상피정 집중기도 엄두섭 목사 2002-12-04 3215
2499 경포호수가에서 화(Anger) 피러한 2007-01-14 3214
2498 수필칼럼사설 멘노 시몬스를 위한 변명 無然 2005-01-21 3214
2497 수필칼럼사설 김용옥 씨 실력은 어느 정도일까? 無然 2004-09-24 3214
2496 논문신학성경 신약성경에서의 죄의 개념 12가지 나무 2010-03-05 3213
2495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37] 마니교도에 매혹되다 어거스틴 2009-04-30 3213
» 경포호수가에서 워낭소리 [3] 피러한 2009-03-04 3213
2493 영성묵상훈련 분노의 발상과 치유 루디아황 2007-11-10 3213
2492 수필칼럼사설 교회 헌금도 처벌 대상? 장동만 2007-01-16 3213
2491 경포호수가에서 생명과 같은 물 피러한 2009-04-05 3212
2490 목회독서교육 집 나가는 아이들 : 가출 (runaway) 최영 2012-04-30 3211
2489 인기감동기타 2004년 2월 잔소리 최용우 2004-01-26 3211
2488 北山편지채희동 하늘의 빗장을 푸신 예수 채희동 2003-03-21 3211
2487 北山편지채희동 한송이 들꽃처럼 살수만 있다면 채희동 목사 2002-10-30 3210
2486 주보회보신문 집사의 직분을 잘한 자는 [1] 최용우 2010-02-17 3208
2485 北山편지채희동 이 세상에서 목사로 산다는 것은 채희동 2003-03-21 3207
2484 수필칼럼사설 실미도와 한국교회 puco 2004-03-13 3206
2483 한국교회허와실 성경에 근거한 21세기 정직회복운동 (2) -한국교회의 덫 연합공보 2004-12-14 3205
2482 논문신학성경 샤마니즘과 기독교 file 예수은혜 2010-06-16 3203
2481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5] 가장 싫어한 그리스어 어거스틴 2009-02-04 3203
2480 정치건강취미 자기파멸로 들어선 기독우파의 궐기 백찬홍 2003-09-04 3203
2479 한국교회허와실 성경에 근거한 21세기 정직회복운동(11) - 주인을 아는것 연합공보 2005-08-09 3202
2478 인기감동기타 "찬송가 제목 적용 사례 연구" 전병욱 2003-09-23 3201
2477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22] 죄에서 벗어나다 어거스틴 2010-02-28 3199
2476 목회독서교육 교회 화장실을 강단같이 꾸미자 최용우 2007-06-24 3199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