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명설교 모음

택스트 설교

설교자'가 확실한 설교만 올릴 수 있습니다.

수난의 길

요한복음 서창원 목사............... 조회 수 1641 추천 수 0 2008.05.19 15:33:38
.........
성경본문 : 요12:20-26 
설교자 : 서창원 목사 
참고 : 새길교회 
계절적으로는 3월의 마지막 주간이며 봄입니다. 교회력으로는 주님의 부활을 기다리며 수난의 명상에 참여하는 사순절입니다. 이처럼 주님의 고난을 신앙적으로 뒤따르는 우리에게는 수난의 뜻을 깊이 이해하고 참여할 자세가 필요합니다.
오늘 성서의 말씀은 유대 명절인 유월절에 예루살렘을 방문하면서 헬라인들이 주님을 찾아온 기사입니다. 유대 역사가인 요세프스의 기록에 의하면 당시 유월절에 270만 명의 순례객이 모였다고 합니다. 그들은 팔레스틴 전국 각처 그리고 해외로 흩어졌던 디아스포라 유대인과 유대교로 개종한 외국인들이었습니다. 성서학자들의 추정으로 이 헬라인들은 디아스포라 유대인이라기보다는 개종한 이방인이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이들은 로마 제국의 영역 안에서 문화적으로 학문적으로 우월성을 자랑하던 헬라인들이었습니다.
당시 헬라의 철학적 사상들은 참으로 다양했습니다. 플라톤 사상, 견유학파, 회의주의 학파, 스토아 학파, 피타고라스 학파, 에피큐로스 학파 등 각양 각색의 철학적 사상이 범람했습니다. 그리고 종교적 경향으로는 올림푸스 신들 외에도 디오니소스 또는 바카스 신, 그리고 오르페우스의 종교가 있었고 주민들은 헤르메스와 판(Pan)신을 섬겼습니다. 각종 혼합된 밀의 종교가 횡행했습니다.
이 시대는 급변하는 시기로 헬라인들은 전통적인 과거의 종교는 새로운 역사와 세계를 끌어갈 수 있는 힘이 없다고 절망적 인식을 했을 것입니다. 그래서 새로운 영감과 신탁의 말씀에 굶주렸는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그들은 당시 가장 동방의 변방인 팔레스틴을 찾아 새롭게 부각되는 카리스마적 지도자 예수를 찾아왔을 것입니다. 그래서 직접 예수께 접근하는 대신 헬라식 이름을 가진 필립과 안드레를 통해서 예수님을 만났던 것입니다.
그들은 지금까지 그들이 듣고 이해하고 만나보았던 철학적 종교적 가르침이나 진리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엄청난 것을 예수님에게서 기대했을 것입니다. 이러한 정황 가운데서 예수님께서 이 헬라인들에게 선포하신 가르침은 매우 중요한 말씀입니다. 당시의 모든 철학의 가르침이나 종교적 진리에 또 하나의 추가적인 종교적 선언이 아니라, 모든 철학과 종교를 뛰어 넘는 영원한 생명을 위한 진리의 선포인 것입니다.
이 헬라인에게 전한 진리의 말씀의 핵심은 '수난의 길'이었습니다. 인간은 누구나 영원한 생명을 추구합니다. 참다운 삶을 갈구합니다. 그러나 주님께서는 역설적으로 생명의 길은 수난의 길을 통해야 한다고 교훈 하십니다. 모든 종교는 생명의 근원과 진리에 대한 교훈이 있으며 고난에 대한 의미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주님의 가르침은 엄청난 역설을 말씀하십니다. 죽어야 산다는 것입니다. 참 생명의 신앙은 즉 영원한 생명과 하나님의 생명을 얻으려면 죽고 사는 것을 믿는 십자가의 신비와 능력을 믿어야 하는 생명의 신앙을 말씀해 주신 것입니다.
이것이 전통적으로 기독교가 선포해 온 십자가의 구원의 능력입니다. 그래서 사도 바울은 헬라인은 지식을 구하고, 유대인은 이적을 바라지만, 나는 십자가를 증거한다고 선포했던 것입니다. 이 십자가의 능력은 어리석고 미련한 것처럼 보이는 역설인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자랑할 것도 이 십자가의 도인 것입니다. 인간의 영(프쉬케)이 영원한 생명(죠에)을 얻기 위해서는 이 역설의 과정을 통과해야 하는 것입니다. 또 주님께서는 한 알의 밀알이 죽지 않고 그대로 있으면 열매를 못 맺지만 하나의 밀알이 썩어지면 많은 열매를 맺는다고 하십니다. 이것은 고난의 적극적 의미로서 이 고난의 길이야말로 30배, 60배, 100배의 열매를 맺게 하는 창조의 과정인 것입니다. 한 생명의 출현은 복잡한 생명의 그물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생명체, 연속의 맥을 이어주는 것도 한 생명체의 자기 헌신과 소모와 멸절이 없이는 다음 세대의 생명체로의 창조가 불가능합니다. 즉 자기가 죽어지는 사랑의 행위가 필요한 것입니다.
이처럼 주님께서는 한 알의 밀알이 죽어지는 고난의 적극적 의미를 기독교 신앙의 핵심적 영성으로 선포하신 것입니다. 이 영성의 내용 구조는 물론 사랑입니다. 또 주님께서 이 헬라인들에게 나를 따르라고 하셨습니다. 그냥 따르는 것이 아니라 자기 십자가를 지고 따르라는 수난에의 동참을 요청하신 것입니다. 십자가는 보다 높은 이상과 보다 바람직한 사회와 개인적 삶의 실현을 추구하는 모두에게 부과되는 봉사입니다.
주님을 따르는 길은 고난의 가치를 인식하고 깨달아야만 동참할 수 있는 순례의 길입니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고난을 통해서 많은 것을 배우고 얻고 체험하게 됩니다. 우선 자기 훈련, 통찰력의 성장, 삶과 세계의 다양성을 배우고 이해하게 됩니다. 따라서 자기의 편견과 아집을 벗어나는 이치와 상상력이 풍부해지며 생각과 태도에 있어서 폭과 깊이가 있어집니다. 고난의 과정을 거치면서 인간은 지혜와 경륜을 얻는 것입니다. 이처럼 일상적인 생활에 있어서도 고난은 큰 스승이 됩니다. 하물며 진리의 순례를 떠나는 신앙인들에게 있어서 십자가 없는 신앙은 생각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주님께서 나를 따르라는 말씀입니다. 우리가 주님을 따르는 길은 모범답안이 있는 확실한 모형이 있는 길입니다. 예수님께서 그냥 진리의 방법만 가르치신 것이 아니라 그분 자신이 모범을 보여 주신 것입니다. 진리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주님이 진리이신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 가르침대로 사신 분이기 때문입니다. 이분을 따르는 것은 방법을 따르라는 것이 아니라 주님의 인격을 신뢰하고 이분의 인격을 믿는 만큼 따른다는 말이 됩니다. 그래서 기독교 신앙은 주님에 대한 인격적인 믿음이 동반되지 않고는 따를 수가 없습니다. 주님을 따르는 길, 주님의 길을 따르는 것은 수난과 동시에 절대적 모험의 길입니다. 이분에 대한 인격적 신뢰가 동반되지 않고는 불가능한 길입니다.
우리는 얼만큼 그분을 따를 수 있을까 생각하게 됩니다. 불안하게 됩니다. 주저하게 됩니다. 그러나 그 분은 본을 보여주시며, 우리의 순례의 길의 희망적 근거이며 보증이 되십니다. 그래서 이 길은 수난의 길이며 소망의 본입니다.
주님이 선포하신 도는 십자가의 道입니다. 이 길은 수난의 길이며, 생명의 길이며, 풍성케 하는 30배, 60배, 100배의 열매 맺는 길이며, 소망의 길입니다. 그러나 이 생명의 근원으로 통하는 길은 분명 수난의 길입니다. 골고다를 가는 길목에는 비아 돌로로사(Via Dorolosa)가 있습니다.
이 사순절에 주님의 수난을 깊이 명상하시면서 주님의 십자가를 바라봅시다. 십자가가 나와 어떤 실존적, 영적 관계가 있는지 점검합시다. 주님의 십자가를 명상하고 묵상할 때 나에게 영적 감동과 의미가 있습니까?
주님은 우리에게 말씀하고 계십니다. 나를 따르려면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라고 말씀하십니다. 이 수난에 참여할 때 우리는 엄청난 하나님의 신비와 진리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이 진리를 새 지식을 추구하는 헬라인들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이 기독교의 진리입니다.

평신도 열린공동체 새길교회 http://saegilchurch.or.kr
사단법인 새길기독사회문화원, 도서출판 새길 http://saegil.or.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경본문 설교자 날짜sort 조회 수
17047 마태복음 나라이 임하옵소서 마6:9-10  조용기 목사  2008-09-23 1276
17046 마태복음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같이 땅에서도 마6:10  조용기 목사  2008-09-23 1654
17045 마태복음 시험에 들게 하지 마옵시고 마6:13  조용기 목사  2008-09-23 1896
17044 갈라디아 아! 십자가 갈2:20  조용기 목사  2008-09-23 1955
17043 시편 삶과 불안 시91:1-2  조용기 목사  2008-09-23 1935
17042 시편 주어진 삶과 만들어가는 삶 시123:1-4  조용기 목사  2008-09-23 1958
17041 로마서 아브라함의 신앙 롬4:16-25  조용기 목사  2008-09-23 1938
17040 고린도전 영광은 환난이 피우는 꽃이다 고후4:17  조용기 목사  2008-09-23 1812
17039 마태복음 삶의 우선 순위를 정하라 마6:33  조용기 목사  2008-09-23 2529
17038 마태복음 행복에 이르는 여덟가지 복 (Ⅰ) 마5:1-12  조용기 목사  2008-09-23 1930
17037 마태복음 행복에 이르는 여덟가지 복 (Ⅱ) 마5:1-12  조용기 목사  2008-09-23 1588
17036 마태복음 예수님의 치료의 은혜 file 마8:1-4  조용기 목사  2008-09-23 2004
17035 고린도전 성공적인 대인관계를 위하여 고전13:1-3  조용기 목사  2008-09-23 1875
17034 요한계시 뜨거운 사람이 되자 ! 계3:14-22  전원준 목사  2008-09-27 1885
17033 에배소서 한국교회의 회복을 위한 대안-(2)교회관의 회복 엡1:3-6  강종수 목사  2008-09-28 1701
17032 누가복음 끝나지 않은 이야기 눅15:28-3  류상태 목사  2008-09-29 1394
17031 마태복음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file 마19:3-9  윤진수 목사  2008-09-29 1599
17030 출애굽기 궁신지화(窮神知化) 출3:14  이찬교 형제  2008-09-29 2133
17029 창세기 길 떠나기 창12:1-9  김은주 목사  2008-09-29 1573
17028 누가복음 새 길을 걷는 사람들 눅13:24-27  홍근수 형제  2008-09-29 1484
17027 신명기 네 귀를 뚫어라. 신15:12-18  강교자 자매  2008-09-29 2389
17026 누가복음 기다림 혹은 게으름 눅14:15-24  최창모 교수  2008-09-29 1889
17025 빌립보서 문 두드리는 소리-마음된 교회-를 위하여 빌2:5-11  한완상 형제  2008-09-29 1670
17024 창세기 소돔 이야기 창19:24-26  류상태 목사  2008-09-29 1501
17023 창세기 하나님의 음성이 들리지 않는 날에 창17:1  김남준 목사  2008-10-01 1983
17022 열왕기하 죽음이 그리워질 때 왕상 19:4~5  김남준 목사  2008-10-01 1758
17021 창세기 브니엘의 눈부신 아침을 맞다 창32:31  김남준 목사  2008-10-01 2122
17020 욥기 순전한 신자에게도 밤이 오는가 욥19:25-26  김남준 목사  2008-10-01 1723
17019 열왕기하 역경을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 왕하6:16-17  김남준 목사  2008-10-01 2483
17018 데살로후 마땅히 감사할 것은 살후2:13  김남준 목사  2008-10-01 2037
17017 사도행전 절망 속에 들린 음성 행27:22  김남준 목사  2008-10-01 2026
17016 누가복음 주님을 붙들 때 눅5:25-29  김남준 목사  2008-10-01 2024
17015 에스더 믿음의 사람이 그 밤을 지나는 방식 에4:16  김남준 목사  2008-10-01 2311
17014 에스라 강가에서 흐느낄 때 스8:21  김남준 목사  2008-10-01 2131
17013 요한계시 무엇이 보이느냐? 계3:16-22  전원준 목사  2008-10-04 1799

설교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